-
-
핀처 마틴 ㅣ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19
윌리엄 골딩 지음, 백지민 옮김 / 민음사 / 2022년 10월
평점 :
민음사 세계문학전집 419
『 핀처 마틴 』
윌리엄 골딩 / 민음사
살려 줘! 살려 주세요!
죽음의 경계에서 삶의 끈을 잡기위한 사투를 벌인 적이 있는가? 독자인 나는 아마도 <핀처 마틴>이 구명대라는 생명줄을 잡고 목이 터져라 애원했던 삶의 간절함을 왠지 알 것 같다. 수술대 위에 벌거 벗겨져 누워 있는 것은 나, 안정실에서 다음 날이 넘어가도록 깨어나지 못한 나는 칠흑같은 어둠과 마주했던 것 같다. 정신없이 사경을 헤매고 손 끝에 닿은 물체를 놓지않으려 사력을 다해 눈을 떳는데, 그들에겐 내 목소리가 들리지 않는지 서글픈 울음만이 귓가로 들려오기만 했다. 아픔에 몸서리 치던 것도 잠시, 이대로 삶을 포기할 수 없었던 나... 살겠다는 의지였을까? 할 수 있는만큼 온 몸을 비튼 끝에 얕은 숨을 내쉬었다고 한다.
의식의 경계에서 그것을 넘을 것인지 그렇지 않을 것인지는 본인의 의지에 달렸다고하지만, 저자는 <핀처 마틴>을 통해 철학적 자기애와 불안과 공포로부터 벗어나려는 모자란 인간의 내면에 대한 처절한 절규를 그려낸다. 과연 대서양 어디즈음에 생명의 경계와 마주한 그는 살아내야하는 의지의 끝자락을 독자에게 어떠한 결말을 보여줄지 무척이나 궁금해 진다.
그들은 한동안 말을 멈추었다.
표류선 너머에서 태양은 불타오르는 선박처럼
가라앉았고, 내려갔고,
마치 연기와 같은 구름을 제외하고는
상기할 만한 것 하나 남기지 않았다.
영국 해군 대위 크리스토퍼 해들리 마틴... 자신을 지성인이라 믿었던 그는 함정의 키를 잡고 있는 인물로 당직 중에 대서양 한복판에 던져졌다는 사실을 알게 된다. 죽음의 끝에서 눈을 떳을 때, 자신은 대서양 한가운데 구명대 하나만으로 몸을 의지하고 있었고 젖은 재킷 안주머니에서 소책자를 발견하기 전까지 그에겐 그저 어둠만이 짙게 드리워져 있었을 뿐이다.
"살려 줘! 살려 주세요."
"난 안 죽을 거야! 안 죽을 거라고!"
광기에 젖은 울부짖음은 조금씩 사그라지고 만다. 마틴이 지켜온 '지성'으로 모든 고난을 이겨내리라 스스로 인식을 다지며 얕은 의식의 끈을 놓지않는다. 일광의 뜨거움과 목마름의 소용돌이에 갇힌 그는 점점 나락으로 빠져들었고 하늘의 조각마저 환영의 유혹으로 정처없이 떠돌게 만들었던 바다... 돌덩이에 부딪치는 순간 침묵했던 그를 찢어지는 고통으로 깨어나게 했을 때 암석에 의지한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암석 위에서 삿갓조개나 모아둔 물로 생명을 유지하며 또 한번의 삶의 투쟁을 벌이게 되는데...
아~ 다시 생각해보니 서풍으로 불던 바람의 기수를 잘못돌린 탓...? 그대로 대서양 한복판에 가라앉았던 함정의 실체는 과연 무엇을 말하려 했던건지 이 모든 것이 실제인지 아니면 죽음의 경계에 선 마틴의 환영이었는지, 그것에 대한 판단은 오로지 독자의 몫일 것이다.
바라야 하는 목표는 구조이며 스스로의 정신을 경계하여야 한다는 지성적인 정신의지... 너새니얼과 나눈 죽음의 기술인 천국의 완전한 무(無) 또한 살아가는동안 견뎌내야 할 과제인지도 모르겠다. 힘든 지금을 매번 견디며 살아내는 우리도 있으니, 삶이란 참으로 무상한 것... 그에 대한 가치도 자기 자신이 만드는 것이니 인생 참 쓰다란 말이 맞는 말인듯 싶다.
민음사 세계문학전집의 <핀처 마틴>은 인간 내면에서 가장 두려워하는 불안과 공포를 죽음 앞에 몰아넣는다. 존재하는 인간이 지금을 어떻게 살아내야 할 것인지에 대한 인문학적 질문을 남긴채 마지막 페이지를 덮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