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U.R - Rossum's Universal Robots 로숨 유니버설 로봇
카테르지나 추포바 지음, 김규진 옮김, 카렐 차페크 원작 / 우물이있는집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100년이 지난 지금

21세기의 세계를 정복하고자 다시 왔다

『 R.U.R. : 로숨 유니버셜 로봇 』

카렐 차페크 원작 / 카테르지나 추포바 글.그림 / 우물이 있는 집









자연의 법칙을 거스르면서 할 수 있는 일은

아무것도 없습니다.



<R.U.R. : 로숨 유니버셜 로봇>을 만나면서 '인공지능 로봇은 과연 인간인가? 그렇다면 인간에 대한 정의는 무엇이며 어떤 것으로 증명할 수 있는가?'에 대한 궁금증이 생겼습니다. 또한 급변하는 과학의 발전을 통해 과연 인간이 자연의 법칙을 거스리고 있는지에 대한 것도 말이죠. 지구의 탄생부터 세기가 거듭나면서 인간의 무차별적인 인류의 훼손은 이기적인 욕망을 위한 수단일뿐, 그에 대한 대가를 치르리라 경고의 메세지 또한 짙게 남겼답니다.

언제였을까요? 생명 윤리에 대한 강연중 의자를 걷어찬 강연자가 있었습니다. 청중은 그저 조용히 바라보았지요. 이어서 관련 자료를 통해 로봇개를 걷어차는 장면에서 "우~~"하는 우려섞인 목소리가 흘러나왔어요. 생명이라 할 수 없고 감정도 없는 의자와 로봇개... 청중은 왜 상반된 반응을 보였을까요? 어쩌면 이 책을 통해 답을 찾을 수 있을지도 모르겠습니다.






<R.U.R : 로숨 유니버셜 로봇>은 20세기 체코가 낳은 가장 위대한 작가로 평가받는 카렐 차페크의 작품으로 무분별한 기술의 발달은 인류의 해가 될 수 있음을 과학도서랍니다. 저자 카테르지나 추포바는 이를 그래픽노블로 재탄생시키며 모든 이들에게 한걸음 더 가깝게 선보인 작품이지요. 

전하고자 하는 메세지를 생생하게 만화로 그려내어 로봇이 인간의 노동을 대신하는 이상사회를 꿈 꾸는 것이 좋은 점만 있다는 것이 아니라는 사실을... 그럼에도 인간은 더 빠르고 더 편안함만을 추구하고 있다고 말이죠.




어떤 노동자가 가장 훌륭한 노동자일까요?

헌신적인 노동자?

정직한 노동자?

아니요! 가장 값싼 노동자지요.

부려먹기에 가장 경제적인 노동자요.



지독히도 유물론자였고 무신론자였던 늙은 로숨은 1920년에 해양 생태계 연구를 위해 이 섬으로 들어왔다고 합니다. 화학적 합성을 통해 원형 물질을 복제하면서 생명체를 체계화하는 방법까지 발견하게 되지요. 늙은 로숨은 과학으로 신을 몰아내고 직접 인간을 만들렸고 했다는겁니다. 문제는 조카였던 젊은 로숨이 경제적인 득실을 따져 빠르게 생산해야 한다며 가장 필요한 기능만을 탑재해야 한다고 주장했죠. 게다가 인간상을 버리고 실용만을 추구하는 로봇을 창조하기 시작했답니다.

글로리 회장의 딸 글로리오바가 로봇을 제조하는 공장을 찾아 도민 사장을 만납니다. 아무 감정없이 생산되는 로봇... 다 쓰면 소모품처럼 버려지는 로봇을 보며 인권이란 문제를 제기하지요. 그들은 인간이 아닌 제품으로서 생산되고 이러한 영향으로 인간들은 더이상 아이를 낳지도 않는 폐해를 맞이하게 됩니다. 과연 <R.U.R. : 로숨 유니버셜 로봇>의 끝은 어디일까요?








<R.U.R. : 로숨 유니버셜 로봇>은 예측 가능한 결말을 맞이하지만 과연 그 끝이 인류의 종말일까요? 현대 기술의 발달을 따라가지 못하는 독자로서 무지에 대한 두려움이 없지 않습니다. 마찬가지로 움직이는 물체에 대한 인간의 생각은 살아있는 생물체와도 연결되어 판단이 흐려지기도 할 것 같습니다. 또한 인간존엄이라는 윤리적 기준이 모호해질 수도 있다는 것도 말이죠.

그래픽노블로 만나는 <R.U.R. : 로숨 유니버셜 로봇>은 아이와 함께 만나고 대화해 보길 추천합니다. 미래를 이끌어나갈 주역이며 앞으로 대면해야할 과제니까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