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수학이 내 인생에 말을 걸었다 - 세상의 지혜를 탐구하는 수학적 통찰 ㅣ 서가명강 시리즈 40
최영기 지음 / 21세기북스 / 2025년 7월
평점 :
『 수학이 내 인생에 말을 걸었다 』
세상의 지혜를 탐구하는 수학적 통찰
최영기 서울대수학교육과명예교수 / 21세기북스

수학은 세상의 구조를
꿰뚫어 보는 언어다.
서가명강 시리즈를 접하면서 들었던 생각은 저자들의 학문에 대한 깊이와 고찰에 존경이다. 이번 강연은 가까운데서 아이들과 수학을 접하는 나로서는 수학이란 학문이 해결해야 할 과제와 정답이 존재한다는 쾌감을 느낄 수 있는 학문이었다면 <수학이 내 인생에 말을 걸었다>에서는 수학적 고찰로 세상의 지혜와 연결된 진화를 해석하는데 공감과 난해함을 동시에 느끼게 해주는 강연이었달까?
수학관련도서 <수학이 내 인생에 말을 걸었다>는 서울대학교 수학교육과 명예교수인 최영기교수의 강연으로 삶의 지혜와 일과 연관된 수학에 이어 자아성장과 관계회복까지 폭 넓은 수학적 사고를 보여준다. 과연 어떤 이야기로 수학의 문을 열지 무척 기대된다.

우리 모두는 어쩌면 소수다.
누구와도 완전히 나뉠 수 없는,
단 하나의 독립된 존재.
외롭고 복잡해 보일지 몰라도,
그 고유함 안에 조화와 질서를 품은 존재이다. (중략)
내게 진짜 소중한 것이 무엇인지,
내 안의 빛은 어디에서 오는지를 알고 살아가는 것.
그것이 우리를 고유한 존재로,
소수처럼 빛나게 만든다.
<수학이 내 인생에 말을 걸었다> 1부에서는 삶의 지혜가 되는 수학으로 '수는 우주의 질서를 설명하는 근본적인 원리다' 말하며 완전한 소수의 존재를 말한다. 암호화의 기반이 된다는 소수는 1과 자기 자신만으로 나눠지는 숫자로 베일에 쌓인 비밀키이기도 하다. 큰 소수를 곱하여 암호시스템을 만들지만 어떤 소수로 인수분해를 해야하는지는 쉽사리 찾을 수 없다는거... 그래서 소수의 규칙이 밝혀지는 순간이 온다면 우주의 복잡한 질서가 단순하고 아름답게 드러난다는 것이 저자의 해석인데, 이러한 해석 또한 매력적이었다.
특히 4부에서 말했던 관계의 회복을 추구하는 수학이 가장 공감이 되었는데, 라이프 오브 파이의 π는 무한급수적으로 표현할 수 있는 숫자로 나의 선택이 곧 나의 삶이기에 희망과 맞닿아있음을 의미한다. 이중에 인간과 자연을 구의 겉넓이 ÷ 부피로 해석하는데 구의 형태로 되어있는 지구와의 연결이 생소하지만 신기하기도 했다. 지구의 중력이 균등하게 작용하여 지구는 구형태에 가깝다. 입체도형 중 구의 표면적이 작은 반면 에너지를 최소화하는데는 적지않은 영향을 끼치기에 둥글게 웅크려 겨울잠을 자는 동물과 몸집이 클수록 상대적으로 열을 방출하는 비율이 줄어든다고 한다. (그럼 추운 지방의 이글루도?) 이를 기반으로 환경에 따른 생명체의 진화도 자연의 경의이므로 조화로운 삶을 인정해야 한다는 사실...
수학의 지혜로 삶의 정답을 찾는다.
수학관련도서 <수학이 내 인생에 말을 걸었다>는 수학이 학문으로만 인식되는 것이 아니라 세상의 진화에 따라 정답을 찾아가는 고뇌하게 하는 삶이라 말 할수 있다. 급변하는 세상에서 복잡한 것들을 단순하게 해결하고 희망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한 원동력이 바로 수학이란 사실... 수학관련도서를 찾는 학생들에게 <수학이 내 인생에 말을 걸었다 : 세상의 지혜를 탐구하는 수학적 통찰>을 추천한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작성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