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양이

#고양이



한 남자가 편의점으로 들어갔다
고양이 하나 주세요



그런 건 없습니다




담뱃값 있어요
담뱃갑 없어요




남자는 손가락으로 나이값을 세었다
하나 둘 셋 스물




갑갑하네
갑질이네





흰 굴뚝은 연기를 내뿜고
남자는 피식 웃었다
꼬랑지만 남은 몸이 타들어가는 줄도 모르고





쌍팔년도 호돌이 담배피던 시절의 이야기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순서에 관하여

사람을 만나서 사랑의 감정이 일어나는 것일까, 사랑의 감정이 일어나는 순간
상대를 만나게 된 것일까. "닭이 먼저냐 달걀이 먼저냐"는 오래된 물음과 유사한 듯 하지만 내 생각은 전자나 후자나 본질은 같다.
백석의 시 '나와 나타샤와 흰 당나귀'는 이렇게 시작한다.

가난한 내가
아름다운 나타샤를 사랑해서
오늘밤은 푹푹 눈이 나린다

눈이 내리는 풍경을 보고 나타샤를 떠올리는게 논리적 순서에 맞겠다. 백석은 그러나 내가 나타샤를 사랑했기 때문에 오늘밤도 이렇게 눈이 푹푹 나리고
당나귀도 응앙응앙 울 것이라고 시침을 뗀다. 

"사랑이 하고 싶어서 나 만난거 아냐?"
"아냐 너 아니었음 독신으로 살려구 했어."

앞으로는 사랑이 일어나서 너를 만났다고 당당하게 말해도 되지 않을까.
'사랑이라는 감정이 일어남' 과 '사람을 만남'은 인과관계가 아니라 
병렬적인 사건의 발생이다.

짧은 글을 지어 보았다.

‪#‎순서‬

-순서-

사람을 만났다
사랑을 만났다

닭을 보았다
달걀을 보았다

비가 내렸다
슬펐다

눈이 내렸다
기뻤다

떠났다
가난했다

울었다
웃었다

양산을 썼다
우산을 썼다

남자와 여자
배와 항구

하늘과

밀고
당김

나란히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화해


#화해




뭍이 파도를 보내면 섬은 

안다





떠는 손





섬이 바람을 보내면 뭍은

안다




 

부은 눈  





사내들은 섬으로

처녀들은 뭍으로





뭍을

섬을





여름에서 겨울로

겨울에서 여름으로 




겨울을

여름을





서쪽은 동쪽으로

동쪽은 서쪽으로 





동쪽을

서쪽을





안다 

안는다





하늘 아래서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 -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
한창훈 지음 / 문학동네 / 2010년 9월
평점 :
구판절판


삼시세끼와 자산어보(한창훈 '인생이 허기질 때 바다로 가라'를 읽고)


‪#‎삼시세끼‬ ‪#‎자산어보‬

삼시세끼 어촌편을 즐겨 본다. 정선편을 몇 번 보다가 흥미를 잃었는데 어촌편은 시간가는줄 모르고 본다. 농촌과 어촌의 환경차이였을까. 이서진,김광규,택연의 케미와 유해진,차승원,손호준의 케미 차이 때문인것 같다.


유해진이 만재도 바다에서 고기를 낚아오면 차승원은 뚝딱 요리를 한다. 호준이는 맛있게 먹고 설거지를 한다. 놀래미,베오라치,거북손 뭐든 차줌마의 손을 거치면 맛깔난 요리가 된다. 같이 시청하던 아내의 감탄사가 쏟아지고 나면 눈빛은 나를 향한다. 무슨말을 하는지 안들어도 안다.


만재도에 삼시세끼가 있다면 거문도에는 저자 한창훈이 있었다. 다산 정약용의 형인 정약전이 흑산도에서 십 수년 유배생활을 하면서 집필한 '자산어보'를 저자의 에피소드를 곁들여 감칠나게 풀어낸다. 낚싯대 몇 번 던져 본 적 없는 문외한인 나도 읽는데 전혀 부담이 없다. 풍부한 사진자료를 보면서 입맛을 다셨다.
부제가 '내 밥상 위의 자산어보'다. 삼시세끼에서 유해진이 그토록 낚고 싶어하는 삼대장(참돔 감성돔 문어)도 나온다.


통영에서 먹은 성게 비빔밥이 생각난다. 날치처럼 물살을 가르며 뛰어 놀고 싶다.



**메모

- 확률에 대해서 생각하다 110쪽

4킬로그램 정도 되는 방어를 한마리 낚아왔다. 4물, 만조를 삽십 분 앞둔 오후 5시경, 작은 삼부도와 거문도 중간쯤에서 낚았다. 수심 35미터, 전갱이를 산 채로 꿰어 쓰는 방법을 썼다. 이 녀석은 3년 전 제주도 남서쪽 20킬로미터 지점에서 태어났다. 새끼 때는 수면에 뜬 모자반 줄기 아래에서 숨죽이며 살았다. 삼치한테 몇 번 먹힐 뻔한 경우가 있었으나 용케 살아남았다. 조금 더 커서는 저 북쪽 웅진반도 너머까지 올라갔다가 내려왔으며 제법 방어 모양이 잡히고부터는 제주도를 수백 바퀴나 돌았고, 이어도 기지도 다섯 번이나 다녀왔으며 추자도, 여서도, 거문도를 여러 번 지나다녔다. 오늘도 백도 인근에서 멸치 떼를 따라 삼부도 쪽으로 왔으며 모두 다섯 마리의 멸치를 잡아먹고 벼랑처럼 생긴 여 근처에서 잠시 쉬고 있을 때 전갱이가 문득 저 위에서 내려왔다. 배는 그다지 고프지 않았지만 전갱이가 어디 가지도 않고 앞에서 빙빙 돌고 있기에 그만 콱 물었다.


- 홍합전 또한 별미이다. 시장에 가면 까놓은 홍합살이 있다. 씻고 물을 빼놓는다. 밀가루 입힌 다음 계란 옷 입힌다. 그 위에 튀김가루나 빵가루를 입혀 튀겨낸다. 튀긴다기보다는 지져낸다. 굴전 하는 것과 같다. 단 굴전은 조금 덜 익혀도 되지만 홍합전은 다 익혀야 한다. 홍합은 날로 먹으면 입이 아리다. 어차피 요리는 배합과 타이밍, 몇 번 하다보면 타이밍을 맞출 수 있다. 뜨거울 때 먹는 게 좋다. 잘되었다면, 어느 전보다도 맛이 뛰어나다. 말린 홍합으로는 맛이 떨어진다. 123쪽


- 날치
"새가 바다에서 나왔어요."
이녀석들은 툭하면 수면을 박차고 비상을 하는 버릇 탓에 예전 서양에서는 아죽 못된 놈으로 여겼다 한다. 어린 주제에 턱 밑에 수염이 달려 있어서, 태어남과 동시에 몹시도 버르장머리 없어지기 때문인데 그러기 때문에 적이 많아 늘 도망을 친다는 것이다. 물론 날치가 나는 이유는 무엇에 놀랐거나 포식자가 나타났기 때문이다. 가장 멀리 갈 때는 3~400미터까지 날기도 한다. 멀리 날기 위해 소화 잘 되는 플랑크톤을 먹고 빨리 소화하고 빨리 싸는 형태로 진화되었다. 그래서 장이 매우 짧다. 157쪽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대화신청!

좋!아!요!


#대화신청



갑돌이 : "국가가 너를 위해 무엇을 해 줄 수 있는지 묻지 말고

네가 국가를 위해 무엇을 할 수 있는지 생각해. 가만 있으면

돈이 나오냐, 노력을 해!!"






계순이 :  "넌 태어나기를 3루에서 태어났는데 자기는 3루타를 쳤다고 생각하는 것 같은데"






갑돌이 : "메모는 기억하기 위해 하는 것이 아니라

잊기 위해 하는 것이라는 말이래. 좋은 말을 해주면 

좀 적어라!!" 






계순이 : "가장 중요한 결정은 무엇을 할 것인가가 아니라

무엇을 하지 않을 것인가를 결정하는 것이라는 말 모르냐? 

나는 안하기로 했다."





갑돌이: "그렇게 꾸물거리다간 아무것도 못해. 열심히 노력을 하라구! 네가 두려워해야 할 것은 두려움 뿐이야."






계순이 :"우기에는 모기도 많단다. 닭모가지를 비틀어도 새벽은 온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