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처형극장 ㅣ 문학과지성 시인선 190
강정 지음 / 문학과지성사 / 1996년 12월
평점 :
품절
실종
플루트를 배우리라, 나는 마음먹는다
빗물에 희미하게 뒤섞인 보이지 않는 소리의 손들이 실어 나르는
낡은 요령(搖鈴) 같은 사립학교 도서관 맨 끝자리에서
나는 죽음보다 더 뚜렷한 내 삶의 다른 서문(序文)을 꾸미고 있다
이리저리 거처를 상실한 꿈들이 매일 밤 새로운 빗물에 젖어,
순간마다 죽는 그 젖은 몸들을 잃어버린다
주민등록증, 집에 갈 여비, 몇 겹의 꾸깃꾸깃한 지폐처럼
종적이 묘연해지는 시들을 나는 다시 찾으려고 하지 않는다
잃은 걸 찾지 않는다는 게 무언가, 나는 다시 플루트를 배우리라, 생각한다
그 길다랗고 작은 몸은 소리를 뱉으면서, 다시 소리를 죽이는 것 같다
소리가 엮는 그림이 없고, 나는 소리의 몸이 오라고 호소하는 일말의
자아(自我)도 없는 것 같다 그래서 나는 플루트를 배우리라, 내 여위고
길쭉한 몸을 대롱 삼아 실눈의 탐색전을 전개하는 빗방울들의 치명적인
적(敵)이 되리라, 꿈꾼다 꿈꾼다는 게 숙취에서 깨는 첫 눈뜸처럼 무언가를
삭히려, 삭혀서 지워버리려는 의지와 같은 것이라고 생각한다
내가 플루트를 배우면 플루트는 나를 배울까? 내가 밟고 지나는 순간들은
그 짧은 감식의 여운을 지우며 내 뒷덜미에 날아드는 매순간의 실족은
아닌가, 나는 깨닫는다 깨달음의 방망이질에 얻어 맞는다 얻어맞아도
하나도 아프지 않은 그런 걸 나는 감히 내 죽었음의 실증(實證)이라고 우겨본다
플루트를 배우리라 플루트의 작은 주둥이에서 빠져 나오는 몸 없는 소리처럼
나는, 죽지 않고 다만 지워지리라 서태지쯤 되는 누군가가 먼지 또는
바람 같은 것으로 떠돌 내 넋을 붙들어 우리 모두 지워지자는 노래 하나
만들어 부를지도 모르니까
미래란 게 도대체 있기는 있을랴마는
강정, 『처형극장』中
+) 이 시집에서 시인은 죽음에 대한 강한 집착을 보이는데 그것은 때로 생에 대한 연민으로, 때로 생에 대한 의지(끌림)로 드러난다. "살아서 죽음을 보여주는 것 / 죽음을 살아낼 테야"[당신을 만난 이후로]라는 시구를 통해서도 나타나듯 화자에게 있어서 죽음은 삶의 일부로 묘사된다. 그것은 이분화된 것이 아니라 처음부터 하나인 것이다.
화자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보다 불안에 대한 두려움이 더 크다. 정확히 지적하면 불안한 삶에 대한 두려움이 죽음처럼 공포감으로 다가오는 것이다.( "죽음이 두려운 건 아니다 액체의 시간이 가로막는 눈을 뜨고 나는 연극 속에 살아 있다"[촌극(寸劇)의 형태])
불안은 미래에 대한 희망을 사라지게 만들었다. 시인에게 "미래란 게 도대체 있기는 있을랴마는" 그는 "죽지 않고 지워지는" 존재들을 떠올리며 "넋"을 대신하는 "노래"를 부른다. 그에게 몸(육체)은 음악(소리), 미술(그림) 같은 역할을 한다. 몸 중에서도 특히 "입"은 입구와 출구의 역할을 하고 있다. 그것은 이 시집에서 동시에 아우르는 몸의 책임을 보여준다.
살기 위해 죽음을 선택하거나, 죽기 위해 삶을 선택하거나 하는 것은 시인이 관심 갖는 것이 아니다. 그는 그저 자신의 "적"이 되는 "유일한 대안, 유일한 결론, 유일한 삶"을 꿈꾼다. 그 목적을 위해 필요하다면 죽음도, 음악도, 신까지도 그에게 모두 기본적으로 거치는 하나의 발판이 되는 것이다.
솔직히 강정의 첫 시집에서는 시인의 정리되지 않은 관념들을 발견할 수 있었다. 그렇기에 두번째 시집처럼 촘촘한 사유가 엿보이는 작품들을 쓸 수 있었을지 모르겠지만, 어쩐지 이 시집은 우울한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만큼 혼란스러운 작품이 많았다고 생각된다. 그만큼 아쉬움이 많이 남는 시집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