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여행의 기술
알랭 드 보통 지음, 정영목 옮김 / 이레 / 2004년 7월
평점 :
구판절판
미래에 대한 근심은 우리의 마음을 떠나지 않는 듯하지만, 정작 그것을 돌이켜보는 것은 안타깝게도 쉽지 않은 일이다. 어떤 장소로부터 돌아오자마자 기억에서 제일 먼저 사라지는 것이 바로 앞으로 다가올 시간을 생각하며 보낸 과거의 많은 시간, 즉 우리가 있는 곳이 아닌 다른 곳에서 보낸 과거의 많은 시간일 것이기 때문이다. 이렇게 보자면 어떤 곳에 대한 기억과 그곳에 대한 기대에는 모두 순수함이 있다. 각각의 경우에 도드라져 나오는 것은 장소 자체이기 때문이다.
「기대에 대하여」
어쩌면 우리가 슬플 때 우리를 가장 잘 위로해주는 것은 슬픈 책이고, 우리가 끌어안거나 사랑할 사람이 없을 때 차를 몰고 가야 할 곳은 외로운 휴게소인지도 모른다.
「 여행을 위한 장소들에 대하여」
"나는 나의 활동에 보탬이 되거나 직접적으로 활력을 부여하지 않고 단순히 나를 가르치기만 하는 모든것을 싫어한다."
「호기심에 대하여」
우리는 사막에 있지 않을 때도 다른 사람들의 행동과 우리 자신의 결함을 보고 스스로 작다고 느끼는 경향이 있다. 굴욕은 인간 세계에서는 항상 마주칠 수 있는 위험이다. 우리의 의지가 도전받고 우리의 소망이 좌절되는 일은 드물지 않다. 따라서 숭고한 풍경은 우리를 우리의 못남으로 안내하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 익숙한 못남을 새롭고 좀 더 도움이 되는 방식으로 생각하도록 해준다. 이것이야말로 숭고한 풍경이 가지는 매력의 핵심이다.
숭고한 장소는 일상생활이 보통 가혹하게 가르치는 교훈을 웅장한 용어로 되풀이한다. 우주는 우리보다 강하다는 것, 우리는 연약하고, 한시적이고, 우리 의지의 한계를 받아들일 수 밖에 없다는 것, 우리 자신보다 더 큰 필연성에 고개를 숙일수밖에 없다는 것.
「숭고함에 대하여」
알랭 드 보통, 『여행의 기술』中
+) 알랭 드 보통의 문장은 치밀한 사색이 강점이라고 생각된다. 감수성을 자극하는 몇 마디 가벼운 문장이 아니라, 문장 하나하나에 내재된 생각의 깊은 골이 최고라고 생각한다. 어찌보면 무거질 수 있는 문장임에도 불구하고 그의 손에 따라 매우 가벼워진다. 나는 그런 그의 문장에 매력을 느끼는데, 단순히 교양서라고 하기엔 남는 것이 참 많다.
여행을 떠나기 전에 이 책을 한번쯤 읽고 가야지 마음이 훨씬 가벼워지지 않을까 싶다. 그가 언급한대로 "기억은 단순화와 선택을 능란하게 구사한다는 점에서 기대와 흡사하기 때문"에 우리는 기억과 기대를 동반하는 여행을 떠나며 이 책 한 권쯤 갖고 가도 되리라 생각한다.
일탈을 꿈꾸며 여행한다는 그동안의 내 생각에 새로운 전환을 불러 일으킨 책이다. 여행은 길을 찾는 것도 아니며 쉬기 위한 것도 아니다. 그저 나의 상상력을 활발하게 움직일 수 있는 곳이라면 어디라도 좋은 것이다. 여행이라는 말은 육체의 움직임이 아니라 정신의 움직임이었다. 눈과 귀와 손이 따라 움직이는.
몇번이고 다시 읽어도 좋을 책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