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렌트 마지막 사건 동서 미스터리 북스 34
에드먼드 클레리휴 벤틀리 지음, 손정원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추리소설 역사상 가장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단편 추리소설을 들라면 최초의 근대적 추리소설인 포우의 <모르그가의 살인>이나, 홈즈가 등장하는 첫 단편인 <보헤미아의 스캔들> 정도일 것이다.

그렇다면 장편 중에서 역사적 의미가 가장 무거운 것은?
최초의 장편추리소설인 콜린스의 <월장석>?
불멸의 명탐정 홈즈의 데뷔무대인 <주홍색 연구>?
정통 본격미스터리의 완성자 반다인의 처녀작 <벤슨 살인사건>?
여제 크리스티의 처녀작이자 포와로의 첫등장인 <스타일즈 저택의 죽음>?
하드보일드의 시작인 해미트의 <말타의 매>?
가장 많은 사람들에게 최고의 작품으로 손꼽히는 퀸의 <와이의 비극>?

물론 위에 언급한 작품들도 추리소설사에서 아주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지만, 나는 역사를 통틀어 가장 중요한 장편추리소설로 벤트리의 <트렌트 최후의 사건>을 들고 싶다.

흔히 빅포(반다인, 크리스티, 퀸, 딕슨카)의 주요활동시기인 1930년을 정점으로 한 20여년간을 추리소설의 황금시대 혹은 제2황금기라 칭하는데, 이 황금시대의 시발이 바로 1914년에 벤트리가 발표한 <트렌트 최후의 사건>이다. 물론 이 작품 이전에 장편 추리소설이 없는 것은 아니지만, 홈즈 시대 단편 추리소설들의 단점들을 극복하고 장편추리소설만의 특징과 매력을 정립했으며 또한 이 작품이 뛰어난 장편추리소설들이 연달아 발표되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에서 <트렌트 최후의 사건>을 제2황금기의 시발로 보아야 할 것이다.

그리고 이 작품이 가지는 또하나의 중요한 의미는 장편추리소설 극초반기의 작품이면서 그때 까지의 추리소설들이 가지는 단순 추리퀴즈 같은 모습과 정형성을 상당부분 타파한 선구적 작품이라는 것이다. 사실 이 작품은 작품 전체가 홈즈식 초인적 탐정에 대한 하나의 장나기 섞인 조롱이자 거대한 풍자라 할 수 있다. '모든 증거에 완벽하게 부합하는, 초인적인 추리력을 자랑하는 주인공 탐정의 추리는 항상 진실이다.' 작가 밴트리는 이 불문율에 가까운 명제에 의문을 던진다. 고전 추리소설에 대한 이러한 문제제기는 버클리 콕스의 주특기이기도 하고, 니콜라스 블레이크 같은 신본격파 작가의 특징이기도 하지만, 출간연도를 고려하면 <트렌트 최후의 사건>의 경우가 가장 큰 도전이자 도약이라 하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