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속 여행 쥘 베른 걸작선 (쥘 베른 컬렉션) 1
쥘 베른 지음, 김석희 옮김 / 열림원 / 2002년 11월
평점 :
절판


전세계 문학의 인물중 가장 많이 영화화된 케릭터가 도일의 홈즈라는 사실은 대부분의 사람들이 알고 있을 것이다. 그런데 2등은? 놀랍게도 문학의 인물중 두번째로 영화화가 많이 이루어진 케릭터는 얼 데어 비거즈의 찰리 챈이라고 한다. 이 놀라운 기록만큼이나 충격적인 사실은 책의 해설에도 나와있듯이 지난 1세기 동안 가장 많이 번역된 작가가 쥘 베른이라는 사실이다. 역자의 통계는 번역된 책의 종수만을 고려하여 실제적 부수와는 많은 차이가 있을것이라는 생각이 안드는 것은 아니지만, 쥘 베른이 이토록 오랜세월동안 널리 읽히고 있다는 사실은 그가 세월의 무게와 문화의 차이를 아우르는 뛰어난 고전작가라는 사실을 분명하게 증명한다.

<지구 속 여행>은 여러면에서 도일의 <잃어버린 세계>와 비교가 되는 작품이다. <잃어버린 세계>가 태고의 신비로운 생태를 남미의 오지에서 발견하는 스토리라면, <지구 속 여행>은 그것을 땅속 깊숙한 곳에서 찾는다. 그리고 단순한 모험의 서술에 그치지 않고 태고의 생태나 지구의 지질학적 역사에 대한 나름대로의 과학적 설명을 시도하고 있다는 점도 유사하다. 탐험의 주체가 되는 인물들의 설정도 전체적으로 비슷하다. 주인공격인 <잃어버린 세계>의 챌린저교수와 <지구 속 여행>의 리덴브로크 교수의 괴팍하고 학문에 대한 열정이 가득한 이미지가 그렇고, 두 작품 모두 발랄하고 위트있는 젊은 관찰자의 시선을 사용했다는 점이 역시 그렇다. 그리고 충직한 솜털오리 사냥꾼 한스는 <잃어버린 세계>의 믿음직한 탐험전문가 록스턴과 비교될만한 케릭터이다.

<지구 속 여행>은 140년가량 전세계적으로 널리 읽히는 프로토 에스에프 또는 경이소설의 고전명작이다. 그러나 여러면에서 <잃어버린 세계>보다는 조금 못미치지싶다. 진행의 박진감이 부족하여 읽는 재미면에서 <잃어버린 세계>보다 못하고, 묘사의 현실감이라든가 유머와 재치면에서도 약간 뒤진다고 생각된다. 묘사의 현실감이라는 측면에서 도일이 워낙 정평이 난 작가이고 <지구 속 여행>도 그다지 현실감이 부족한 편은 아니며 유머라는 요소도 내가 프랑스보다는 영국작가의 작품에 익숙한 탓일수 있겠으나, 진행의 밋밋함은 확실한 약점이라고 생각된다. 물론 100년도 넘은 고전 모험소설에 현대소설과 같은 요란한 활극을 기대할 수야 없지만 <지구 속 여행>은 좀 지나치다 싶을 만큼 정적이라는 느낌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