괴도신사 아르센 뤼팽 까치글방 아르센 뤼팽 전집 1
모리스 르블랑 지음, 성귀수 옮김 / 까치 / 2002년 3월
평점 :
품절


홈즈가 등장한다는 것이 께름직하기는 하지만, 제법 재미있는 책이다. 시적이고 장식적 문체는 순수문학을 지향했다는 르블랑의 만만치 않은 문재를 증명해주고, 다양한 구성과 소재는 감탄할 정도이다. 뤼팽이란 캐릭터 역시 처음부터 강렬한 느낌으로 다가왔다.

그러나 이 작품은 추리소설적으로 낙제 수준이다. 이 작품에 수록된 단편들도 여느 추리소설처럼 수수께끼를 제시하고 해결하고 추론과정을 설명해주는 형식으로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탐정이 아닌 범인을 주인공으로 하였기에 일반적인 과정인 발단→전개→해결의 순서적 고정성에서 탈피하여 그 순서를 자유로이 바꿀 수 있는 장점이 잘 활용하여 다양한 플롯을 보여주었다.

그러나 세부적으로는 해결의 단서를 독자에게 제시하는 데에 너무 인색하고, 트릭은 어이없을 정도로 간단하며, 추론과정에도 날카로운 맛이 없다. 불가능한 일도 뤼팽이니까 가능하다는 식의 설정도 너무 많다.

구성과 문체가 훌륭하고 뤼팽이라는 매력적 캐릭터가 있고... 무언가 대단한 것이 있을거 같은데 가운데가 텅 비었다. 이렇게 된것은 아마도 지나치게 홈즈를 의식한 탓이 아닐까? 홈즈가 이성으로 나간다면 이쪽은 감성으로 승부한다는 컨셉에 너무 얽매이는 듯하다. 영국의 홈즈에 대항할 만한 우리의 영웅이 있어야 한다는 다소 치기섞인 발상에서 탄생한 뤼팽의 태생적 한계일까? 영국대 프랑스, 명탐정대 괴도, 이성대 감성, 추리대 활극... 이런 구도에서 자유로울 수 있었다면 훨씬더 멋진 작품이 되었을 것인데, 르블랑은 도일을 너무 의식하여 스스로 자신의 한계를 설정한 꼴이다.

하지만 아무리 홈즈를 끌어와 뤼팽에게 패하는 모습을 연출해도(이 작품에서 홈즈가 심한 꼴을 당하는 것은 아니지만 기암성에서 홈즈는 아주 엉망이 된다. 능력 뿐 아니라 인간성까지) 그것이 무슨 의미인가! 도일을 읽은 사람은 도일의 홈즈와 뤼팽의 홈즈가 완전히 다르다는 것을 안다. 르블랑의 작가적 양식만 훼손될 뿐이다. 홈즈와 뤼팽을 추리소설의 양대산맥이라 하는 사람도 있으나, 공허한 말이다. (추리소설에 무지한 사람이거나 르블랑의 팬이 아니라면 누가 그런 소리를 할 것인가!) 홈즈라는 튼튼한 산은 다른 곳으로 옮겨가도 굳건히 설 수 있으나 거기에 기대고 있던 뤼팽이라는 기형산은 홈즈가 떠나가면 힘없이 무너진다.

첫작품을 낼 때까지 도일에 대해 들어 보지도 못했다는 작자나 셜록 홈즈를 헐록 쇼메즈로 바꾼 것에 대해 프랑스적 기지 운운하는 역자나... 참 대단한 사람들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