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석의 노인 사건집 동서 미스터리 북스 63
에무스카 바로네스 오르치 지음, 이정태 옮김 / 동서문화동판(동서문화사) / 2003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문제 하나! 추리소설 속의 탐정들 중 가장 전형적인 '안락의자형'은? 추리소설에 문외한이라면 '안락의자형? 그게 몬데ㅡㅡ?'라고 반문할 테고, 추리소설을 제법 읽은 사람 중에는 구석의 노인이라고 대답하는 경우가 꽤 많을 것이다. 만약 당신이 여기에 해당한다면 미안하지만 당신은 대단한 매니아는 못된다.

'안락의자형'이란 발자국이나 지문 따위를 조사하거나 용의자를 심문하고 주변인물들을 탐문하는 등의 일체의 몸을 움직이는 수사활동을 배제하고 오로지 이성적인 추리로만 사건을 해결하는, 마치 안락의자에 편안하게 앉아 퀴즈를 풀듯이, 유형의 탐정이다. 홈즈를 비롯한 고전시대의 탐정들은 기본적으로 모두 이 유형에 속한다 할 수 있고 해미트 챈들러류의 하드보일드 탐정들은 이들의 비현실성에 대한 반발로 탄생했다.

그러나 전형적이라 할 만큼 '안락의자형'의 의미에 충실한 탐정은 극히 드물다. 있다면 맥스 캐더러스나 네로 울프 정도(이들은 육체적 활동을 하기에 치명적인 약점 가졌다. 맥스는 장님 네로는 걷기 어려울 정도의 비만)... 고백하면, 나역시 이 책을 실제로 읽기전까지는 막연하게 구석의 노인이 전형적인 안락의자형일거라고 생각했었다. '여기자가 들려주는 이야기와 신문기사만으로 수수께끼에 휘둘린 사건들을 척척 해결해내는 신비스러운 노인'... 이런 생각은 완전한 착각이다.

실상 구석의 노인의 행동력은 고전시대 탐정들 중에서 아주 높은 편에 속한다. 이 괴상한 노인네는 재판방청을 열심히 하고 용의자 사진도 찍고 어디서 그렇게 많은 자료를 모았는지 사건관련인물들에 대해 모르는 것이 없다. 그리고 사건의 발단에서 전개 이후 결론까지 일사천리로 자세하게 설명해준다. 여기자 폴리는 가만히 듣고있을 뿐이다.(폴리의 존재이유는 심히 의심스럽다)

읽기전에 가졌던 이미지와 많이 다른 구석의 노인은 지나치게 일인독백식의 대사 중심이라 현장감과 긴장감이 많이 부족하다. 그리고 주인공이 경찰에 관계하기 싫어한다는 설정이고 물리적 증거에 의존하는 바가 미미하기 때문에 대개의 경우 그가 제시하는 추론은 완전하게 증명되지 못한다(마치 반다인의 카나리아 살인사건 처럼). 뒷맛이 깔끔하지 못하다는 뜻이다. 그리고 비슷한 트릭과 패턴이 너무 많이 사용되어서 의외성의 차원에서 심각한 문제가 있다.

그러나 이 작품에도 분명한 미덕이 있으니, 우선 작품들이 비슷비슷하다는 단점에도 불구하고 작품 하나하나는 매우 우수한 편이고(그중에서도 <엘리어트 사건>과 <트레먼 사건>은 확실한 A급 명작이다), 고전시대 작품답지 않게 동기를 중요하게 다루고 심리적 요소를 강조하였다는 것은 이후 등장하는 반다인 등의 장편미스터리 거장들의 작풍형성에 많은 도움이 되었다.

구석의 노인은 여러면에서 아쉬움이 남긴 하지만, 개개의 작품수준이 훌륭하고 제이황금기 장편추리소설 정립에 지대한 공헌을 한 제일황금기의 명작단편집이다. 홈즈나 브라운 신부에 비하면 손색이 있으나 매니아의 필독서로서 부족함은 없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