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ecember (20th Anniversary Edition)
조지 윈스턴 (George Winston) 연주 / 소니뮤직(SonyMusic) / 2001년 10월
평점 :
품절


나는 음악에는 문외한이다. 노래부르는 것이야 즐긴다.  다룰 줄 아는 악기도 거의 없다. 지난해에 기타를 처음 배워보았다. 더듬거리면서 6개코드로 모든 노래를 반주하고 목놓아 부른다. 피아노는 겨우 오른 손으로 '학교종이 땡땡땡'을 치는 수준이다. 그렇지만 음악을 듣는 것은 좋아한다. 그러나 내 음악감상실력으로 식별이 가능한 음반은  열 손가락에 꼽을 정도다. 이때까지 주로 들어온 것은 대중음악이다. 몇 년 전에야 겨우 바하나 모짜르트의 대표곡을 들어보고 황홀함을 느꼈다.

 

조오지 윈스턴을 만난 것은 내 인생에서 한 전환점이 되었다.  음악감상의 삶에서 그렇다는 것이다. 처음 만난 음반은 다. 그것도 대형할인점의 음반코너에서 우연히 접하게 되었다. 망설이다가 샀던 것으로 기억한다. 들어보니 참 무어라 말할 수 없이 기막히더라. 그 다음에 산 것이 바로 이 시디다.  '몬타나'와는 다른 느낌이다.  너무도 유려하고 그렇다. 정말 물이 흐르는 고요한 계곡에 있는 느낌이 든다. 무릉도원으로 향해 가는 개울에 봉숭아꽃잎이 동동 떠오는 광경이랄까. 나는 아침에 일어날 때 이 음반을 틀어주도록 맞추어 놓았다. 덕분에 아침이 감미롭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시청 마당에 주차를 하고 차에서 내리다
저녁 종소리를 들었다
직장 문을 나서며 어디론가 쏜살같이 달려가는 차량들
시간을 다투듯 급하게 걸음을 떼거나
신호등 앞에 멈추어 서서 초조해하고 있는 사람들
머리 위를 지나 아스팔트에 깔리는 종소리
아무도 귀를 기울이는 이가 없는 도시 한복판을
떠돌다 사라지는 성당의 종소리
그렇다, 아무도 듣는 이 없는 것처럼 보여도
누군가 이 소리 듣고 마음이 움직이거나
발걸음을 돌리는 사람 분명히 있으리라 믿으며
울리는 소리가 반드시 있다
반드시 이 소리 듣는 이 있으리라 확신하며
막막한 허공으로 떠나보내는 소리가 있다
그렇게 매일 종을 치는 사람이
                                                     <슬픔의 뿌리>

도시와 종소리는 안 어울리는 것 같다. 종소리는 꼭 산천과 농토 위를 울려퍼져야만 살아있는 것 같은 느낌이다. 그러나 도시에도 사람은 살고 있고, 희망 역시 존재하는 것. 이 속에도 '숨은 도인'은 많다. 도를 구하고, 사랑을 찾으면서 자기 그림자를 뒤돌아보며, 혹은 달팽이처럼 느릿한 걸음으로 사물을 살피는 사람도 있다. 그렇다. 우리는 듣는 이 없어보일지라도 매일 종을 치는 종치기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물러나는가 싶더니 황사가 또 하늘을 덮습니다
세월 흘러도 늘 푸른 염결과 지조를 지닌 그대여
나는 그대가 이 봄에는 정향나무처럼
사람 사는 동네에도 뿌리내리기를 바랍니다
설한풍에도 변치 않던 그대 굳건함 믿는 만큼
훈풍 속에서 짙고 부드러운 정향나무처럼 살아도
그대 변치 않을 것임을 나는 믿습니다
소나무는 지나치게 우뚝하고 단호하여 근처에
다른 수목들이 함께 살기 힘겨워합니다
없는 듯 있으면서 강한 향기 지닌 정향나무는
사람의 마을에 내려와 먼지 속에 살면서도
저 있는 곳을 향기롭게 바꿀 줄 압니다
그런 나무처럼 당신도 낮고 깊은 향기로
사람들 사이에 꽃피기 바랍니다
지금 쓸쓸하고 허전하지만 우리가 그나마
여기까지 온 것은 그대들 때문임을 압니다
그대들이 골목골목 꽃 피어 세상이 풍요롭기를 바랍니다
그러면 세상 속으로 내려온 철쭉도 민들레
조팝나무도 내심으론 다 기뻐할 것입니다
                                                     <슬픔의 뿌리>

 

먼지 날리는 세상 속에서도 의연히 자기 향을 잃어버리지 않는 정향나무. 정향(丁香)이라고 나와 있다. 먼저 저 있는 곳을 향기롭게 바꾸기 전에 자기자신이 늘 향기로운 나무. 소나무의 의연함이 필요하던 시대는 설한풍의 시대였나? 이제 훈풍 속에서 오래오래 꽃피우는 시기가 되었나? 골목 속에 산다는 것이 더 힘든 시대라는 것은 살아보니 알겠다. 일상의 힘은 참으로 거대하다. 생활의 발견이라고 할 만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슬프지만 꽃은 집니다
흐르는 강물에 실려 아름답던 날은 가고
바람불어 우리 살에도 소리없이 금이 갑니다
사시사철 푸른 나무로 살고자 하던 그대를
소중히 여기면서도 그대에게 꽃 지는 날이
찾아온 것을 다행으로 생각합니다
그대 이기고 지고 또 지기 바랍니다
햇살로 충만한 날이 영원하지 않듯이
절망 또한 영원하지 않습니다
가지를 하늘로 당차게 뻗는 날만이 아니라
모진 바람에 가지가 꺾이고
찢겨진 꽃들로 처참하던 날들이
당신을 더욱 깊게 할 것입니다
슬프지만 피었던 꽃은 반드시 집니다
그렇지만 상처와 아픔도 아름다운 삶의 일부입니다
                                                                 <슬픔의 뿌리>

꽃이 지는 일이 슬픈 일인가? 그렇다. 단풍이 지는 것이 슬픈 일인가? 그렇다. 바람에 날리든, 저절로 떨어지든 꽃이 지는 것은 가슴 아픈 일이다. 이제 따스한 봄날은 가고 무더운 여름, 싸늘한 겨울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과연 처참하던 날의 상처가 나를 깊게 할 것인가? 모른다. 처참함이 삶의 일부라는 것을 인정하긴 하지만 삶을 깊게 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지는 모르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산을 오르며

                                                                        도종환
산을 오르기 전에 공연한 자신감으로 들뜨지 않고
오르막길에서 가파른 숨 몰아쉬다 주저않지 않고
내리막길에서 자만의 잰 걸음으로 달려가지 않고
평탄한 길에서 게으르지 않게 하소서

잠시 무거운 다리를 그루터기에 걸치고 쉴 때마다 계획하고
고갯마루에 올라서서는 걸어온 길 뒤돌아보며
두 갈래 길 중 어느 곳으로 가야 할지 모를 때도 당황하지 않고
나무가지 하나도 세심히 살펴 길 찾아가게 하소서

늘 같은 보폭으로 걷고 언제나 여유 잃지 않으며
등에 진 짐 무거우나 땀 흘리는 일 기쁨으로 받아들여
정상에 오르는 일에만 매여 있지 않고
오르는 길 굽이굽이 아름다운 것들 보고 느끼어

우리가 오른 봉우리도 많은 봉우리 중의 하나임을 알게 하소서
가장 높이 올라설수록 가장 외로운 바람과 만나게 되며
올라온 곳에서는 반드시 내려와야 함을 겸손하게 받아들여
산 내려와서도 산을 하찮게 여기지 않게 하소서
                                                                                     <슬픔의 뿌리>

 

산을 오르는 것을 인생에 비유하는 이야기들이 많이 있다. 이 짧은 시 안에도 그와 같은 이치가 가득하다.  인생의 메시지가 각 행마다 들어있다. 들뜨지 말며, 주저않지 말며, 조급하지 말며, 게으르지 말며. 누가 이런 인생의 함정들을 그냥 비껴갈 수 있겠는가. 우리는 모두 다 결점투성이인 사람들이다. 다만 인생의 이치를 제대로 알게 되면 그런 구덩이들에 빠지지 않고, 큰 상처 입지 않고 길을 갈 수 있지 않겠나. 내가 지금 마음에 쏙 드는 구절은 '산을 하찮게 여기지 않게 하소서'라는 구절이다. 인생은 한번 뿐이라는 사실을 늘 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