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료를 드립니다 - 제8회 윤석중문학상 수상작 미래의 고전 27
이금이 지음 / 푸른책들 / 2012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몇 년 전의 일이다. 어느 날 공원을 따라 귀가하는 길에 몇 명의 아이들이 모여서 잡담을 나누는 것을 얼핏 듣게 되었다. 친구들이야기를 나누는 중인 것 같은데 표현이 너무 날것이라서 참 놀랬던 기억이 있다. 그러다 한 아이가 일어나더니 "이제 엄마 아빠의 착한 딸 역할을 하러 집에 가야겠다"라고 말하며 깔깔거리는 것이다. 내가 이미 기성세대가 된 것일까. 아이들의 이야기가 참 무섭고도 낯설게 느껴졌었다. 그런데 바로 이 책 <사료를 드립니다>를 읽으니 그때의 그 느낌이 다시 드는 것이다.

 

평범한 우리 이웃의 아이들의 일상을 다룬 것 같은 다섯 편의 단편을 모은 이 책은 서로 다른 이야기를 다루고 있지만 마치 한 아이의 이야기인 것처럼 서로 닮아 있는 것 같다. 내가 어렸을 적만 해도(이러니 난 진짜로 기성세대가 틀림없다) 가족은 왠지 푸근하고, 따뜻한 느낌을 주는 단어였던 것 같은데 이 책의 가족들은 좀 삭막한 기분이 들게 한다. 우리 사회가 그만큼 경쟁이 심해서 그런걸까. 공부 잘하는 아이들이 아닌 그저 평범한 수준의 아이들은 벌써부터 왠지 낙오자가 된 것 같은 느낌이 들게 한다. 조금이라도 내가 이익을 볼려면 엄마에게도 잘보여야 하고, 아부해야만 되는 것일까? 그러면 나는? 나도 내 아이들에게 그렇게 하고 있는 것 같기도 하다.

 

사실 내 아이는 미운 네 살이다. 땡깡을 부리고, 엄마에게 덤빌때면 괴물이 따로 없다. 그럴때면 나 역시도 아이에게 윽박지르고, 협박조로 말을 하곤 한다. 아이가 책을 보고, 얌전하게 굴면 그렇게 예쁠 수가 없다. 나 역시도 어린 시절이 있었기에 부모에게 미울 때도 있었고, 예쁠 때도 있었을 것이다. 하지만 내 엄마는 항상 느긋하게 나를 바라보고, 큰 소리도 내지 않으셨던 것 같다. 그런데 나는 아이의 행동에 쉽게 꼬리표를 붙이는 말들을 쏟아낸다. 왜 그럴까. 한 동안 생각해 보니, 불안이 그 이유였다. 아이를 키우면서도 늘상 자신없고, 잘 키우고 있는 건지 확신이 서질 않아서 그런 것 같다.

 

다들 그러니 어쩔 수 없다고 체념할 것이 아니라 좀 더 여유를 갖고 내공을 쌓아야 겠다는 생각이 든다. 아이들은 부모의 믿음을 먹고 자란다. 아이들이 흔들리지 않고 단단하게 자랄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