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우개 따먹기 법칙 - 제8회 푸른문학상 수상작, 4학년 1학년 국어교과서 국어 4-1(가) 수록도서 작은도서관 33
유순희 지음, 최정인 그림 / 푸른책들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지금 생각해보면 왜 그랬나 싶지만 어릴적엔 친구들과 여러가지 것을 따먹는 놀이가 많았던 것 같다. 딱지치기, 구슬치기, 핀따먹기 등등... 조카 아이가 카드 따먹기를 해서 카드를 많이 땄다는 말을 들었을 때 "카드가 많으면 좋니?" 라고 물었던 기억도 있다. 어른이 된 지금에야 다 하잘 것 없어 보이는 것이지만 어릴적에는 그 나름의 즐거움이 있었던 것 같고 그 과정에서 친구와의 다툼도 생겼던 것 같다.

푸른문학상 수상작인 <지우개 따먹기 법칙>를 읽었다. 우선 최정인 그림작가의 익살맞은 그림이 눈에 들어온다. <싫어요 몰라요 그냥요>와 <호랑이를 탄 할머니>를 통해서도 작가의 그림을 보면서 재미를 느꼈는데 이 책을 통해 또 만나니 반가운 느낌마지 든다.

이 책은 우스워 보이는 지우개를 통해 친구가 되는 것에도 법칙이 있다는 것을 깨닫게 되며 유순희 작가는 어떻게 이런 작은 소재를 가지고 이렇게 법칙을 생각하게 되었는지 참 궁금해진다.  모든 면에서 다 잘할 것 같은 아이도 찾아보면 못하는 부분이 있고, 꼬질꼬질 냄새나는 아이에게도 소중한 사람과 따뜻한 마음이 있고 잘하는 분야가 있다는 것을 다시한번 생각하게 된다. 비단 아이들 세계뿐만 아니라 어른들의 세계에서도 마찬가지인 것 같다. 그런데도 사실 어떤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은 너무도 단순하다. 공부를 잘한다거나 운동을 잘한다거나.... 이 모든 것이 결국은 나중에 돈을 얼마나 잘 버는가하고 직결된 문제가 되어 버리기도 한다. 

나도 내 아이가 뭐든 뒤쳐지지 않고 잘해내길 바라는 욕심이 있지만 살아보니 행복은 제각각인 것 같다. 가난하고 소박한 삶을 살아가고 있는 나도 지금의 생활에 만족하고 큰 욕심 부리지 않고 행복을 느끼면서 살아가니 말이다. 내 아이도 너무 버둥대지 않고 큰 욕심 부리지 않고 살아가길 원한다. 

내 아이가 커나가면서 만나게 될 친구들인 준혁이와 상보 모두에게서 겉모습뿐만 아니라 따뜻한 마음까지 느끼길 바래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