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장 왼쪽에서 가장 아래쪽까지 - B급 좌파 김규항이 말하는 진보와 영성
김규항.지승호 지음 / 알마 / 2010년 3월
평점 :
품절


십년전 쯤이었을까. 그때 다니던 직장은 참 편했다. 지하철이 끊기기 전까지 혹은 끊겨서 택시를 타고 집에 가야 한 적이 많아서 몸이 편한 것은 아니었다. 그런데도 무척 편하게 느껴지는 이유는 직장 안의 인간관계가 즐거웠다는 이유이다. 다들 사회문제에 적고 많음은 존재했지만 관심이 있었다. 한겨레21과 씨네 21을 읽으면서 수다를 떠는 것도 즐거움 중의 하나였다.

그때 김규항을 만났던 것 같다. 씨네 21에 연재한 코너가 너무 너무 재미있어서 단행본도 구입해서 읽었던 것 같다. 그러다 한참동안 잊고 지냈었다. 이 책을 만나기 전까지는 말이다. 칼럼집인 줄 알았는데 대강 내용을 넘겨보니 인터뷰집이다. 끝까지 읽어낼 수 있을까 하는 우려도 있었지만 읽기 시작하자 너무 재미있고 내가 이런 책을 한동안 안읽어서 잊고 있어서 그렇지 바로 이런 책이 내가 좋아하는 책이란 것도 새삼 느꼈다. 전문 인터뷰어인 지승호씨의 질문에 김규항씨의 대답을 기록한 것으로 7개의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지승호씨는 정기구독했던 월간<인물과 사상>을 통해 익히 알고 있었던 사람이다. 

<가장 왼쪽에서 가장 아래쪽까지>라는 제목에서 알수 있듯이 김규항씨는 좌파다. 요즘엔 너도 나도 좌파이고, 너도 나도 진보주의자가 많다. 하지만 그 사람들 중 많은 사람들은 정치적으로 진보를 이용하려고 하는 사람들이 있다. 자신들의 기득권을 포기하려고 하지 않으면서 진보를 가장하면서 체제 속에서 자신의 위치를 굳건히 하려는데 이용한다.  이런 모습에 대해 김규항씨는 좌우의 분기점은 ’신자유주의’라고 말한다. 그는 김대중과 노무현 정권의 진보성이 조중동이나 한나라당과는 차이가 있지만 그들의 진보성은 신자유주의의 체제 안에서의 진보성이고 그 안에서의 차이일 뿐이라고 말한다. 개혁이라는 말이 진보와 같이 쓰여서 진짜 진보적인 것을 무력화시키며 극우 보수세력이 아닌 진보인체 하는 사람들이 사실은 신자유주의 체제를 유지시켜준다고 말하고 있다.

그의 말을 듣다보면 우리가 보통 알고 있는 진보라고 하는 인사들에 대해 진짜 진보인가 하는 생각이 들게 한다. 사실 우리 모두의 마음 속에는 내심 진보인 척하지만 어떤 측면에서는 신자유주의 체제를 그대로 인정하면서 살아가려는 모습들이 분명이 있다. 그래서 그의 글을 읽으면서 내 속에 있는 신자유주의에 대해 생각해 보게 되었다. 그리고 정말로 우리가 적으로 맞서 싸워야하는 사람들은 조중동이나 극우세력이 아니라 겉으로는 가짜 진보 행세를 하면서 속으로는 자신의 기득권을 움켜쥐려고 하는 사람들이라는 생각도 들게 한다. 

한때는 혁명에 대한 열정을 가지고 싸웠던 사람들도 결국은 한자리 차지하고 내밀만한 명함을 갖게 되면 ’계급’을 언급하는 것을 두려워하고 자신이 가진 것들에 대해 포기하려 하지 않으면서도 과거엔 내가 이랬다라고 술자리에서 안주거리로 삼는 모습도 주위에서도 볼 수 있다. 그래서 김규항씨의 이야기가 짜릿하게 느껴지는 것인지도 모른다. 

하지만 그렇다고 김규항씨의 사고에 전적으로 동감할 수는 없다는 것을 깨닫는다. 신자유주의를 바라보는 관점과 오늘날 진보를 입에 올리는 사람들의 행태, 특히 진보신당에 대한 견해, 교육문제에는 전적으로 동감한다. 하지만 북한에 대한 시각과 종교에 대한 시각은 나와 다르다는 것을 깨닫게 되었다. 이 책을 덮으면서 결국은 나는 어떤 존재인가, 내 아이의 교육은 어떻게 시킬것인가, 나의 세계관은 어떠한지 점검을 하게 되었다. 다만 한가지 나는 세상의 변화를 위해선 내가 가진 것을 온전히 바칠 생각이 여전히 있다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고나 할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