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이블 이야기
헬렌 맥도널드 지음, 공경희 옮김 / 판미동 / 2015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은 <잃어버린 매>가 인도하는 이상하고 이중적인 숲들을 탐사한 특별한 기록이다현대판 <오르페오>라고 하면 될까헬렌 맥도널드는 이 책에서 지옥을 보여준다지옥의 다른 이름은 <슬픔>이다.

 

    그저 아버지를 잃어버린 것일 수도 있다그는 여전히 거기잃어버리고 죽은 나머지 모든 것들과 함꼐 얽히고설킨 숲 속 어딘가에 있었다이제 나는 봄에 꾼 꿈들이매가 갈라진 틈으로 빠져나가 공중에서 다른 세계로 가는 꿈들이 의미하는 바를 안다나는 아버지를 찾아서 매와 함께 날아가고 싶었다그를 찾아서 집에 데려오고 싶었다. (본문 중에서) 


   이토록 <필사적인애도라니불의의 사고로 아버지를 잃은 충격과 슬픔에 빠진 헬렌이 <야생 참매>를 길들이는 과정을 담은 이 책은 날것의맹렬한 슬픔을 적나라하게 보여준다헬렌은 직접 조련하는 참매 <메이블>에게 자기를 투사한다바깥으로부터 오는 모든 빛을 차단한 작은 방 안에서 메이블을 주먹에 올려놓고 있는 헬렌의 모습은 <혼자이고 냉정하며슬픔에서 자유롭고인생사의 아픔에 둔>한 야생 참매와 닮아 보이기도 한다메이블이 잡아온 어린 토끼의 목을 비틀어 죽이고 내장을 뜯어낼 때는 냉혹한 사냥 본능에 충실한 한 마리 야생 짐승 그 자체 같다동시에 그녀는 야생 참매의 예리한 발톱 아래 붙들려 찢기고 피 흘리는 무력한 한 마리 토끼이기도 했다.

 

   여자들과 몇 차례 연애하긴 했지만 화이트의 판타지는 가학적이고 주로 청소년기 소년들을 향했다. 그는 이런 판타지가 유년기의 학대로 인해 생겼다고 확신했고, 수치스럽고 두려웠다. 그런 판타지 속에서 화이트는 그를 떄린 아버지와 학교 선생들 같은 학대자의 역할을 맡았기 때문이었다. 베넷의 치료는 이런 욕구들을 없애지 못했다. 그 욕구들은 화이트를 떠나지 않았다. 말년에 그는 멋진 남학생들에 대한 포르노 같은 소설을 썼고, 그것은 길고 끔찍한 고백이었다. 하지만 그는 원고를 감추었고 아무에게도 보여 주지 않았다. 평생토록 그는 욕망을 억압했다. (본문 중에서) 


   분노와 가학자기연민아예 <마음이란 게 없는슬픔의 극한을 오가는 헬렌의 위태로운 애도와그림자처럼 그녀 곁을 지키는 야생 참매와의 특별한 교감이 감동적으로 펼쳐진다. 헬렌이 매 훈련 지침서로 삼은 책 참매의 저자 T.H 화이트의 불행한 삶과 그의 <잃어버린 매고스와의 짧은 동거 이야기가 헬렌의 현실과 교차로 이어지는데이는 보다 극적인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세상과 담을 쌓고 야생의 삶을 택했지만 거기서도 평온을 얻지 못했던 가련한 사내는 책을 덮고 나서도 내 마음을 타박타박 걸어다닌다짧지만 강렬한 화이트의 이야기는 그 정도로 파문이 컸다.



   인간의 손은 다른 인간의 손을 잡으라고 존재한다. 인간의 팔은 다른 인간을 꼭 안으라고 존재한다. 토끼의 목을 부러뜨리고, 매가 사냥감의 흉강에서 피를 빨아먹는 동안 나뭇잎 더미에서 둘둘 말린 내장이나 찾으라고 손과 팔이 있는 게 아니다. 이런 일들이 일어나는 것을 지켜보는 내 마음은 괴롭다. 모든 게 영원한 현재에 잡혀 있다. 토끼는 호흡을 멈춘다. 매는 먹는다. 나뭇잎은 떨어진다. 구름은 머리 위에서 흘러간다. (본문 중에서)  

 

   더 이상 존재하지 않는 아버지를 찾아 슬픔이라는 지옥불에 뛰어든 헬렌. <잃어버린 매>가 상징하는 아버지의 죽음그 불가사의한 심연을 집요하게 응시하는 헬렌의 시선은 일면 섬뜩하기까지 하다맹렬한 슬픔과 냉혹한 야생을 오가면서그 사투 끝에 헬렌은 그토록 꿈꾸던 야생 참매가 되어 하늘로 솟구쳐 올랐을까물론 아니다그랬다면 《메이블 이야기》도 없었겠지인간을 인간이게 하는 건 무얼까슬픔의 극한까지 스스로를 내몬 한 인간의 통렬한 자기성찰을 담고 있는 이 책이 던지는 답은 이렇다불타는 지옥인 동시에 우리를 세상과 이어주는 중요한 끈야생 참매에게는 없는 그것상처 받고 슬퍼할 줄 아는 <마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3)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