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음은 몸으로 말을 한다 - 과학과 종교를 유혹한 심신 의학의 문화사
앤 해링턴 지음, 조윤경 옮김 / 살림 / 2009년 2월
평점 :
품절


 

 

 


    건강 관련 서적을 찾다 이 책을 만났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썩 흡족한 선택은 아니었다. 내가 기대한 것처럼 건강 실용서가 아니었기 때문이다. '마음은 몸으로 말을 한다' 제목에서 드러나듯이 몸과 마음의 관계를 다루고 있는 책은 맞다.

 

 

 

    마음은 몸으로 말을 한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수긍할 만한 제목이다. 생각과 감정에 따라 몸은 신호를 보내고 반응을 한다는 것을 우리는 잘 알고 있다. 너무 신경을 썼더니 머리가 아파. 신경성이야. 따위의 말을 하거나 들어보지 못한 사람은 없을 것이다. 나는 마음과 몸이 분리되어 있지 않고 연결되어 작용한다는 것을 매일 체험하는 사람 중 하나다. 신경성 위장병과 오래된 불면증, 숨쉬는 것보다 더 익숙한 불안에 시달리는 나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마음도 아프고 몸도 아프고. 대체 어떻게 해야 이 고통에서 벗어날 수 있을까, 하고 건강 서적들을 집적거리고 있,는,데 ~

 

 

 

    1장 '암시의 힘'은 비교적 흥미롭게 읽힌다. 신내림과 퇴마의식이 어떻게 과학과 융합하고 충돌하는지 그 과정을 생생하게 풀어내고 있다. 퇴마의식을 통해 권력을 휘두르는 퇴마사에 대립해 의학적으로 신내림 현상을 파헤치는 의사의 이야기는 몰입될 만큼 재미있게 묘사되어 있다. '암시'라는 것이 인간 몸과 마음에 어떠한 작용을 하는가, 그 놀라운 힘에 대한 이야기와 역사가 펼쳐진다. 최면과 플라시보 효과를 다루는 부분도 인상 깊다. 플라시보 효과의 부작용에 대해서도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2장 '말하는 몸'을 읽다 잠시 책을 덮었다. 몸과 마음이 너무 괴로워서 읽어내기 벅찼기 때문이다. 무거운 몸과 마음이 생활을 위협한다. 절박하고 위험한 일상 속에서도 내 몸은 말하기를 멈추지 않았다. 그 힘겨운 몸을 겨우 돌보고 있다. 이제야 다시 책을 펼쳐 본다. 다시, 인간의 몸과 마음에 관한 방대한 역사가 펼쳐진다. 아직 읽고 있는 중이라 확언할 수는 없지만 충분히 생각할 거리를 마련해주고 재미도 있다. 이 책을 읽으면서 나는 몸과 마음의 귀중함을 가슴 깊이 새길 것이다. 그리하여 몸과 마음의 목소리에 귀기울일 것이다. 지금 내게 중요한 것은 이것 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