잃어버린 것들의 책 폴라 데이 앤 나이트 Polar Day & Night
존 코널리 지음, 이진 옮김 / 폴라북스(현대문학) / 2008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과거내재아'를 다루는 책을 최근에 읽었다. <읽어버린 것들의 책>은 어른들의 육신에 내재되어 있는 어린아이를 다루고 있다. 역시 모든 어린아이의 마음 속에는 봄날의 씨앗처럼 어른의 모습이 웅크리고 있는 것이다. 그 부모의 그 자식이라는 말이 '과거 내재아'와 상통할까. 잠시 곰곰이 생각해본다. 그러다가 도리질친다. 일치할 가능성도 존재하고 엉뚱한 연결고리를 긋고 있을 가능성도 여전히 있다.

 

   이야기의 발단은 '데이빗'에서부터다. 정확히는 데이빗이 '살고 있는 세계'에서 시작된다. <잃어버린 것들의 책>은 성장소설이다. 데이빗이 무엇을 경험하고 느끼는가에 대해서 주의를 기울이면서 나는 읽기에 착수했다. 데이빗이 안정적으로 경험하던 세상이 아닌 곳에서 그의 행동이 어떻게 변모하는지를 지켜보는 데에 <잃어버린 것들의 책>의 묘미가 드러난다. 현실계와 '왕'의 세계의 연관성, 이음줄을 파악하고 난 뒤에 <잃어버린 것들의 책>은 한눈에 들어온다. 그리고 우리가 읽는 책, 책을 읽으면서 획득하는 간접체험의 의미에 대해서도 생각해보게 된다.

 

   데이빗이 자신의 세상으로 돌아가는데에 혼신을 다하고 있는 모습뿐 아니라 <잃어버린 것들의 책>은 매력적인 주변인물들이 존재한다. 데이빗과 왕의 관계, 우리에게 이미 익숙한 여러 동화의 이야기, 기존의 동화가 데이빗의 행동에 따라 조금씩 뒤틀리면서 색다른 맛을 더해주는 작용 등 <잃어버린 것들의 책>은 독특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잃어버린 것들의 책>은 다양한 비유, 은유가 사용되고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별도의 책을 옆에 놓고 읽어야 할 때가 있다. 한 권 책으로 구성된 것이 아니라, 그래서 부록으로 <동화, 어두운 성, 그 외의 다른 상징들>이 별도로 엮여 있다.

 

   나는 이 책을 '과거 내재아'의 관점에 따라 읽어나갔다. 무의식이 아닌, 우리의 경험에서 특정 누군가의 영향력으로 지금의 행동을 고찰할 수 있는 계기를 '과거 내재아'는 제공하고 있다. <잃어버린 것들의 책>을 읽고 있노라면, 나는 무엇을 더 경험할 수 있을까. 내 앞에 놓여진, 아직은 알지 못하는 미지의 가능성에 대해서 생각하게 된다. 생각에 자무룩히 빠져들게 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