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 그레이트 로젠펠트
다니엘 월러스 글.그림, 문은실 옮김 / 동아시아 / 2007년 9월
평점 :
절판


 

 

팀 버튼 감독의 영화 <빅피쉬 Big Fish>에 대한 기억은 여전히 내 마음에 잔잔하고 푸른 물결을 일으킨다. 그런데 이 밤, 또 한 마리의 커다란 물고기가 마음의 호수에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그 커다란 물고기를 내게 보내준 이는‘다니엘 월러스’이다. 그리고 그 물고기의 이름은 <오, 그레이트 로젠펠트 O Great Rosenfeld>다.‘다니엘 월러스’는 아무래도 great('커다란'의 뜻으로)한 것을 좋아하는가 보다. 영화 <빅피쉬>의 원작 소설을 쓴 것 또한 다니엘 월러스인데, 제목들에서부터 그러한 사실을 추측해볼 수 있지 않은가. 제목만 great한 것이 아니다. 그의 펜은 커다란 바람 주머니인지도 모른다. 그의 손끝에서 펜이 움직일 때마다 이야기는 자꾸만 부풀어 올라 great해지기 때문이다. 


<오, 그레이트 로젠펠트>의 주인공 로젠펠트는 몸집이 크지도 남성적인 힘이 넘치지도 않는다. - 제목의 great는 크다,가 아니라 위대하다,라는 뜻이다 - 그럼에도 그는 한 부족의 족장이다. 로젠펠트의 아버지이자 족장이였던 로젠펠트 2세가 벼랑에서 떨어져 세상을 떠났기 때문에 그 신분을 이어받은 것이다. 로젠펠트와 나머지 부족들은 로젠펠트 2세가 죽은 벼랑 앞 산등성이에 막사를 짓고 살고 있다. 그 벼랑을 건널 용기가 없기 때문이다. 로젠펠트는 몸집이 크지도 않지만 지혜롭지도 못하다. “로젠펠트는 나약하고, 불확실함으로 가득 차 있으며, 그러면서도 자신에 대한 지식은 철저히 결여되어 있다.”그는 눈앞의 벼랑에 대한 해결책으로 ‘벼랑들 근처에는 얼씬도 하지 말라’는 새로운 법을 만드는 것밖에 하지 못했다. 이렇게 무기력하고 바보 같은 족장에게 반감을 품는 이가 있었으니, 바로 ‘큰 사람 애킨스’이다. <빅피쉬>에서와 같이 이 이야기에서도 우리는 거인을 만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빅피쉬>의 거인과는, 보통 사람들보다 몸집이 크다는 공통점밖에는 없다.‘큰 사람 애킨스’는 똑똑하고 잘나고 힘이 센 만큼 무척이나 거만하다. 그는 로젠펠트의 통치 능력에 불만이 가득하다.“법은‘벼랑 주변에서는 아주 조심하라’여야 한다.‘얼씬도 하지 말라’는 것이 아니라. 그게 그 일로 배워야 할 점이야. 그의 아비는 발을 헛디뎠어! 누구에게나 일어날 수 있는 일이란 말이다.”그리고 이 불만은 마침내‘샐리’에 대한 욕망으로 폭발하고야 만다.‘샐리’는 존재 자체가‘아름다움’인 여인이다. 지나친 것은 모자란 것만 못하다는 말은 바로 샐리의 경우를 두고 하는 말이다. 그녀의 아름다움은 모든 남성들의 욕망을 부추기지 않을 수 없었는데, 약탈을 일삼는 윌슨 부족의 족장 윌슨 또한 그 아름다움에 마음을 빼앗기고 만다. 그러나 샐리의 거절로 로젠펠트 부족은 간신히 죽음을 모면하고 도망쳐,‘벼랑 사건’을 거친 뒤 벼랑 앞에서 살게 된 것이다.‘큰 사람 애킨스’는 그 거만함과 타고난 힘을 믿고 어느 날 도전장을 던진다. 샐리를 자신의 여자로 만들고 족장의 자리도 차지하기 위해서. 그렇지만 승리는 이미 로젠펠트의 것이었다. 왜냐하면 샐리는 ‘바보 같지만 착하고 상냥한 로젠펠트’를 사랑하기 때문이다. 그 사랑이 로젠펠트의 위대함을 증명해주는 동시에 위대함을 키워주는 힘이 된다. 로젠펠트는 마침내 벼랑을 뛰어 넘기로 결심한 것이다. “더 이상 여기, 벼랑 앞의 땅에 머물지 않는다. 우리는 이제 벼랑들을 뛰어 넘어 우리의 길을 가야 한다.” 


이것이‘위대한 로젠펠트’의 이야기이다. 로젠펠트의 위대함이란‘완전한 불완전함’이었다. 세상에는 똑똑하고 잘난 사람(큰 사람)들이 참 많다. 그리고 우리는 자주,‘큰 사람은 큰 문제가 되기도 한다’는 진실을 확인하게 된다. 똑똑하고 잘난 사람들만 있는 이 세상에서,‘스스로의 불완전함을 인정할 줄 아는’로젠펠트의 순수하고 겸손한 마음 자세는‘큰 사람’들이 본받아야 할 미덕이다. 그리고 이러한 마음 자세는‘샐리(아름다움)’와 함께‘벼랑을 건널 지혜와 용기’를 줄 것이다. 


이 모든 이야기를 들려주는 이는 부족의‘서기’조지이다. “모든 일이란 어떤 식으로든 일어납니다. 그것대로의 방식으로요. 어떤 이야기도 순전히 지어낸 것일 수만은 없어요. 하지만 인생이라는 게 우리가 살아봐서 알지만, 꼭 재미있는 이야기만 있으리라는 법은 없지 않습니까? 너무 길거나 지리멸렬하게 축축 늘어지고, 진정한 주제라는 것도 없고, 동기도 없단 말입니다. 고통과 고난을 빼놓고는 말이에요. 그것도 낡게 마련이구요. 나는 당신이 일어난 일 그대로, 일어난 방식 그대로 이야기를 적는 사람은 좋아하지 않을 거라고 단언할 수 있습니다. 진정한 서기라면 그렇게 하지 않습니다. 진정한 서기는 일어난 일에 영광의 빛을 씌웁니다.”조지의 말은 <빅피쉬>의‘에드워드 블룸’을 연상시킨다.‘서기, 조지’와‘에드워드 블룸’은 자기 나름의 방식으로 인생을 느끼고 사랑하는 자들이다. 그 방식이란 바로‘이야기’이며, 그‘이야기’는 위대하다. 그 위대함은 커다란 바람 주머니 - 무한한 상상력에 있다. 그리고 이들은, 이야기꾼‘다니엘 월러스’의 영원한 이상형이 아닐까. 그의 다음 이야기를, great한 이야기를 기대해 본다.“이야기란 결코 끝나는 법이 없다. 그저 멈출 뿐이다.”

 

 

                                                                                    

   H070912M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