촐라체
박범신 지음 / 푸른숲 / 2008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난 촐라체라는 나를 아직 넘어서지 못한 거죠

어감만으로만 본다면 촐라체촐라체촐라체...... 어딘가 촐랑대는 나의 모습인 것 같으나.이건 산 이름. 이런 웃긴 상상을 해 본다. 티비가 책을 말하곤 하는 프로그램에서 소개받아 읽었는데 소설은 역시 넋을 잃고 봐야 제맛인거다.

책의 결말에 촐라체는 바로 사람 그 자체라고 말한다. 하지만. 난 그보다.극한의 상황에 맞딱뜨려 보았나. 케이투,에베르스트와 같은 곳에서 인간의 한계에 도전해 봤는가? 이런 물음에 더 익숙해진다. 아니. 난 전혀! 그럴 생각도 없거니와. 도대체 왜 그런 극한의 어려움을 다그치는 거죠? 난 소심에이형이라 그런 한계 몰~라~요.

하지만. 그런 산 하나 넘는 그런 무시무시한 한계 말고 인간이 바로 촐라체라 하는 그런 한계라면요. 저도 제 촐라체를 가질 수 있을까요. 아니, 촐라체가 그런 의미가 맞긴 한건가요. 내가 들고 갈 피켈은 어떤 모양이고 그 것을 내 안의 빙벽 어디에 찔러 넣어야 하는 걸까요.

내가 바로 촐라체라면요. 난 나라는 촐라체를 아직 넘지 못한 거죠. 산을 올라가는 것은 정상을 향해 가는 거 맞죠. 그런데 정상에 가면 뭐가 있나요. 허공이예요. 그럼 남는 것은 내가 산을 넘었다는 그 자부심이랄까. 그런 거겠죠. 그렇다면 전 정상에만 가까워질래요. 나라는 촐라체의 정상에만 가까워 지고는 그대로 일래요. 거기 철푸덕 앉아서 내가 여기 올라왔어라고 외칠거예요.

나의 촐라체는 그런...나를 넘어서기 위해 피켈을 내 빙벽에 팍팍 꽂아 넣을 수 있는 순수한 자기검열인거예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