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야의 FM
영화
평점 :
상영종료


러닝타임 :  106분 

개봉일 :  10. 14 

영화를 보면 좋을 사람 : 스릴러 영화를 좋아하는 이, 유지태와 수애의 소름 돋는 연기를 즐기고 싶은 이라면 OK! 

 

스릴러 영화, 공포 영화 이런 건 웬만해선 보지 않는다. 그것도 절대 혼자서는. 겁이 많아서 절대 혼자서 못 보는데 수애와 유지태 두 배우의 출연작이라 큰맘 먹고 표를 끊었다. 감상은, 역쉬! 수애, 유지태라는 거. 두 배우의 연기을 보는 것만으로도 본전은 뽑는다. 스릴러 영화의 핵심인 긴장감도 적당히 녹아 있다. 약간의 억지스러운 점도 없지 않아 있지만 그거야 뭐, 영화니깐 가능한 장치라고 생각하자. 

5년 동안 라디오에서 진행하던 영화 음악 프로그램을 떠나는 고선영 (수애). 시니컬하고 꼼꼼한 성격으로 앵커 시절부터 거침없는 언변으로 인기를 누렸다. 말을 못하는 아이의 수술차 미국으로 떠나게 되어 마이크를 내려놓게 된다. 마지막 방송날, 연쇄살인범이자 열혈 청취자인 한동수가 집에 침입해 가족들을 인질로 잡고 자신의 요구에 따라 방송할 것을 협박한다. 몇 년 전에 틀었던 노래, 그 노래를 보낼 때 했던 멘트 등 선영으로서는 기억하기 힘든 것들을 요구한다. 방송국을 박차고 나와 중계차로 이동하며 방송을 진행하는 선영과 아이들을 데리고 있으니 자신을 찾아오라는 동수의 숨막히는 추격전이 펼쳐진다. 

한동수는 사이코다. 자신이 한 말에 책임을 지라며 선영을 몰아 붙이는 그는, 선영이 방송에서 했던 멘트를 하나하나 상기시켜주며 자신은 그녀의 말에 따라 행동했다고 한다. 사회 악을 처단하는 정의로운 영화 속 주인공이 자신이라고 착각하고 살인을 저질렀기에 선영이 "영화에서라도 이런 미치광이 살인마는 보고 싶지 않다"는 말에 충격을 받고 선영의 집에 침입하기에 이른 것이다. 유지태의 연기는 섬뜩하다. 미치광이 한동수에 몰입된 그의 연기는 평소의 넉살 좋은 그의 얼굴이 생각나지 않을 정도로 미치광이의 웃음과 말투를 제대로 표현하고 있다.  

수애는 영화 <가족> 이후 간만에 스크린에서 얼굴을 봤다. 뉴스를 보도하는 앵커, 감미로운 영화 음악 방송을 진행하는 DJ, 아이를 살리기 위해 미친 듯 뛰어가는 엄마, 영화 속에서 이 모든 걸 수애표 연기로 녹여냈다. 매력적인 그녀의 중저음 목소리 또한 이 영화 분위기와 잘 어울린다. 이 참에 수애의 다른 영화들도 찾아서 살펴봐야겠다. 

스릴러 영화답게 손에 땀을 쥐게 하는 긴장감과 효과음, 숨막히는 추격신 등이 등장한다. 하지만 곰곰이 생각하면 좀 억지스러운 면도 있다. 사건은 새벽 2시부터 4시까지 라디오 방송 시간 동안 벌어진 일에 불과한데, 그 두 시간 동안 모든 일이 벌어지고 해결됐다는 건 좀 무리가 있다.  

방송 마지막날이라고 방송국을 찾은 선영의 열혈팬의 존재 또한. 이 사람은 선영의 멘트, 방송에서 나왔던 모든 노래 목록을 다 기억하는 사람이다. 무려 5년 동안의 방송 내용을 모두 다. 선영은 이 사람에게 도움도 받지만, 결정적인 순간에는 왜 자기를 따라 다니냐고 소리 지르나, 결국 이 사람의 도움으로 사건을 해결하게 된다. 이 사람이 없었다면! 영화 자체가 진행이 안 되고, 결론도 날 수 없을 정도다. 차라리 라디오 PD가 이 모든 역할을 하게 했다면 오히려 설득력이 있었을 텐데 뜬금 없이 청취자가 모든 사건을 해결하는 것은 모양새가 영~ 아니다.  

연쇄살인범이 보낸 살인 장면이 담긴 비디오가 TV에 방영되고(사람을 죽이겠다고 협박했다지만), 거의 개인 방송하듯이 라디오를 차지해 내내 방송을 해대는 것도 현실에선 있을 수 없는 일. 이렇게 억지스런 설정에도 불구하고 스릴러 영화의 긴장감을 잘 유지하고, 앞에서도 말했듯이 수애와 유지태의 열연 덕에 영화는 볼 만하다. 영화에서 스토리도 스토리거니와 배우의 연기가 얼마나 중요한지를 다시 한번 일깨워준 영화다. 설렁한 가을밤, 손에 땀을 쥐는 긴장감을 느끼고 싶다면  심야에 <심야의 FM>을 감상해 보시라!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