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감독이다
에비사와 야스히사 지음, 오경화 옮김 / 국일미디어(국일출판사) / 2012년 7월
평점 :
절판


에비사와 야스히사 님의 <나는 감독이다>입니다.

 

원제는 監督(감독)으로 사실 5년 전 <야구 감독>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국내에 출간된 적이 있는 작품입니다.

 

작가분인 에비사와 야스히사는 <나는 감독이다>=<야구 감독>이라는 작품을 제외하고는 아직 국내엔 <미식예찬>이라는 책만이

 

소개되었을 정도로 국내엔 아직 잘 알려져있지는 않은 작가이지만 스포츠를 소재로 한 작품을 많이 쓴

 

스포츠 분야의 전문 작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대표작으로는 프로 야구를 소재로 <슈퍼스타>, <단지 영광을 위하여>, <모두가 자이언츠를 사랑했따>, <베테랑>,

 

골프를 소재로 <오케이>, <골프가 좋아>, 레이싱을 다룬 <F1을 질주하는 혼>, <F2 그랑프리>등이 있다고 하는데요.

 

1994년 <귀향>이라는 작품으로 나오키상을 수상하기도 하였습니다.

 

아무튼 <나는 감독이다>이 발표된 시기는 1979년입니다.

 

내용을 살짝 들여다보면 일본 센트럴리그의 만년 꼴지 팀 엔젤스의 수석코치 히로오카가 붕괴 직전에 처한 팀에 감독이 되면서 꼴지 팀을 최고의 팀으로 만들어 나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데요.

 

개인적으로 평소에 여러 스포츠를 좋아하기에 상당히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던 작품입니다.

 

무엇보다 <나는 감독이다>의 재미 중에 하나는 엔젤스라는 가상의 팀과 엔젤스 팀의 선수들을 제외하고는

 

작품 속에 등장하는 구단들과 구단의 선수들이 모두 실존하는 선수가 등장한다는 점인데요.

 

대표적으로 장훈, 삼성에서도 잠시 뛰었던 김일융, 오 사다하루(왕정치), 호시노 센이치 등

 

지금은 레전드를 칭송 과거의 명감독, 명투수, 명타자들을 만나 볼 수 있습니다.

 

거기에 또하나 스포츠 전문 작가의 필력으로 마치 야구 경기를 실시간 화면으로 보고있는 듯한 착각을 일으킬 정도로

 

비록 글로 쓰였지만 경기의 긴박감이라던지 생동감을 아주 잘 그려내고 있으면서도 <나는 감독이다>라는 제목처럼

 

야구라는 스포츠를 선수나 팬의 입장에서 바라보는 것이 아니라 오로지 감독 히로오카의 시선으로 바라보고 있다는 점은

 

이 작품이 1979년도 작품이라는 점을 생각하면 굉장히 독특한 발상이 아닐가 싶습니다.

 

지난해에 개봉했던 영화 <머니볼>과 함께 단순히 팬의 입장에서가 아닌 조금은 다른 시선으로 야구를 바라보게 해줍니다.

 

그리고 무엇보다 <나는 감독이다>가 가장 매력적인 부분은 꼴지팀 엔젤스를 자이언츠와 우승경쟁을 하는 팀으로 만들어낸다는

 

소설에서나 가능할 거짓말 같은 이야기가 모두 사실을 근거로 했다는 점인데요.

 

야구팬임을 자청하시는 분들이라면 <나는 감독이다>는 반드시 읽어봐야 할 필독서가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더 레이븐 - 에드가 앨런 포 단편집 현대문화센터 세계명작시리즈 40
에드거 앨런 포 지음, 심은경 옮김 / 현대문화센터 / 2012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에드거 앨런 포 님의 <더 레이븐>입니다.

 

 

에드거 앨런 포님의 작품들은 지금까지 워낙에 많이 출간되기도 해서 비록 고전이긴 하지만 많은 분들이 읽어보셨기에

 

따로 설명을 드릴 필요는 없을 것 같습니다.

 

지금까지 수많은 작품들이 이미 출간되었는데요. 대표적으로 하늘연못이라는 출판사에서 출간된 <우울과 몽상>을 뽑아 볼 수 있습니다.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 58편을 모두 수록한 책으로 800페이지를 넘는 엄청난 두꼐를 자랑하는 책이죠.

 

아무튼 최근에 동명의 영화가 개봉을 함에 따라서 "더 레이븐"이라는 타이틀을 달고 여러 출판사들에서 에드거 앨런 포의 대표작을 모은

 

책을 출간하였는데 바로 이 책, <더 레이븐> 역시도 그런 흐름에 따라 나온 책입니다.

 

이 책, <더 레이븐>은 <우울과 몽상>이라는 책처럼 공포, 추리, 환상이라는 작은 부제로 총 13편의 단편이 수록되어 있습니다.

 

모두 다 에드거 앨런 포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제1부 공포에서는 검은 고양이, 아몬틸라도 술통, 절름발이 개구리, 소용돌이 속으로 떨어지다.

 

제2부 추리에서는 도둑맞은 편지, 황금벌레, 모르그 가의 살인사건, 마리 로제 수수께끼.

 

제3부 환상에서는 적사병 가면, 리지아, 윌리엄 윌슨, 어셔가의 몰락, 그림자-한 편의 동화, 갈가마귀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들 중에서도 특히나 공포와 추리쪽의 재미는 상당히 쏠쏠하네요.

 

추리는 작품이 쓰인 시대가 시대인만큼 다소 유치한 부분도 있긴 하지만 공포에서만큼 시간의 흐름을 뛰어넘어

 

현재 읽어도 충분히 매력넘치는 작품이 아닐런지 싶습니다.

 

개인적으로 에드거 앨런 포의 환상저인 이야기는 별로 취향적으로 좋아하지 않기때문에 그리 좋아하진 않지만

 

이 책, <더 레이븐>은 공포와 추리, 환상이 어느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고 적절히 잘 조화된 책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다만 아쉬운 것은 전체적인 편집적인 부분에서는 다소 올드, 좋게말하면 클래식한 느낌이 드네요.

 

영화 개봉에 맞춰서 똑같은 책들이 몇 권 더 나왔다는 사실을 토대로 책장을 넘겨보면 이런 올드한 느낌의 책을 독자들이

 

선택할까?! 라는 의문도 들긴하지만 에드거 앨런 포의 작품에 대한 입문서로 <더 레이븐>을 선택은 좋은 선택이 되지 않을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eBook] 스노우화이트 앤 더 헌츠맨
북폴리오 / 2012년 5월
평점 :
판매중지


소설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입니다.

 

표지에서 보듯이 소설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는 5월 말에 개봉한 샤를리즈 테론, 크리스틴 스튜어트, 크리스 햄스워스가

 

주연을 맡았던 동명의 영화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의 원작 소설이라고 합니다.

 

올해가 그림형제의 동화 중에서도 손꼽히는 희대의 명작, <백설공주>가 탄생 200주년을 맞이하는 해인지라

 

유독 <백설공주>를 리메이크한 작품들을 드라마나 영화를 통해서 만나볼 수 있습니다.

 

지난해 가을 백설공주를 기본 모티브로 해서 제작된 미드 <원스 어폰 어 타임>, 그림 형제의 후손이 등장하는 판타지 미드 <그림>,

 

그리고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에 앞서 먼저 개봉한 영화 <백설공주>까지..

 

다양한 버전의 백설공주를 만나게 되는 2012년인데요.. 그 중에서도 가장 큰 스케일과 액션, 스토리로 인해

 

기대하게 되는 작품이 바로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이었습니다.

 

영화를 기대하고 있었지만 이런저런 이유로 인해 영화를 보지 못하다가 원작 소설이 출간되어 소설로 먼저 만나보게 되었습니다.

 

<백설공주>의 기본 내용은 모두가 당연히 아실테고 원작과 얼마나 변화된 모습으로 백설공주가 그려질까가 가장

 

중요한 포인트가 아닐까 싶은데요.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는 그런 부분에서는 상당히 괜찮은 스토리가 아닐까 싶습니다.

 

원작을 훼손시키지 않는 선에서 잠시 등장하는 헌츠맨을 보다 중요한 인물로 설정해서 기존의 백설공주와는 또다른 재미를

 

주고 있으며 거기에 백설공주의 앙숙인 왕비를 보다 디테일하게 그려내고 있는 부분은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의 재미입니다.

 

초반부의 왕비가 어떻게 왕국을 빼앗고 군림하게 되는지에 대한 스토리와 백설공주가 왕비의 손아귀에 벗어나서

 

왕비의 병사들로부터 달아나는 과정은 영화를 보는듯 상당한 속도감을 가지고 긴박하게 진행되는 부분은 주목해 볼 부분인데 반해서

 

후반부의 이야기는 큰 굴곡이 없이 심심한 느낌을 지울 수가 없습니다. 이야기가 진행될수록 클라이막스로 치닫는 맛이 있어야 하는데

 

그런 부분이 미흡한 점은 <스노우 화이트 앤 더 헌츠맨>의 아쉬운 점이 아닐까 싶습니다.

 

영화는 3부작으로 제작된다고 하니 소설로써 다음 시리즈도 기대해 볼 만하다는 이유로 이런 아쉬움을 달래야 할 듯 싶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사랑받지 못한 여자 스토리콜렉터 10
넬레 노이하우스 지음, 김진아 옮김 / 북로드 / 2012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넬레 노이하우스 님의 <사랑받지 못한 여자>입니다.

 

작년 초인가요?! 넬레 노이하우스님의 스릴러 시리즈 "타우누스 시리즈"의 네번째 작품 <백설공주에게 죽음을>가 출간되면서

 

국내에 넬레 노이하우스라는 작가가 알려졌고, 국내에서도 상당한 인기를 얻었는데요.

 

네이버 책에는 <백설공주에게 죽음을>의 서평이 무려 880건이 넘을 정도니 엄청납니다.

 

<백설공주에게 죽음을>의 엄청난 인기에 힘입어 "타우누스 시리즈"의 두 번째 작품 <너무 친한 친구들>과

 

다섯 번째 작품 <바람을 뿌리는 자>가 연이어 출간되었습니다.

 

그리고 결국 이 시리즈의 시작, 첫 번째 작품 <사랑받지 못한 여자>가 출간되기에 이르렀네요.

 

작년부터 불어닥친 넬레 노이하우스님의 인기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으론 아직 "타우누스 시리즈"를 접해보지 못하다가

 

<사랑받지 못한 여자>를 통해 만나보게 되었습니다.

 

몇 년전부터 안드레아스 빙켈만, 제바스티안 피체크 등 독일 작가분들의 작품들이 국내에 소개되는 경우도 상당히 많아졌기에

 

이제는 독일 문학이 그리 낯설게만 느껴지진 않는데요. 그래도 여전히 독일어와 장소, 명칭 등이 입에 착착 감기지 않는 듯하네요.

 

어찌됐든 <사랑받지 못한 여자>는 나름 볼만한 스릴러 작품이라고 생각하니다.

 

이전부터 들어왔던 "타우누스 시리즈"의 명성(?!)이라는 것이 있기때문에 기대에 비하면 상당히 아쉬움이 많이 남는 작품이긴 합니다만

 

엄밀히 따지면 "타우누스 시리즈"의 명성을 얻게 한 작품들이 <사랑받지 못한 여자>보단 그 이후의 작품이다보니

 

이런 부분은 사실 제외하고 봐야하는 부분이 아닐까 싶습니다.

 

시리즈의 첫 번째 작품답게 <사랑받지 못한 여자>는 두 주인공인 보덴슈타인과 피아의 만남을 그리고 있고,

 

거기에 두 형사가 처음으로 콤비(?!)를 이루어 사건을 조사해 나가는 그야말로 형사가 등장하는 범죄 스릴러물의 전형을

 

그대로 따르고 있는 작품입니다. 개인적인 입장에서 보자면 전체적인 스토리만 보면 다른 범죄 스릴러 작품들과는

 

크게 다를 것이 없는 작품이라고 생각합니다.

 

오히려 전체적으로 봐도 수사 과정의 논리정연함이나 치밀한 이야기 구성 등 부족한 부분이 엿보입니다.

 

이렇게만 <사랑받지 못한 여자>에 대해 평하다보니 상당히 형편없는(?!) 듯해 보입니다만

 

이 작품의 깔끔한 이야기 전개가 너무나 매력적입니다. 스토리가 조금 난잡하긴 하지만 어찌됐든 이야기를 풀어나가는 과정이

 

군더더기 없이 담백하면서도 깔끔하네요.

 

이런 점이 이야기에 대한 흡입력과 빠른 속도감을 보여주고 있어서 그나마 <사랑받지 못한 여자>의 아쉬움을 달래주고 있네요.

 

바로, 이 점 하나만으로 <사랑받지 못한 여자>는 충분히 읽어볼 만한 스릴러 작품이 아닐까 싶습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셜록의 제자 - 두 개의 두뇌, 한 개의 심장 메리 러셀 시리즈
로리 R. 킹 지음, 박미영 옮김 / 노블마인 / 2012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로리 R. 킹 님의 <셜록의 제자>입니다.

 

<셜록의 홈즈>라는 호기심을 자극하는 제목을 달고 나온 이 작품에 대해 소개를 하자면...

 

<셜록의 제자>는 "메리 러셀" 시리즈 중 번째 작품으로 "메리 러셀" 시리즈는 추리 소설 중 최고의 캐릭터라고 할 수 있는 셜록 홈즈와

 

셜록 홈즈에 비견될 수 있는 여성캐릭터 메리 러셀이 콤비를 이루어 활약하는 시리즈입니다.

 

1994년 1권 The Beekeeper's Apprentice를 시작으로 작년까지 총 11권이 출간되었는데요..올해 12권이 출간 예정이라고 합니다.

 

사실 <셜록의 제자>라는 제목 자체가 추리 소설을 좋아하는 분들에게는 굉장히 호기심을 불러 일으킬 만한 제목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원제를 생각하면 조금은 뜬금없는 제목일 수도 있겠지만 이 작품과 시리즈에 대한 아무런 정보가 없는 독자분들에겐

 

각인시킬 수 있는 제목이네요.

 

간단히 <셜록의 제자>을 들여다보자면,

 

1915년, 은퇴 후 한적한 시골에서 벌을 치면서 조용히 살아가던 셜록 홈즈가 자신만큼이나 날카롭고 담대한 천재 소녀 메리 러셀을 만나면서 셜록 홈즈와 메리 러셀이 스승과 제자를 뛰어넘어 파트너로써 사건을 해결해 나가는 과정을 그리고 있습니다.

 

작가는 아서 코난 도일에서 로리 R.킹으로 바뀌긴 했지만 엄밀히 말하면 <셜록의 홈즈>, 이 작품 역시도 셜록 홈즈의 또다른 시리즈라고

 

할 만 합니다. 하지만 왓슨이 그려내는 홈즈가 아닌 셜록 홈즈에 비견될 만한 천재 소녀 메리 러셀이 그려내는 자신과 셜록 홈즈의 이야기.

 

이전의 셜록 홈즈 시리즈와 비교해봐도 너무나 독특하고 개성이 넘치는 작품입니다.

 

<셜록의 제자>는 프롤로그와 에필로그를 제외하면 총 4개의 챕터로 구성되어 있는데요..

 

Level 1. 견습생, Level 2. 인턴, Level 3. 파트너, Level 4.마스터 입니다.

 

이 작품의 주인공이 메리 러셀이기에 메리 러셀이 아마추어 천재 소녀에서 프로 탐정으로 거듭나는 과정을 그려내고 있는데요..

 

각 챕터마다 사건이 발생하고 그 과정을 해결해 나가는데 홈즈의 도움으로 한 단계씩 성장해 나가는 주인공을 볼 수 있습니다.

 

<셜록의 제자>의 가장 큰 재미와 매력은 뭐니뭐니해도 바로 확실한 개성을 가진 여주인공이라는 메리 러셀의 캐릭터와

 

100년이 넘는 시간동안 꾸준히 사랑받는 고전 추리 소설의 아이콘 셜록 홈즈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매력적인 캐릭터와 더불어 고전 특유의 맛이라고 할까요?! 고전적인 분위기를 좋아하는 분들이 보시면 상당히 좋을 듯..

 

하지만 <셜록의 제자>가 이렇게 매력적인 캐릭터가 등장하는 작품임에도 불구하고 개인적으론 아쉬운 부분도 있습니다.

 

메리 러셀 시리즈 중 첫번째 작품이다보니(이 작품을 쓸 때 작가분이 다음 권을 생각해둔지는 모르겠지만..)

 

<셜록의 제자>의 초반부에는 메리 러셀이라는 캐릭터를 설명하는데 너무나 치중하고

 

중후반부까지 메리 러셀이 어느 정도 성장해나가는 과정을 그려야 하다보니 셜록 홈즈가 등장하는 추리 소설임에도

 

중후반부까지는 추리적인 요소가 상당히 약합니다. 각 챕터마다 사건은 등장하지만 추리소설의 매력이라고 할 수 있는 부분만 놓고

 

보자면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독자들의 입맛을 맞추기에는 아쉽지 않을까 싶습니다.

 

물론 이렇게 아쉬운 부분이 있지만 <셜록의 제자>로 메리 러셀 시리즈를 만나보는 것도 추리소설을 좋아하는 분들에겐 좋은 선택이

 

될 듯 싶습니다. 메리 러셀 시리즈가 중간에 멈추지 않고 끝까지 자~알 출간되길...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