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의 자격 - 내가 제대로 키우고 있는 건가
최효찬.이미미 지음 / 와이즈베리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출판에도 뭔가 트렌드가 있다. 책이라는 물건 자체가 단순한 물건이 아니기에 트렌드가 지적 유행에 지나지 않다고 보기에는 과한면이 있지만 사회문제에 대한 현재의 트렌드를 반영하고 있다고 본다. 요즘 교육에 대한 책들이 많이 출판되어지는 것들을 볼때 현재 우리 사회에 대한 관심과 이슈는 교육이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출판동향이 나타내주는 트렌드의 긍정적인 면이라고 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교육은 한국의 부모라면 지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는 부분일 것이다. 특히 아직 학벌사회인 한국에서는 교육이라고 한다면 공부를 잘해서 좋은 대학에 가고 좋은 직장을 가져 경제적으로 사회적으로 성공하는 것과 거의 동일하다고 할 수 있다. 교육이라는 의미가 이러한 세속적인(?) 의미로 축소 전락한 것에 대해서 매우 안타깝지만 그래도 이러한 책들이 도움이 되고 팔리는 것은 잘못된 교육의 수렁속에서 고통당하고 있는 너무나 귀한 우리네 청소년, 청년들과 부모들에게 도움이 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이 책 <부모의 자격>은 현 교육에 대한 트렌드적인 교육문제를 담고 있는 책이다. 저자 최효찬은 명문 가문에 대한 큰 관심으로 국내외 명문가들에 대한 교육을 책으로 여러권 펴낸바 있다. 이 책은 아내와 함께 한국 교육의 문제점과 그것에 대한 적절한 해법을 담은 책으로 중고등학교 학생을 자녀도 두고 있다면 실제적인 유익한 점이 있다고 생각한다. 그런데 아무래도 현 사회의 교육적 문제의 트렌드에 치중하다보니 진정한 교육에 대한 본질적인 문제를 숙고하기 보다는 교육은 성공을 위한 과정이라는 잘못된 공식으로 힘들어하는 한국 부모들에 대한 가벼운 처방 정도의 내용을 담고 있어서 좀 아쉬웠다. ‘개천에서 더 이상 용이 나지 않는다’, ‘강남의 아이들이 더 잘된다’, ‘교육은 경제력이다’ 이러한 현실의 교육을 담고 있는 모토 자체가 지금의 교육이 인격을 위한 도야가 아니라 단순한 기능으로 전락해 버렸는지를 보여준다. 부모는 아이들이 학교에서 단지 공부를 잘하는 학생으로 만들기 위해 희생하기를 마다하지 않는다. 집값이 비싼 강남이나 목동으로 빛을 져가면서까지 이사를 하고 그에 대한 보상심리로 아이들이 단지 공부잘하는 기계가 되도록 독려한다. 아이들은 부모의 헌신(?)에 열심히 공부하지만 단순히 스트레스만 늘어가고 자신이 왜 공부해야되는지 모르며 극심한 경쟁에 시달려 자기 자존감을 잃어버린다.

 

교육이 지금 이지경까지 왔는데 정작 대한민국 교육 관계자들은 무엇을 하고 있는지, 우리 귀한 아이들이 매년 수백명씩 공부로 인한 스트레스로 스스로 목숨을 끊는데 정작 이들의 책임은 무엇인지 묻고 싶었다. 이러한 교육환경이 부모와 아이들을 스트레스도 내 몬다는 생각이 들었고 또한 부모의 책임도 회피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우리나라 교육을 살리려면 지금 이대로는 절대로 안된다. 그리고 이러한 책도 좀 씁쓸한게 교육의 본질이나 의미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교육제도속에서 학부모들이 좀더 괜찮은 학부모가 되기 위한 방법을 설명할 뿐이라는 것이다. 부모가 되는 것이 아니라 단순히 좀더 좋은 학부모가 되기 위한 방법을 말하고 있을 뿐이여서 이 책의 한계를 느꼈다. 하지만 이러한 책이 나온것 자체가 현재 교육 문제에 대한 해결점을 찾아볼 수 있기 때문이다. 진정으로 우리의 교육이 교육의 참된 의미를 살리고 한 인간으로써 자신의 삶을 살아가기 위한 자아를 발견하고 세워가는 것으로의 교육으로 회복되기를 간절히 바라는 마음이다.

 

인도의 전설에 의하면 엄마는 아이를 기쁜 마음으로 안고 이렇게 이야기한다. “엄마가 편안하게 해줄게.” 그러나 아버지는 아이를 산 정상으로 데려가 진지하게 이야기한다. “보아라, 이것이 바로 세상이다. 네게 세상을 보여주겠다.” 엄마는 기본적으로 아이를 ‘편안하게’ 해주려는 모성 본능을 지니고 있다. 이 모성 본능은 자녀양육에 그대로 반영된다. 그러나 모성 본능은 자녀교육에서 때로는 ‘독’으로 작용할 수 있는 동전의 양면 같은 것임을 직시해야 한다. 모성 본능을 앞세워 자녀가 어디를 가든 따라가서 뒷바라지해 주려고 한다면 그 자녀는 학교에서나 사회에서나 홀로서기를 하는 데 시련을 겪을 확률이 높다. 부모의 긍정적이고 낙천적인 생활태도는 위기 때 빛을 발하고 가족 구성원 모두가 난관을 헤쳐 나가 꿈을 이루게 하는 힘의 원천임을 알 수 있다. 때로는 자신이 처한 상황에서 최선을 다할 때 꿈은 이루어지고 단계적으로 더 높은 꿈을 꾸고 실현할 수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