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이렇게 될 것이다 - 구본형의 자기경영 1954-2013
구본형 지음 / 김영사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의 저자는 구본형이다. ‘자기변화경영사상가’로 꽤 이름이 있는 분이다. 나는 이런저런 경로를 통해서 간접적으로만 이름을 접했지 이분이 쓴 책을 단 한권도 읽어보지 못했다. 저자가 쓴 대부분의 책들은 크게 자기계발서로 분류되기 때문이다. 자기계발서는 보통 방법론에 치우쳐진 책들이 대부분이기에 분명 읽고 자신에게 도움이 되고 적용할 부분이 있지만 딱 거기까지라고 생각했다. 이 책 <나는 이렇게 될 것이다>는 저자가 죽고난 뒤에 그와 함께 배우고 공부했던 제자들이 그가 쓴 글중에 뛰어난 것들을 모아놓은 모음집이다. 보통 모음집은 호흡이 짧은 글들의 모음이라 저자의 생각의 단편에 지나지 않는 것들이 대부분이다. 이 책 <나는 이렇게 될 것이다>를 별 기대없이 읽었다. 읽다가 마음이 따뜻해지고 덥고 깊이 들이마신후 다시 호흡을 하고 펼쳐서 읽기를 반복했다. 분명 글은 짧지만 손으로 쓴 글이 아니라 가슴으로 쓴 글이였다. 깊이 숙성한후 몇 년에 걸쳐 묵상후에 건져올린 깊은 글으였다. 한편한편이 모두가 다 깊은 울림을 주었고 왜 구본형이 단순한 저자가 아니라 ‘변화경영 사상가’라고 불리는지 알게되었다. 그렇다 그는 단순한 자기계발 저서를 쓰는 저자가 아니라 인생의 아름답게 만들고자 자신의 삶을 경영하는 예술가라는 자기 의식이 있었다. 그리고 자신을 매일 갈고 닦기위해 365일중에 360일 새벽에 일어나 글을 쓰는 장인이였다.

 

이러한 저자의 삶과 사상은 짧은 단편의 모음글이지만 단 한편만 읽어도 가슴이 충만해지는 경험을 할 수 있었다. 특별히 잘된 글 한편이 아나라 모든 글에서 저자 구본형의 자가경영의 충만한 사상과 따뜻함을 느낄 수 있었다. 그는 먼저 인간에 대한 깊은 이해를 가지고 있는 것 같았다. 피상적으로 보면 ‘나’를 관찰하고 ‘나’를 중요시하는 ‘자기중심적’인 관점이라고 생각될 수도 있으나 그의 글을 유심이 읽어보면 그가 말하는 ‘나’에게 집중하는 것은 ‘자기중심적’인 관점이 아니라 자가를 보편적인 한 인간으로 상정하고 관찰자의 입장에서 관찰하는 하나의 인간으로 자신을 바라보는 것이다. 즉 가장 깊이 들여다 볼수 있는 한 보편적이 인간으로서 ‘나’를 상정하는 것이지, ‘자아중심적’인 인간으로 ‘나’를 상정하는 것이 아니였다.

 

그는 이렇게 자신을 깊이 들여다보고 자신이 누구인지 알고 나아가 인간이 누구인지 알아서 그에 맞는 삶을 상정하고 훈련하여 최고의 삶을 살고자하는 그야말로 ‘자기변화와 경영 사상가’였다. 밥과 존재가 일치하고 일과 놀이가 일치하며 나와 타인이 함께 공명할 수 있는 삶을 꿈꾸는 꿈쟁이이자 글쟁이였다. 만약 저자 구본형이 이러한 것들을 꿈만 꾸었다면 그는 다른 사람들을 오도하고 선동한 몽상가였겠지만 그는 철저히 거기에 올인하고 집중하여 한가지 일에 성취를 하고 그것을 자기 브랜드로 만든 변화와 경영과 삶을 인문학적으로 실현시킨 행동가였다.

 

이 책을 읽으면서 계속 가슴이 따뜻했고 진정한 삶이 어떤 것인지 고민하게 되었다. 이 땅에 삶을 살아가는 수많은 평범한 사람들이 과연 누가 자신이 하고 싶은 것을 하며 자신의 꿈을 실현시키며 살아갈수 있을까. 대한민국에서 가장이라는 이름으로 사는 살아가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자신의 꿈과 이상을 현실에 담보잡히며 내가 아닌 다른 사람의 삶, 살아가는 삶이 아닌, 살아내는 삶을 살아가고 있을 것이다. 나 또한 이러한 경계에 서서 인생을 고민하던 차에 이 책을 읽고 많은 도전과 용기를 얻었고 내가 생각했던 것과 일치하는 구본형의 사상을 읽을수 있었다. 먼저 자신을 발견하라, 그리고 자신이 무엇을 좋아하고 잘할수 있는지 파악하고 그것에 올인(all-in)하라. 그래서 그분야에 유일한 사람이 되어 자기의 브랜드를 만들어라. 이것이 이 책에서 말하는 구본형의 중심 자기변화와 경영 사상이라고 할수 있다. 가슴이 뜨거웠고, 한없이 따뜻했고, 도전적이였다. 그 만큼 이책을 밀도가 높았다. 왜 이제야 구본형을 알았는지 작은 후회가 살짝 밀려오기도 했다. 이분의 책을 찾아서 읽어야 겠다는 과업을 나에게 부과했다.

 

자신의 과거와 경쟁하라. 다른 사람과의 경쟁은 언제나 우리를 불현하게 한다. 은연중에 상대의 실수를 즐기게 하고, 경쟁자의 불운에 반사적 이득을 얻고, 반대로 그들의 승리 때문에 상처를 입게 된다. 이기는 자와 지는 자가 갈라고 상대방의 승리에 진심 어린 찬사를 보내기가 쉽지 않다. 그러나 자신의 과거와 경쟁하는 것은 적을 만들지 않고, 스스로 나아지는 방식이다. 승리하면 스스로 기뻐할 수 있고, 아무에게도 상처를 주지 않으며 모든 이의 찬사를 받을 수 있다. 가장 어려운 싸움은 자신과의 싸움이며 가장 가치있는 진보는 자신의 어제보다 나아지는 것이다. 적은 없고 추종자가 많아지는 승리처럼 운 좋은 성과는 없다. (p.117)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