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의 이성을 마비시키는 그럴듯한 착각들
실뱅 들루베 지음, 문신원 옮김, 니콜라스 베디 그림 / 지식채널 / 2013년 1월
평점 :
품절


종종 사람들은 비합리적인 일을 저지르곤 한다. 상당히 이성적이고 합리적이라고 생각되는 사람들조차 상식적으로 도저히 이해가 되지 않는 일을 저지르곤한다. 이 세상을 향한 사람들의 마음이 정의와 합리라면 그와는 또 다른 하나의 세상은 사람의 마음에도 정의와 합리가 필요하다. 그런데 이 사람의 마음이라는 것이 워낙 묘해서 쉽게 잡히지 않고, 쉽게 파악되지 않고 쉽게 예측할 수 없다. 내 주변의 사람들도 상당히 교육수준이 높고 건전한 판단력을 가진 사람도 도저히 이해할 수 없는 어처구니 없는 일을 저지르는 경우를 목도할 때가 종종있다. 이것은 사람의 마음안에서 일어나는 일로 인간에 의해서 파악될 수 없는 수많은 경우의 수가 조합되어서 일어나는 일이다. 이러한 인간의 마음을 파악하는 일이야 말로 가장 어려운 일이며 또한 가장 밝혀져야할 일중의 하나일 것이다. 오래전 대학 심리학 수업때 심리학을 가르쳤던 교수님이 첫수업시간에 심리학에 대한 일종의 예방주사를 놓은 적이 있다. 보통 사람들이 심리학하면 사람의 마음을 일는 일종의 독심술 같은 것으로 생각하지만 그분은 단호하게 심리학은 사람의 마음을 읽는 독심술이 아니라 하나의 과학이라 하셨다. 그러면서 평소에 심리학을 전공했다고 하면 관상을 보고 손금을 봐달라고하는 사이비 독심술 정도로 취급하는 정서가 짙게 깔린 일반적인 심리학에 대한 상식을 여지없이 망치로 때리셨다.

  

인간의 마음을 알 수 있는 가장 좋은 방법은 그 행동을 관찰하는 것일 것이다. 그것도 일정한 행동, 즉 패턴화된 행동을 관찰하므로 그 마음의 심리를 일정정도 파악할 수 있다. 이 책 <당신의 이성을 마비시키는 그럴듯한 착각들>은 인간의 불가시의한 마음을 열어보이는 심리실험이라고 할수 있다. 12가지실험을 통하여 보통 인간의 심리는 이해가능하고 합리적이라는 통념이 틀릴수도 있다는 것을 증명해 보인다. 특히 이 책은 사화학과 심리학이 합쳐진 사회심리학적 진술을 가능하게 하는 책이다. 많은 사람들이 있는 군중속에서 강도를 만난 사람이 도와달라라고 소리쳤을때 아무도 도와주지 않는 현상을 어떻게 볼것인가? 이러한 질문은 개별적인 인간의 심리가 아니라 사회속에서의 인간심리를 파악하는데 도움을 주고 이 책은 바로 그러한 사회심리학적 맥락에서 저술되고 있다. 이 책에서 보여주는 12가지 심리실험은 다음과 같다.

  

1. 왜 우리는 다른 사람들의 눈치를 볼까? 사회적 영향과 규범화

2. 무엇이 사람들을 패닉에 빠지게 하는가? 군중과 집단 히스테리

3. 유언비어는 어떻게 널리 퍼지는가? 유언비어의 확산

4. 틀린 줄 알면서도 왜 다수의 의견에 다를까? 사회적 영향과 체제 순응주의

5. '우리'와 '그들'은 언제 하나가 될까? 사회 범주화의 효과

6. 왜 우리는 어처구니 없는 짓을 할까?

7. 무엇이 부당한 명령에 복종하게 만드는가? 권위에 대한 복종

8. 완벽해 보이는 그들이 어리석은 결정을 내리는 이유? 집단 극화와 집단 사고

9. 그들은 왜 피해자를 외면했을까? 무감각과 방관자 효과

10. 왜 사람들은 권력에 쉽게 눈이 머는 걸까? 스탠퍼드 감옥 실험

11. 이타심은 타고나는 것일까? 착한 사마리아인의 우화

12. 무엇이 진정 군중을 움직이는가? 사회적 사유와 연관성

 

이러한 심리실험들은 합리적이고 이성적이라는 인간의 심리를 여지없이 깨뜨릴 뿐 아니라 집단과 군중속에서 인간의 어디까지 어리석인 비합리적인 존재가 될 수 있는지 여지없이 보여준다. 나는 이 실험중에서 가장 끔찍하고 이해하기 어려웠던 것은 새벽에 한 남자에게 잔인하게 살해당했던 사건이였다. 그 사건은 새벽에 일어난 사건으로 범행 직후 여자가 비명을 지르자 그 범인은 멀리 달아났고 집에는 불이 켜지기 시작했고 그 주변에 그 소리를 들은 사람은 무려 38명이나 되었다고 한다. 다시 조용해지자 범인은 그 여자의 집앞에서 강간을 하고 잔인하게 살해했다. 그때도 모든 사람들은 그 사건을 보았음에도 아무도 신고한 사람이 없었다. 한사람의 잔인한 죽음앞에서 자신의 신변을 생각하며 다른사람이 할 것이라는 막연한 생각은 스스로를 방어하기 위한 심리적 방어수단이 작용했음을 보여준다. 이것은 살인방조죄로 처벌을 받아야 하지만 바로 이러한 심리가 인간의 군중속에 있을때의 심리라는 것을 이 실험을 통해서 보여준다.

  

과연 인간은 이성적이며 합리적인 존재일까? 인간이 이성적이며 합리적이기에 인간에 대한 믿음이 유지되어 왔고, 인간에 대한 희망을 가질수 있다. 그런데 이러한 실험은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인간에 대한 믿음을 깨뜨리고 혼란을 가져다 준다. 이것은 현대철학에서 말하는 '주체의 해체', '중심의 해체', '거대담론의 해체' 라는 포스트모던적 철학을 반영해준다. 인간의 체재는 인간과 함께 중심으로 조직될 수 없고 나름대로의 존재와 운동방식을 갖는다. 어쩌면 인간에 대한 환상이 오래동안 지배해 왔는지 모른다. 나 또한 인간은 이성적이며 합리적이라는 생각을 가지고 있는데 최근에 그러한 것을 수정내지는 유연한 사고를 가져야 겠다는 생각을 한다. 인간을 하나의 틀로 묶으려는 순간 그 믿음은 붕괴될 것이다. 인간은 이성적인 존재로 쌓아올린 철학적 인간론은 이러한 심리실험으로 인해 여지없이 무너진다. 그래서 인간은 믿을만한 존재가 아니라 보듬어주고 불쌍히 여겨야할 존재라는 말이 나왔나 보다. 이 실험은 인간의 믿음을 바닥까지 보여주어서 더 이상 실망할 것이 없는 곳까지 데리고 간다. 완전한 실망에는 다시 여지없이 모락모락 피어나는 한가닥의 희망이 생긴다. 이러한 희망은 대상에 대한 희망이 아니라 희망에 대한 희망인 것이다. 우리는 '인간'을 믿어야 할 것이 아니라 '희망'을 믿어야 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