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가 고양이를 데리고 노는 것일까, 고양이가 나를 데리고 노는 것일까? - 내가 나를 쓴 최초의 철학자 몽테뉴의 12가지 고민들
솔 프램튼 지음, 김유신 옮김 / 책읽는수요일 / 2012년 12월
평점 :
절판


일단 제목이 참 흥미롭다. <내가 고양이를 데리고 노는 것일까, 고양이가 나를 데리고 노는 것일까?> 이 제목을 보면서 느껴지는 것은 두가지이다. 내가 몽테뉴를 잘 알지 못하고 작가의 책을 읽어보지 못했지만 책 제목을 보면서 참 흥미롭다는 생각을 했다. 일단 제목이 잀아적이여서 참 따뜻하고 친근한 느낌이 들었다. 뭔가 거창한 '론'이나 '학'이 아닌 고양이를 제목으로 삼고 자신의 친근한 일상을 통해서 자신의 사유를 풀어나가는 느낌이 들었다. 몽테뉴라는 사람은 자신의 삶과 자신을 사유의 재료로 삼아서 거창하게 철학이라기 보다는 삶의 에세이를 써내려간 사람이였다. 그리고 이 몽테뉴를 저자 솔 프램튼은 그의 한걸음 한걸음을 따라다니면서 몽테뉴가 가졌던 삶의 흔적들과 고민들은 잘 정리해서 우리에게 들려주는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저자는 16세기 철학자인 몽테뉴의 저서 <에세>를 바탕으로 그의 삶, 취향 그리고 그가 살았던 시대의 역사적인 배경도 분석해 내고 있다. 그렇다고 딱딱한 문체가 아니라 이야기를 들려주듯이 친근하고 유려한 문체로 들려주고 있다. 나는 아직 몽테뉴의 관한 책을 한권도 읽어본 적이 없고 그에 대한 지식도 거의 전무하다. 특히 이 책이 주로 참고하고 정리하고 있는 몽테뉴의 대표작 <에세>에 대해서도 거의 들어본 적이 없을 정도이다. 그래서 나는 저자가 이 책을 통해서 얼마만큼 몽테뉴에대해서 잘 드러내 주었는지에 대해서는 평가할수 없지만 이 책이 나처럼 몽테뉴를 몰랐거나 아직 <에세>를 읽어보지 못한 독자에게는 <에세>로 가는 하나의 길목이 되어둘 것이고, <에세>를 읽은 독자들에게는 정리와 재현의 의미가 되어줄 것이라고 생각한다. 나는 이 책을 통해서 몽테뉴라는 인물에 대해서 매우 친근감있게 접근할 수 있었는데 이 책만 읽어도 그가 어떠한 인물이였는지에 대해서 잘 파악할 수 있었다. 그는 우아하고 현명하며 진지하고 사색적인 인물이였고, 일상의 비루함과 소중함을 함께 알고 있었던 사람이였다. 고전적이며 사색적인 인물이라고 할까.

 

몽테뉴가 살았던 시기는 16세기 프랑스로 그 당시 시대적인 풍경은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의 전쟁이 있었던 시대였다. 몽테뉴가 보기에 그 당시 종교, 특히 그리스도교와 스토아 철학의 '아파테이아' 정신은 인간을 무자비하게 만드는 사상이였다. 이러한 배경을 지나면서 그는 회의적인 사람이 되었고 특히 자신의 개인사에 있어서 불행한 일들을 많이 겪었기에 그는 진정한 회의주의자가 되었다. 몽테뉴의 첫딸은 태어난지 불과 두달 만에 죽었고, 남동생은 테니스 공에 맞아 죽었으며, 가장 친한 친구였던 라 보에시는 30대 초반의 나이에 역병에 걸려 죽었고, 존경했던 아버지도 오랫동안 신장결석에 시달리다가 고통스럽게 죽었다. 이러한 고뇌와 개인적인 불행은 몽테뉴가 '모든 존재를 부정하는' 스토아철학에 등을 돌리는 계기가 되었고 죽음 이후의 초월적 삶이 아니라 지금 여기서의 '현재'의 소중함을 일깨운 삶의 철학자가 되었다. 이렇게 삶의 철학자가 된 몽테뉴는 자신을 사유의 재료로 삼으로 자신의 삶을 따라가 평범한 일상에서 건져올리는 사유의 단상들을 길러올리고 그것을 기록하여 자신의 일생의 대작인 <에세>를 완성시켰다. 그 당시 근대적 철학사상이 문을 열기되었는데 특히 데카르티의 사상이 모든 확실한 것을 추구하는 확실성에 바탕을 두면서 인간의 이상과 사물을 분리시키며 근대를 열어제쳤다면 몽테뉴는 시대적 주류 철학이였던 데카르트와는 달리 오히려 확실성이 분리를 낳고, 그 분리가 폭력과 인간의 불행을 낳는다고 보았다. 나는 이 부분에서 몽테뉴 사유의 위대함과 주류 철학에서 벗어나 자신만의 보듬고 통합하는 삶의 철학을 만들어 나가는 그의 인간됨이 강하게 부각됨을 볼수 있었다. 이러한 친근하고 통합하는 그의 삶의 철학은 바로 제목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고양이를 보면서도 인간과 동물을 분리시키며 주체와 객체로 나누는 것이 아니라 주체와 객체서 신비하게 섞여 서로에게 주체적 영향을 미치는 그의 통합적이고 따뜻한 사유 방식을 알수 있었다. 이러한 태도는 그 당시 주류 시대적 분위기와는 많이 동떨어진 것이였다.

 

이러한 그의 인간적이고 통합적 사유는 무자비하게 신대륙을 점령한 에스파냐인들을 비난했던 것에서도 잘 드러난다. 그리고 그는 돈과 계급에 따른 차별이 없었던 원시부족 사회를 이상적인 사회로 보는 것에서도 그의 사유는 잘 드러난다. 몽테뉴는 그 당시 유럽인들의 탐욕이 얼마나 크고 무자비했는지에 대해서 비판하였다. 그는 참으로 삶을 사랑하고 따뜻한 사상가였던 것이다. 또한 그는 포도주와 여행을 좋아했고, 사람을 좋아했으며 무엇보다 '기록'에 집착했다. 매우 사소한 것까지도 적는 바람애 우리는 그의 글을 통해서 16세기의 자세한 분위기를 알수 있을 정도이다. 무엇보다 그는 확실성의 시대에 차이를 존중했으며 그 차이에서 오는 모호함과 불확실을 즐겼다. 바로 이러한 점에서 그는 21세기 사상의 단초를 엿볼수 있다.

 

저자 솔 프램튼은 계속해서 16세기 근데의 주류 사상가였던 데카르트와 몽테뉴를 비교하여 몽테뉴가 강조한 존재의 중요성, 자아의 중요성, 현재의 중요성, 일상의 중요성들을 계속적으로 드러내주었다. 이 책을 읽다보니까 참 따뜻해진다. 몽테뉴라는 사람이 얼마나 매력이 있는지 친구로 삼기에 좋은 인물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물론 그가 나를 친구로 받아들여줄지 모르지만 말이다. 어떤 계기로 인해 몽테뉴가 신봉했던 로마 시인 루크레티우스의 '더 오래 살아도 새롭게 얻을 낙은 없다'라는 회의론에서 벗어나, '철학은 죽음을 잘 준비하는 것이다'는 죽음의 철학에서 벗어나 '현재'의 삶과 주체로서의 확실성을 담보로하는 '자아'가 아니가 개별적인 '자아'를 존중하는 그의 '삶의 철학'은 참된 삶과 사유가 어떠해야 하면 그리고 삶을 향유하는 것이 얼마나 소중한 지를 일깨워 주기에 충분했다.

 

우리는 자기 안에 머물지 않고 늘 자신을 초월하는 곳에서 맴돈다. 두려움, 욕망, 희망은 자꾸 미래로만 향하도록 우리의 등을 떠밀어, 더 이상 자신에게 미래가 없을 경우에도 앞날에 무슨 일이 벌어질가 생각하는 데 정신이 팔린 나머지 현재에 대해 느끼거나 생각할 시간을 놓치게끔 만든다. (p.81)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