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에르 부르디외와 한국사회 살림지식총서 76
홍성민 지음 / 살림 / 200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언젠가 부터인가 피에르 부르디외가 들어오기 시작했다. 그때는 강신주의 <상처받지 않을 권리>를 읽고 나서부터였다. 강신주이 책은 나에게 새로운 담론에 대한 사유를 시작할수 있도록 많은 도움을 주었다. 철학이라는 것이 거리를 두고 사유할수 있는 정의를 내려주었고 당연하다고 생각되는 것들을 근본에서부터 다시 새롭게 사유할 수 있도록 도와주었다. 그중에 새롭게 사유해야할 대상들이 사랑과 가족과 국가였다. 그렇게 작은 자극에서부터 시작해서 지금나는 강신주로 인해 조금씩 철학하기를 배워가고 있다. 강신주에 대해서 이야기를 하려는 것은 아니고 그의 책 <상처받지 않을 권리>에서 피에르 부르디외에 대해서 언급되어진다. 그는 아비투스라는 개념을 만든 철학자이자 사회학자인데 프랑스의 식민지였던 알제리가 자본주의 체제가 이식되지 않은 이유를 설명하기 위한 만든 용어가 바로 아비투스였다. 그렇게 그의 책을 통해서 부르디외에 대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가 여러 가지 검색을 통해서 피에르 부르디외를 전공한 홍성민이라는 분의 책을 알게되었다. 학자들이 쓴 책들이 대체로 현학적인 반면 이분의 책은 매우 명징하고 분명하게 헷갈리거나 어렵지 않게 매우 가독성있고 깊이 있는 글쓰기를 하는 분이였다. 단 한페이지만 읽어보아도 이 분은 자신이 피에르 부르디외를 소화하고 자신의 글로 써내는 사람이라는 것을 단번에 알 수 있었다.

 

살림지식총서 076번째인 이 책은 피에르 부르디외의 생애와 주요 저작, 그리고 주요 개념에 대해서 매우 집약적이지만 쉽게 풀어주고 있다. 그는 프랑스 시골지방에서 태어서 소위 말하는 수재로 도시의 학교에 우수한 성적으로 입학하였고 과거 아웃사이더로 자라난 그의 삶의 궤적에 의해 그는 사회적 문제에 관심을 가지게 되고 사회학자로서 삶을 살아가게 된다. 지식을 사회투쟁의 도구로 생각한 그는 현대 사회학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주요한 책들을 저술하게 된다. 그중 가장 유명한 책은 <구별짓기>로 과거 봉건 신분사회에서의 계급이 자본주의 시대로 넘어오면서 소비와 문화의 취향을 통해서 구별짓기를 시도한다는 매우 뛰어난 문화비평서이다. 그의 이론을 통해서 현대소비문화에서 왜 매우 고가의 물건들이 불황임에도 불구하고 잘팔리는지 왜 일반사람들은 구입하기 힘든 사치품들이 그렇게 잘 팔리는지 이 책은 이론적 설명을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뛰어난 문화분석서의 <구별짓기>는 막스 베버의 <프로테스탄트의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에밀 뒤르켐의 <자살론>과 함께 세계 3대 사회과학 명저로 평가받기도 한다.

그의 이러한 소비문화 분석을 도구로 그는 예술과 문화 그리고 정치 전반에 걸쳐 현대사회에서 이해하기 힘든 현상들을 분석해 낸다. 그의 이론을 읽고 있으면 정말 설득력이 있고 공감이 된다. 그의 중요한 개념 몇가지를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비투스(Habitus) 개념이다.

 

부르디외가 사회학적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는 아비투스 개념은 근대적 인간형에 대하여 비판적 입장에 서있다. 우선 부르디외가 인간의 행위가 단순하게 자신의 이해관계를 실현하는 논리로 환원될 수 없다고 주장한다. 인간행위의 근원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거로부터 유래하는 기억이나 사회적 관습체계, 그리고 이성적 요인으로 축소될 수 없는 감정과 같은 요인이 모두 포괄되어야 한다고 그는 강조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보면 아비투스는 칸트로 대변되는 근대 철학의 이념형을 거부했던 사상적 맥락에 자리잡고 있다. 예를 들어 영혼과 육체의 이분법에 반대했던 스피노자, 파스칼과 같은 사상가들의 사고 속에 이미 아비투스에 대한 철학적 단초가 존재하고 있었는바, 넓은 의미에서 보면 부르디외는 알튀세르나 푸코와 함께 이러한 사상적 계보에 속한다. p.35

 

둘째 상징적 폭력(violence symbolique)

 

상징적폭력은 근대 자본주의가 발전하면서 사회적 불평등은 착취의 문제로 귀결되었지만 근대 자본주의는 다른 방식의 착취를 취한다. 명예나 위신 같은 상징적 재화, 경제적 잉여에서 오는 왜곡된 배분 등과 같은 방식의 착취가 지배의 형태로 나타나는데 이러한 것들을 상징적 폭력이라고 부른다. 이론적으로 상징적 폭력의 개념에 있어 유념할 것은 이러한 신분질서와 착취의 논리가 개인의 무의식적인 취향을 통해 발휘된다는 점이다.

 

셋째 장이론과 계급분석

 

이 책을 읽었지만 장이론과 계급분석에 대해서 분명한 이해를 갖지 못했다. 차후에 다시 읽고 정리해야 겠다.

 

그는 뛰어난 사회학 이론가이지만 정치에도 참여하고 노동운동에도 참여한 실천적 사회학자였다. 그는 지식이란 사회를 바뀌는 도구가 된다고 주장했고 이 주장은 철학이 사회를 해석하는 것이 아니라 변혁시키는 도구가 되어야 된다는 마르크스의 말과 일맥상통하다. 이렇게 상아탑에 갇힌 학자가 아니라 이 사회의 현상을 이론적으로 설명해주고 그것으로 사회를 바꾸려는 실천적 노력은 그의 이론에 더욱 힘과 권위를 실어준다. 이 책의 저자 홍성민 교수는 우리 사회에서 피에르 부르디외가 주는 함의는 크다고 말한다. 특히 문화 소비시대에 살고 있는 우리는 부르디외의 이론을 통해서 배울 수 있는 바가 크다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