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눈먼 자들의 도시
주제 사라마구 지음, 정영목 옮김 / 해냄 / 2002년 11월
평점 :
구판절판
나는 소설을 잘 읽지 않는 편이다. 소설을 읽다가 중간에 덮어버린 적이 한두번이 아니였기 때문이다. 기억나는 몇권은...<책도둑>이라는 책이였다. 내용이나 형식이 모두 내가 흥미를 가질만한 것이였고 평가도 매우 좋길래 1,2권을 사서 읽었다. 읽다가 중간에 덮어버렸다. 결국 이 소설이 유명한 것은 마케팅 때문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ㅂ’ 작가의 신간도 한권읽으려고 구매했다. 결국 읽다가 중간에 덮어버렸다. 이렇게 소설은 그다지 나에게 흥미있는 장르는 아닌것 같다. 문학이라는 것에 대해 너무나 무지해서 그럴것 같아서 문학에 관한 책을 읽으려고 시도한 적도 여러번 있었다. 결국 읽다가 보면 단 한문장으로 표현할 수 있는 내용을 이렇게 시시콜콜하게 써내려가다니...하고 생각하다가 덮어버리기 일쑤였다. 이번에 이 소설 <눈먼자들의 도시>는 정말 흥미가 가는 책이였다. 영화로도 나왔고 또 평가가 좋았고 일단 흥미진진한 내용일것 같아서 이 책을 구매하고 몇 개월뒤, 즉 2틀전부터 보기 시작했다. 소재가 독창적이고 깔끔한 구성으로 인해 전체적인 내용은 한가지 틀로 나에게 입력되었다. 이 책도 읽다가 그래도 거의 다 읽어서 결국은 덮어버렸다. 이 책이 별로라기 보다는 하나의 가공의 이야기에 시간을 투자한다는 것이 아까웠다. 결말이 어떻게 될지 궁금하긴 했으나 끝까지 읽고 싶은 생각은 별로 들지 않았다. 그래도 내가 읽은 소설중에는 흥미있는 것이였다.

한남자가 차를 타고가다가 갑자기 눈이 멀어버리는 것으로부터 이 소설을 시작된다. 그 사람을 집에까지 바래다준 사람도 눈이 멀고 그의 아내도 눈이 멀고 그를 치료해준 안과의사도 눈이 먼다. 결국 전염성이 강한 이 병은 삽시간에 모든 도시의 사람들의 눈을 멀게할 가공할 병원균이라고 판단한 당국은 급기야 눈먼 사람들과 이 사람들과 조금이라도 접촉한 사람들을 보균자로 여기고 격리수용한다. 이곳에 격리 수용된 사람들의 이야기가 이 책의 내용의 대부분이다. 안과의사와 그의 아내를 중심으로 펼쳐지는 이 이야기는 눈먼 사람들의 사회를 보여준다. 이곳에서 인간의 가장 기본적인 생존권에 대한 투쟁이 벌어지고 식량을 무기고 여자들을 원하는 악이 존재하기도 한다. 살인과 약탈, 강간과 욕정이 뒤섞여 인간집단의 가장 원시적인 모습을 눈먼 자들의 사회를 통해서 보여준다.
이 소설을 읽으면서 몇몇의 캐릭터와 이야기 구조, 그리고 플롯을 전개하기 위한 소설적 장치들의 분명하게 보였다. 한눈에 이 소설의 구조가 들어왔다. 그 만큼 작가의 치밀한 계획아래 이 소설이 구성되었다고 보여지기도 하고 한편으로는 너무나 분명한 소설의 구조 때문에 오히려 이야기의 힘이 약화되는 것 같은 생각이 들기도 했다.
이 책의 마지막에 이 소설에 대한 해설이 실려있다. 해설자는 이 소설을 가르켜 80년대 드어 역사와 환상을 절묘하게 조화시킨 ‘환상역사소설’이라는 새로운 문학장르를 개척했다고 추켜세운다. 그리고 눈먼자들의 사회를 인간의 절박함을 극단적으로 밀여붙인 소설이라 말하면서 포르투갈의 역사성과 정체성을 되살려내었다고 말한다. 솔직히 말해서 문학에 문회한인 나는 이러한 찬사들이 이상하게 전부 하나의 상징으로 과도하게 해석한 것일 뿐이라는 생각이 든다. 소설을 소설일 뿐이고 하나의 스토리로써의 역할을 하지 이것이 그렇게 한 사회의 역사성과 정체성 회복을 위한 노력이라고 까지 말하기에는 과하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들었다.
내가 끝까지 읽지도 않고 이 소설에 대한 리뷰를 쓰는 것은 실례가 될지 모르겠지만 딱 여기까지가 내가 정직하게 느낀바이다. 나중에 다시 이 소설을 끝까지 읽어보겠지만 소설에 대한 나의 생각은 별로 바뀌지 않을 것 같다. 그런데 참 신기한 것은 이 소설을 읽을때 마다 상상력이 자극된다는 것이다. 문자를 통해서 분명하게 하나의 상(想)이 생긴다는 것이다. 보일듯 말듯한 상(想)이 머리에 생기고 이것을 통해서 영화에서는 어떻게 보여지는 궁금해 진다는 것이다. 소설의 기능중에 내가 경험한 것은 상상력을 자극시킨다는 것이다. 아마 소설을 통해서 우리안에 경험한 것들이 모여서 하나의 파노라마를 만들고 그것에 대한 인상이 길게 남아있기 때문에 소설을 읽고 가장 길게 여운이 남지 않는가 한다.
<눈먼자들의 도시>는 나에게 음침하고 우울한 상(想)을 길게 남겨준, 상상력을 자극한 소설로 기억되지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