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라민은행 이야기 - 착한 자본주의를 실현하다
데이비드 본스타인 지음, 김병순 옮김 / 갈라파고스 / 2009년 7월
평점 :
품절


  원조를 늘린다고 제3세계의 빈곤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다. 경제적 자립 능력없이 계속되는 지원은 수혜자의 의존도만 높아질 뿐 근본적인 문제는 그대로 남는다.


  방글라데시의 경제학자 무함마드 유누스도 같은 생각을 했다. 그는 은행을 설립하고 빈곤층에게 담보도 없이 돈을 빌려주었다. 대출자들은 그 돈으로 수공업품의 재료며 장사할 물건 등을 샀다. 그리고 사회적 통념과는 다르게 이들은 제때 돈을 갚았고 저축도 했다. 이로써 고리대금의 굴레에서 벗어나 스스로 일어서게 된 것이다.


  이는 모두 그라민 은행의 이야기다. 대출자들에게 모임을 만들어 주고, 교육을 하며, 사회문제를 다루는 특별한 은행의 이야기다. 설립자인 유누스에게 은행은 수단일 뿐이다. 그의 목표는 가난을 방글라데시에서 뿌리 뽑는 것이다.

 

"다른 은행들은 당신을 잠재적인 사기꾼으로 가정하죠. 그래서 당신에게 돈을 빌려줄 때 담보로 묶어두려 합니다. 그러나 우리는 당신이 가장 좋은 사람이라고 가정합니다. 이 두 가지 가정은 모두 잘못되었을 가능성이 있어요. 그러나 만일 다른 은행과 우리 은행의 대출 상환율이 똑같이 98퍼센트라면 다른 은행들은 98퍼센트의 대출에 대해 잘못 생각한 것이고 우리 은행은 98퍼센트의 대출에 대해 옳게 생각한 것입니다."

수피야는 유누스에게 자신이 대나무를 사기 위해 돈을 빌릴 수 있는 사람은 그녀가 만든 최종 제품을 사서 다른 사람에게 되팔려는 장사꾼뿐이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가 지불하는 가격은 겨우 재료비를 감당할 수 있을 정도의 금액이었다. 그녀는 고작 하루에 2센트를 벌었다.

"나는 사회의 한 구성원으로서 먹고살기 위해 애쓰는 42명의 유능하고 기술 있는 사람들에게 27달러도 줄 수 없는 이 사회에 대해 자괴감을 느꼈습니다."

유누스는 길거리에서 이러한 착취가 자행되는 동안 "강의실에서 엉뚱한 ‘개발‘이론이나 가르치는 데" 많은 시간과 돈을 쓰고 있는 자신의 직업과 사회에 대해 깊은 혐오감을 느꼈다.

"기회는 우리가 보는 곳 어디에나 있어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