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투선수 중 최충일이라는 선수가 있었다. 아마추어에서 국가대표로 활약하며 아시안게임 금메달을 따는 등 기본기 하나는 확실하게 갖춰진 그는 그 실력 그대로 프로무대마저 평정할 기세였다. 스트레이트를 위주로 한, 상대를 껴안는 법 없이 때리기만 하는 그의 스타일은 팬들의 사랑을 받기에 충분했다. 프로에 데뷔한 지 별로 오래지 않아 그에게 세계 챔피언에 도전할 기회가 주어졌다. 상대는 필리핀의 롤란도 나바레테였다.


경기는 최충일의 압도적 우세였다. 그는 시종 스트레이트를 쭉쭉 뻗어가며 나바레테의 얼굴을 때렸다. 견디지 못한 나바레테는 결국 링에 쓰러졌다. 근데 이게 웬일? 나바레테가 정신을 못차리고 있는 참에 갑자기 공이 울려버린 것. 그 라운드 종료시까지 13초나 남았는데 말이다. 그 시점에선 두세대만 더 때리면 경기가 끝날 수도 있었던 터라 아쉬움은 컸다. 물론 그건 필리핀 심판의 애국심이 작용한 결과였고, 그의 기대대로 나바레테는 원기를 회복해 역전 KO 승을 거둔다. 그 경기를 통해 최충일의 약한 맷집이 문제로 지적되었는데, 그는 두 번째 챔피언 도전에서도 라파엘 바주카 리몬을 일방적으로 몰아붙이다 단 한방을 복부에 맞고 다시 일어나지 못했다. 그의 권투 인생은 그게 마지막이었지만, 그래서 더더욱 그 13초가 아쉬울 수밖에 없었다. 최충일 측은 세계복싱연맹에 항의를 했지만, 돌아오는 말은 “패자의 변명”이란 대답뿐이었다.


그로부터 몇 년 후의 일이다. 김철호라는, 알지도 못하는 선수가 베네주엘라로 날아가 세계 챔피언 라파엘 오르노에게 도전한단다. 질 게 뻔했기에 우리나라 방송에선 위성중계도 해주지 않았다. 하지만 변수가 생겼다. 오르노가 경기를 앞두고 맹장 수술을 한 것. 김철호는 그 기회를 놓치지 않았고, 연습부족으로 후반 들어 스피드가 떨어진 오르노의 배에 필살의 펀치 두방을 날렸다. 믿기지 않는 승리였다.


그 뒤 김철호는 비교적 약한 선수들과 방어전을 치루며 챔피언 벨트를 지켰다. 돈도 제법 벌었는지 나중에 그는 자기 이름을 내건 권투 도장을 차리기도 했다. 하지만 설욕의 기회를 노리는 오르노의 도전을 언제까지 피할 수 없었다. 이미 5차 방어전에서 승리함으로써 우리나라 챔피언 중 최다 방어 기록을 수립했던 그는 서울에서 오르노와 리턴 매치를 가졌다. 김사왕이 에우제비오 페드로사에게 진 경기 이래, 난 우리나라 선수가 그렇게 일방적으로 맞기만 하는 건 처음 보았다. 오르노의 맹장이 다시금 재발하지 않는다면 김철호가 이길 확률은 없어 보였다. 4회쯤 되었을까. 로프에 몰린 김철호가 열나게 맞고 있을 때, 갑자기 공이 울렸다. 나는 물론이고 경기를 보던 우리 아버지도 놀라셨다. TV의 시계에 의하면 아직도 1분 40초가 더 남아 있었기 때문이다. 나중에 안 사실이지만 그건 김철호가 맞는 걸 더 못보겠던 심판이 공을 울린 거였고, 아나운서와 해설자가 아무 말도 안한 건 그 심판과 같은 심정이기 때문이었으리라. 필리핀의 경우와는 다르게 김철호는 원기를 회복하지 못했고, 그 다음 회에 완전히 쓰러짐으로써 타이틀을 빼앗기고 만다. 13초를 가지고 뭐라고 했던 우리나라가 다른 나라에 중계도 되는 경기에서 1분 40초를 남기고 공을 치다니 스케일도 크다. 미리 종을 친 심판은 그 다음날로 사표를 제출했는데, 그 기사를 보면서 마음이 아팠던 기억이 지금도 난다.


세월이 흘러 지금은 애국심이나 국가주의가 촌스러운 것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국기에 대한 경례를 거부하자는 유시민의 주장은 진보 측의 공감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애국이라는 이름으로 우리에게 가해졌던 무시무시한 통제를 생각해보면 이런 현상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는데, 그러면서도 축구만 하면 붉은 옷을 입고 생난리를 치고, 소신에 의해 해설을 한 유명 해설자가 중간에 잘리기까지 하는 등 애국주의의 광풍이 이따금씩 휘몰아치는 걸 난 도무지 이해할 수 없다. 월드컵을 앞두고 평가전 때 역주행을 한 설기현을 풍자의 소재로 삼았다고 해당 개그맨을 마녀사냥하는 그런 광적인 애국심보다는 우리 선수가 맞는 게 안타까워 일찍 종을 쳐버리는 그 심판의 애국심이 훨씬 소박하고 정겨워 보인다.


댓글(7) 먼댓글(0) 좋아요(5)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해적오리 2007-04-10 2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드뎌 권투가 언급된 페퍼가 등장했군요. 저 어려운 선수들 이름을 전부 알고 계신 것에 감탄하며 추천 한방 때리고 자러갑니다. ^^ 부리님도 일찍 주무셔요. 나이 생각하셔야죠...ㅋ

부리 2007-04-10 23:54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아앗 해적님! 제가 권투 매니아거든요!!! 글구 사실 저 요즘 괜히 피곤해요...몸이 한번 아프고 나니까 이런 현상이...ㅠㅠ

Mephistopheles 2007-04-11 01:45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권투라면...아시따노 조(내일의 조) 라는 만화와 더 파이팅은 꼭 보시길 바래요..^^

비로그인 2007-04-11 10:0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권투의 승부는 이미 링 밖에서 결정이 난다라고 말들 하잖아요.
링 밖에서 선수가 흘린 땀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고,
링 위에선 단지 그 결과를 확인하는 것 뿐이라고요.

그래서 전 권투를 꽤나 공정한 스포츠라고 생각해서 좋아하는데... 이건...ㅎㅎ
제가 모르는 다른 면도 있었군요?!

oldhand 2007-04-11 11:2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최충일의 원투 스트레이트는 정말 예술이었지요. 조금만 더 터프하고, 지저분했으면 중(中)량급에서 한 획을 그을만한 자질이었는데 두고두고 아쉽습니다. 근데 나이가 들어서 최근에 리몬과의 경기를 다시 보니 그렇게 일방적이지만은 않더라구요. 약간 아슬아슬한 분위기가 내내 감돌았습니다. 물론 KO 당하기 전까지 점수상으론 매라운드 계속 10-9로 이기고 있긴 했지만요. 나바라테도 그렇고 리몬도 그렇고 아주 일류 챔피언은 아니었으니, 최충일의 한계는 거기까지였을지도요. 비슷한 시기에 같이 승승장구하다가 황준석이라는 국내의 암초에 걸려 좌초해버린 황충재 생각도 납니다..
아 그리고 최충일만큼 깔끔한 원투 스트레이트를 구사하던 허영모 선수도 있었지요. 프로에 데뷔하진 않았지만.

진/우맘 2007-04-11 13: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오랜만이네, 부리.^^

부리 2007-04-13 15:5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진우맘님/안녕하세요 근데 왜 반말이지????????^^
올드핸드님/권투에 대해서 님과 해야 할 말이 아주 많군요! 황충재도 제법 했었는데 당시 챔피언이 슈거레이였죠 아마^^ 그리고 허영모를 얘기하려면 문성길 얘기를 꼭 해야겠지요... 아까운 선수였는데 둘 다요.
고양이님/스포츠는 대개가 정치랍니다. 뭐, 쓰러뜨리면 아무 문제 없겠지만...아마 경기에서 판정시비가 얼마나 많이 나는데요...
속삭님/아앗 제게 그런 멋진 칭찬을... 전 님을 좋아하기로 했습니다!!!^^
메피님/아앗 전 권투만화는 그다지 안좋아하는데...허영만이 그린 링의 미치광이들인가, 그건 재밌게 봤지만...기본적으로 권투에 대한 애정이 식어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