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신은 좋은 사람입니다
윤혜진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좋은 사람

사람들은 누구나 좋은 사람이 되고 싶어한다. 스스로도 만족스러워야겠지만 가장 1순위는 타인의 시선이다. 좋은 사람이란 단어는 꽤 다양한 해석이 가능할 것 같다. 외모, 성격, 이해심, 협조력 등 개별기준도 중요하겠지만 일반적으로 '좋은 사람'이라면 이 모든 것들이 종합적으로 판단되는 것이다.


관계가 어려워지게 하는 자신의 문제

성악설이나 성선설 같은 논점은 아니라도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가져야 할 것들이 있다. 가장 우선되는 건 자기애이다. 자신을 사랑하지 못하는 사람이 타인을 사랑할 여유가 없다. 문제는 과유불급이란 말처럼 자기애도 과할 때이다. 이 책에서 가장 먼저 등장하는 이야기가 '나르시스'다. 겉으로 과시하는 외현적 자기애(overt narcissism)와 속으로 되뇌는 내현적 자기애(covert narcissism)으로 구분된다. 나르시시스트의 모습 뒤에는 타인의 인정을 바라는 마음이 있다. 또한 완벽주의를 추구하는 사람들이 겪는 문제도 있다. 과도한 자기애와 완벽주의가 스스로를 좋은 사람으로 만들려고 하다보니 타인과의 관계가 어려워진다.


진솔한 관계

좋은 사람이 되기 위해 자신의 색을 잃어서는 안 된다. 되레 자신의 바른 모습을 보여주고, 스스로를 반성하면서 부족한 점을 보완해가며 관계를 만들어가야 한다. 대인관계 속에서 거짓됨은 시간이 흐를수록 티가 나게 마련이다. 나의 감정을 다스리고 표현하는 법, 대화를 하는 법도 익혀야 한다. 또 다른 사람을 보는 눈도 길러야 한다.

직장생활에서 가장 힘든 건 인간관계다. 이직이나 퇴사를 하는 가장 크고 많은 이유도 사람들 사이의 문제다. 어떤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자신을 먼저 반성하고 타인의 문제점과 대응방안을 살펴야 한다.

이 책을 통해 분명 관계 솔루션을 찾을 수 있을 거라 보인다. 나의 관계에는 문제가 없는지부터 책을 읽으며 찾아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우리는 결국 지구를 위한 답을 찾을 것이다 - 지구와의 공존을 모색하는 가장 쉬운 기후 수업
김백민 지음 / 블랙피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환경오염

대학에서 환경을 전공하고 긴 세월 여러 분야에서 일을 하다 최근에 몸을 담은 분야는 에너지이다. 학부시절 전공을 배울 때만 해도 대기, 수질, 폐기물, 소음과 같은 환경문제를 다루는 학문이었기 때문에 에너지에 대한 고민은 그리 크지 않았다. 당시에도 지구온난화에 따른 온실효과, 엘니뇨에 대한 고민은 있다. 하지만 가끔 발생하는 스모그, 고농도 오존과 같은 대기오염은 대책에 급급할 뿐 마땅한 대안이 없는 것도 사실이었다. 사람들의 의식 변화와 기술의 발전이 되면 줄어들 것이라 생각했다.

한편으로 환경오염은 산업화의 부산물이다. 어느 나라나 환경을 생각하면서 성장한 나라는 없다. 80년대 고도 성장기를 거치고 90년대에 접어들면서 우리나라도 대기나 수질오염으로 인한 피해자가 발생하니 그제야 부랴부랴 법과 제도를 정비했다. 하지만 그것도 IMF 시절을 거치면서 다소 소원해지기도 했다.

요즘들어 가장 자주 듣는 단어가 '기후위기'다. 지구 온도가 상승하면서 더 이상의 탄소배출을 줄여야 한다는 게 지구인들이 공감하는 내용이다.


지구 이해하기

모든 인간들이 살아가는 터전인 지구는 지난 수세기를 거치면서 조금씩 다른 환경으로 변화했다. 인구 증가, 식생활 변화 등이 대표적인 이유다. 그 결과로 지구의 기온 상승 중이다. 인간들이 만들어낸 환경은 다시 인간을 위협하는 환경이 되었다. 근데 정말로 인간이 만든 환경 때문일까 하는 의구심이 드는 건 모든 사람들이 공통적으로 가지는 의구심 아니겠나. 대개 일반인들이 환경문제에 그리 깊이 관여하지 않는다. 환경을 생각하면 불편하기 때문이다. 학창시절 학교에서 배우는 교과서에서 나오는 수준의 이야기 정도만 그래도 시험을 칠 때 기억해둔 것이 전부이기 때문에 제대로 흐름을 이해하고 있는 이는 드물다. 더구나 앞으로 살아가야 할 우리 젊은 세대들에게는 더욱 사실적인 내용들이 필요하다. 그래서 이 책 『우리는 결국 지구를 위한 답을 찾을 것이다』를 읽었으면 한다. 만약 환경교사로 직업을 가지고 있었다면 이 책을 교과서로 선택해도 좋지 않을까 싶다. 자세한 설명과 소개된 다양한 자료들이 독자에게 현재의 지구를 이해하는 데 큰 도움을 주고 있다고 본다.


우리가 할 일

인간은 지금껏 그래왔듯이 어떤 역경도 이겨냈다. 위기를 탈출했고, 새로운 대안을 찾아내어 왔다. 아마도 그런 이유 때문에 책의 제목도 긍정의 믿음이 내포되어 있지 않나 싶다.

지구의 기온 상승을 막기 위한 노력들이 행해지고 있다.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확대, 탄소배출 줄이기 등이 대표적이다. 신재생에너지 보급과 확대의 일선에서 일을 하고 있지만 이 책 저자가 언급한 것과 같이 우려되거나 보완해야 할 부분들도 많다고 본다. 많은 사람들이 우리의 터전에 대한 보다 깊은 관심을 가졌으면 한다. 단순히 정부의 외침이 아니라 정말 하나되어 당장 우리의 삶과 후손에게 물려줄 세상을 위해서라도 말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그룹코칭 - 탁월한 성과를 내는 리더의 선택
김종명.여재호.이해원 지음 / 플랜비디자인 / 2021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룹코칭

코칭을 간단히 정의하면 '선수가 게임을 잘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이다. 1대 1로 하는 개인 코칭에서 한 명의 코치가 여러 명을 동시에 코칭 하는 것이 '그룹코칭'이다. 조직은 그룹이 모여서 특정한 성과를 내는 집단이다. 구성원들의 자발적 참여를 이끌어내어 조직의 목표를 수립하고 함께 해결 방안을 찾고, 집단지성을 이끌어내는 것이 그룹코칭이 지향하는 바이다.


그룹코칭 프로세스

저자는 그룹코칭의 과정을 G.R.O.U.P 이란 이니셜로 표현한다. Greeting은 친밀하고 안전한 공간 만들기, Revisit은 실행을 공유하고 학습을 심화하기, Objective는 초점을 명확하게 하기, Understanding은 집단지성을 이끌어내기, Planning은 실행계획 수립하기이다.


코칭의 핵심가치와 코치의 핵심 역량

코칭을 할 때 코치의 역할은 언제나 중요하다. 그룹코칭을 할 때 4가지 핵심가치는 존중, 이해, 공감, 탁월성을 말한다. 코치는 참가자들을 평가하거나 판단하지 않고 있는 그대로의 그들을 존중하고 이해하고 공감하면서 그들의 탁월함을 이끌어내는 것이다.

코치는 참가자들로부터 신뢰를 얻는 능력이 필요하고, 진정성이 드러나야 하며, 참가자들이 말하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까지 들을 수 있는 경청능력 그리고 참가자들의 생각을 자극하고 연결하고 탁월성을 이끌어내는 인식을 깨우는 능력이 필요하다.


중간관리자 이상의 역할을 해야 한다면

조직에서 막내 생활을 할 때는 그저 상사나 선임자가 지시하는 것을 위주로 업무를 수행하면 된다. 시간이 점차 흐르고 자신도 부하나 후임자가 생기게 되면 조금씩 어깨가 무거워진다. 조직은 구성원들의 모든 역량을 한데 모아 성공적인 실적을 지향함에 조직 구성원으로 고참이 되어간다는 건 그만큼 신경을 쓰고 해야 할 일들이 늘어난다는 것이다.

조직 구성원들의 의견을 도출하고, 소통을 하며, 집단지성을 이끌어내기 위해 중간관리자 이상이라면 코칭 기법을 알아두는 건 필요하다. 코칭 기법이 그렇다고 지금껏 들어본 적 없는 아주 특별한 건 아니다. 이미 다양한 교육과정에서 적어도 한 번쯤은 들어봤을 내용이다.

그룹코칭 능력은 창의적 문제해결 능력, 소통, 해결책, 집단지성, 조직 갈등을 해결하는 데 반드시 필요하다. 지금 내가 속한 조직에 갖추어야 할 역량은 아닌지 살펴볼 일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직장인 최종병기 책 쓰기 - 책 쓰기로 생존하라!
이건우 지음 / 일리 / 2021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생 2 막을 위한 준비, 책 쓰기

직장 생활을 하다가 적정한 연차가 되고 조직에서 직위나 직급이 오르다 보면 마이 웨이를 외쳐야 할 때가 온다. 그게 언제인지는 알 수 없다. 개인차가 분명히 있을 테니.

직장인이 재직 중에 있을 때 자신만의 업무 노하우나 제안들을 배경으로 정리해 글을 쓴다면 기존에 그런 행위가 없다면 전문가라는 호칭을 얻을 수 있다. 경쟁 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나만의 매력(전문성) 높여두는 건 적어도 생명줄을 길게 늘여놓는 좋은 방법이다. 그래서 요즘은 책 쓰기에 대한 관심도 높아지고 있고, 책 쓰기를 안내하는 책들도 많이 출간되고 있다. 『직장인 최종 병기 책 쓰기』도 그런 책이다. 이 책에 소개되거나 인용된 책들의 저자들을 보면 재직 중인 이도 있고, 퇴직을 하고 작가의 길을 가고 있는 이들도 있다. 이유야 어떻든 자신이 배운 걸 써먹는 건 매한가지다.


테어다운

이 책을 보며 가장 손꼽으며 강조하는 차별된 점은 '테어다운(teardown)'이다. 제품의 구성을 파악하려고 분해하고 분석하는 것. 제품개발 과정에서 무척이나 당연한 부분이다. 이러한 과정을 알면서도 자신에게 대입하기는 어렵다. 일과 삶을 구분해서인지 응용을 하지 못해서인지는 모르겠지만 말이다. 여하튼 '모방은 창조의 어머니'란 말이다. 책을 쓰기 위한 것을 막막하게 생각할 게 아니라 이미 그런 과정을 거친 사람들의 책을 보고 분석하고 접근하라는 뜻이다. 지극히 동의한다. 결국 다독(多讀), 다작(多作), 다상량(多商量) 그리고 저자의 말처럼 다록(多錄)하면서 좋은 글을 써야 한다.


내 책을 쓰기 위한 고민

내가 애독가인지 애서가인지 구분은 중요하지 않다. 단지 생애 나의 이름을 내건 책 세 권을 내고 싶은 마음이다. 지금껏 살면서 공식적으로 내 이름을 걸고 쓴 글은 대학원 졸업을 위한 논문(보고서)이 전부다. 글은 수시로 쓴다. 지금도 리뷰를 쓰고 있는 것처럼 일상을 남기고 생각들을 기술한다. 나의 블로그와 SNS 채널들은 내가 쏟아내는 순간들을 담아내느라 바쁘다. 하지만 글은 썼을지라도 책으로 엮지는 못했다.

이 책을 읽게 된 것도 이제 조금씩 나의 목표를 도전해야 할 시기가 가까워가고 있다는 생각과 느낌 때문이다. 세상에 많은 사람들이 읽고 쓰고 있다. 나도 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은 하지만 막상 도전하려니 막막하고 어떻게 시작해야 할지 모를 때 이 책으로 방향을 한 번 잡아보는 것도 좋을 거 같다. 앞서 언급한 것처럼 테어다운 하면서 나의 제품을 만들어 보는 건 어떨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검색만 잘했을 뿐인데 매출이 두 배가 됐습니다
손정일 외 지음 / 원앤원북스 / 2021년 6월
평점 :
절판


사장님은 힘들어

경영학을 배우면 경영전략을 배우게 된다. 그중에서 3C(customer, competitor, company), SWOT(strength, weakness, oppotunity, threat), STP(segmetation, targeting, positioning), 4P(price, product, place, promotion)와 같은 기본적인 전략은 꼭 경영학을 배운 사람이 아닐지라도 한번쯤은 들어봤을 키워드들이다. 이러한 전략들을 수립하기 위해서는 가장 먼저 해야 할 것이 시장조사다. 수요는 있는지, 어떤 것을 원하는지, 판로는 어떤지를 조사하는 시간은 필수다. 가장 기본적이라 할 수 있는 이 시장조사를 사람들은 가장 어려워 하는 것도 사실이다. 경영학이라도 배웠으면 수업시간에 건성으로 들었어도 기억은 남아있을 테지만 그렇지 않은 비전공자들은 그저 막막할 뿐이다. 그나마 정부에서 지원하는 컨설턴트들의 도움을 받기도 하지만 그건 코멘트의 수준이니 내가 원하는 건 내가 찾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그래서 사장님은 배워야 할 것도 알아야 할 것도 실행해야 할 것도 많다. 당연히 어렵고 힘들다.


온라인 시장조사

과거와 달리 시장조사는 온라인으로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어 있다. 이제는 검색만 잘하면 웬만큼의 원하는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것도 그리 어렵지 않다. 직접 두 발로 뛰면서 조사하는 것도 필요하겠지만 어느 세월에 원하는 수준으로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할 텐가. 비용을 주고 컨설팅을 의뢰하더라도 그들 역시 온라인 시장조사를 가장 기본적으로 수행한다. 시간과 비용을 모두 절약하고 보다 방대하며 요구 수준에 부합할 수 있는 자료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검색과 추출, 분석 등 방법 따라하기

네이버, 구글, 랭키닷컴, 줌, 다음, 국가통계포털, 해외시장뉴스, RISS 논문 검색, KMAPS, 딥서치 같은 조사 채널들은 기획 업무를 하고 있는 많은 이들이 이용하고 있는 조사처다. 이들 데이터는 무엇보다 신뢰도가 높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곳에서 어떻게 원하는 데이터들을 검색하고 추출, 분석하는지를 하나하나 짚어가며 설명한 책이 바로 이 책이다. 어찌보면 무척이나 간단해보기도 하지만 결코 간과할 수 없는 과정이다. 특히나 시장조사 경험이 없는 이들이 이 책을 따라하면서 자료를 검색하고 추출하는 일을 해보는 건 꽤 흥미로울 수도 있겠다 싶다. 만약 전공자나 해당 업무를 수행하는 초보자들에게도 이 책은 무척 친절한 안내서가 될 거 같다. 단번에 익숙해지진 않겠지만 차츰 익혀가면서 시장을 바라보는 눈을 키워가면 어떨까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