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려움을 느끼는 사람들에게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 공감이다. 팀장들은 대부분 비슷한 어려움을 겪는다. 사람, 업무, 성과 그리고 자신의 앞날이다. 물론 팀원으로 일할 때도 비슷하다. 하지만 팀을 이끌어가는 입장에서는 감당해야 할 몫이 다르다. 팀원으로 지내면서 이런저런 다양한 팀장들을 겪으면서 자신이 팀장이 되면 이렇게 해야지 하던 것들도 막상 현실이 되고 나면 생각처럼 쉽지 않다.
『팀장으로 산다는 건』을 보면 팀장은 다 같은 심정이구나 하는 생각이 든다. 내가 겪은 애로를 모두가 겪고 있다는 동병상련의 입장임을 알 수 있다. 임원도 아니고 팀원도 아닌 중간관리자의 입장에서 말 그대로 끼어 있는 입장. 내·외부의 관계자들과의 관계도 중요하고, 업무도 성실히 수행하며, 성과를 도출하고 관리하는 입장. 나아가 스스로의 모습을 보면 홀로 남겨져 얼마 후 도래할 미래도 고민해야 하는 현실은 이걸 혼자 다 감당해야 하는 것인가? 하는 자문을 계속 던질 수밖에 없다. 다행히도 이 책의 저자도 팀장으로 살면서 똑같이 경험하고 느꼈다. 그래서인지 속 시원한 이야기들을 해준다. 대한민국에서 팀장이란 직위를 가진 사람들이라면 꼭 읽어두어야 할 바이블 같은 느낌이다. 저자가 말하는 대부분의 이야기들이 공감이 되고 나에게 위로가 된다. 앞으로 이런 상황이 닥치면 달리 대응해봐야겠다는 생각도 하게 된다. 주변에 팀장이 되어 어려움을 겪는 이가 있다면 이 책을 건내주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