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군인 쥐베르가 기록한 병인양요 그들이 본 우리 15
앙리 쥐베르 외 지음, 유소연 옮김 / 살림 / 201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침략자의 시선에서 바라본 19세기 중엽 조선과 강화도의 모습은 왜곡과 편견으로 일그러지고 뒤틀렸지만, 그것은 그것대로 과거를 이해하는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몽골제국 연대기
라시드 앗 딘 지음, 김호동 옮김 / 사계절 / 202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몽골 제국의 시원과 최초의 세계사에 다가가기 위한 징검다리.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한국 병합 - 논쟁을 넘어, 다시 살핀 대한제국의 궤적
모리 마유코 지음, 최덕수 옮김 / 열린책들 / 2024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대한 제국을 가리켜 ‘크지도 않고 삼한도 아니며 제국도 아니다‘라고 볼테르처럼 냉소할 수도 있겠으나, 대한 제국이 실패했다고 해서 일제가 한국을 식민지로 삼은 일이 옳았다고 할 수 없다. 이것을 헷갈리는 이가 적잖다는 게 당혹스러울 따름이다.

댓글(2)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2024-12-18 17:46   URL
비밀 댓글입니다.

解明 2024-12-18 22:02   좋아요 0 | URL
볼테르가 신성 로마 제국을 가리켜 ˝신성하지도 않고 로마도 아니며 제국도 아니다.˝라고 말했듯이 대한 제국의 국호가 삼한에서 비롯한 것을 제 나름대로 볼테르의 표현을 빌려서 풍자해 봤습니다. ‘삼한‘이라는 용어는 고대부터 현대까지 뜻이 바뀌거나 넓어졌지만, 기존에 사용하던 ‘조선‘을 대체할 만큼 당대 사람들이 지지했는지 의문스럽기도 하고요. 다만 짧은 서평에서 드러나듯이 대한 제국을 실패한 역사로만 바라보는 것은 반대하는 입장입니다.
 
북정록 - 조선군 사령관 신류의 흑룡강원정 참전기 서해문집 오래된책방 22
신류 지음, 계승범 옮김 / 서해문집 / 2018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군이 ‘나선‘이라는 미지의 적과 싸운 것은 단 하루뿐이었으나, 이역만리에서 불귀의 객이 된 부하들의 이름을 하나하나 일기에 적으면서 글쓴이가 느꼈을 슬픔은 흑룡강보다 더 깊지 않았을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임진왜란 : 상 - 그러나 이순신이 있었다 임용한의 시간순삭 전쟁사 3
임용한.조현영 지음 / 레드리버 / 2024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산포에 웅거한 왜적을 한번에 쓸어버릴 수 없는 데다가 임금마저 자신을 의심하는 답답한 상황에서도 무인으로서 사명감과 책임감을 늘 잊지 않던 이순신은 어떻게 부하들과 백성 그리고 나라를 지키려고 했는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