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紫禁城을 지키는 수호신 獅子>

中 國

<第 二 部 歷史>

3. 中国의 歷史的인 事件 年表


  BC187년 / 呂后의 臨朝(~180)


 다음 해, 흉노(匈奴)의 공격을 받고 졌던, 한왕 신(韓王信)이 그대로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자 유방(劉邦)은 다시 친정(親征)을 나가서 그것을 정벌(征伐)했다. 그 후, 기원전 200년에 유방(劉邦)은 다시 흉노(匈奴)의 목돌선우(冒頓單于)를 토벌하기 위해서 북쪽으로 군(軍)을 이동했다. 그러나 그때 유방(劉邦)은 적의 작전에 말려들어서 포위되었는데, 그러자 또 그때, 진평(陳平)의 도움으로 겨우 도망을 쳤고, 그 후 흉노(匈奴)와 형제의 나라로 지내면서 매년 공물(貢物)을 보내는 조약을 체결했다. 그러자 그 후, 다시는 흉노(匈奴) 때문에 군사를 일으키는 일은 없게 되었다. 기원전 196년, 한신(韓信)이 반란을 일으키려고 계획했지만, 소하(蕭何)의 기책(奇策)에 걸려들어서 처형되었다. 그리고 또 동년(同年) 팽월(彭越)도 처형되었다. 그러자 그에 두려움을 느꼈던 영포(英布)가 다시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자 또 그 무렵에 유방(劉邦)은 몸이 좋지 못해서 그 일을 태자(惠帝)에게 맡기려고 했지만, 그러나 여치(呂雉) 등의 진언을 받고 친정(親征)해서 그 일도 해결했다. 그리고는 그 귀도(歸途) 중에 유방(劉邦)은 그리운 고향 패(沛)에 들러서 연회를 열고는, 그곳 현지(現地) 아이들 120명을 모아서 <대풍가(大風歌)>를 부르게 했다.

 ※ 아래는 본 필자(筆者) 역(譯)으로, 대풍가(大風歌)에 대한 소개임.

 
大風起兮 雲飛揚
 威加海內兮 歸故鄕
 安得猛士兮 守四方

 
대풍기혜 운비양
 <큰 바람이 일어나자, 구름도 하늘 높이 떠올랐다>

 위가해내혜 귀고향
 <威光이 천하를 덮을 제, 錦衣還鄕 하였구나>

 안득맹사혜 수사방
 <내 어찌 용맹한 군사를 얻어, 天下를 지키지 않겠는가>

 아무튼, 그러자 유방(劉邦)은 아주 기뻐하며 그 패(沛)에 영대면조(永代免租-아주 오랜 세월 동안 조세를 면해주는 것)의 특전을 내렸고, 이어서 패 사람(沛人)들의 청을 받아들여서 고향 풍(豊)에도 같은 특전을 내렸다. 하지만 그 후 유방(劉邦)은 영포(英布)와의 싸움에서 입었던 상처로 인해서 더욱 병이 악화되었고, 그리고는 이윽고 기원전 195년에 사망했다.

 ※ 참고

 그리고 또 그때, 자신의 임종을 미리 예견했던 유방(劉邦)은 <폐하 사후(死後), 우리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라고 물었던 여치(呂雉)에게 <나의 뒷일은 蕭何에게 맡기시오. 그 다음은 曹參이 좋을 것이요>라고 말을 했다. 그러자 여치(呂雉)가 몇 번이나 다시 물어보자 유방(劉邦)이 또 이렇게 말을 했다. <그 다음은 王陵이 좋겠지만, 그러나 그때는 愚直한 陳平을 補佐시키면 좋을 것이요. 하지만 陳平은 머리가 너무 좋기 때문에 전부 다 맡기는 것은 위험하오. 그리고 社稷을 안전하게 지킬 사람은 분명히 周勃이 될 것이오>라고 말을 
했다. 그러자 또 여치(呂雉)가 더욱 매달리면서 다시 묻자 유방(劉邦)은 또 이렇게 말을 했다. <당신은 도대체 언제까지 살고 싶은 것인가? 당신이 죽고 난 다음에야 이 세상이야 어찌되든 상관이 없지 않은가?> 그 후, 그의 유언은 모두 이루어졌고, 그것으로 그의 인물 안(人物眼)이 탁월했음도 증명되었다. 그리고 유방(劉邦) 사후(死後) 태자가 즉위해서 혜제(惠帝)가 되었다. 그러자 여치(呂雉)는 모든 실권을 거머쥐었고, 그때부터 여 씨(呂氏)의 시대가 되었다. 하지만 또 그 여치(呂雉)가 죽자 이미 전술(前述)한대로 주발(周勃)과 진평(陳平)에 의해서 그 여 씨(呂氏)들은 모두 숙청되었고, 이어서 문제(文帝)가 즉위해서 <文景의 治>라고 하는 번영의 시대가 시작되게 된다.

 -----------------------------------------------------------------------------------------------


 여치(呂雉) 2

 아무튼, 그렇게 해서 유방(劉邦)도 죽었고, 그 뒤를 이어서 혜제(惠帝)가 즉위하자 여치(呂雉)는 황태후의 자격으로 후견을 자청했다. 그리고는 이어서 자신의 지위를 보다 강고(强固)히 하고자 장이(張耳)의 아들이었던 장오(張敖)와 노원공주(魯元公主)의 딸을 혜제(惠帝)의 황후(張皇后=惠帝의 姪女에 해당됨)로 세웠다. 하지만 당시까지도 후계를 둘러싼 분쟁은 뿌리 깊게 이어지고 있었기 때문에, 그래서 여치(呂雉)는 혜제(惠帝)가 즉위하자 곧바로 혜제(惠帝)의 강력한 라이벌이었던 유방(劉邦)의 서자(庶子) 제왕(齊王) 유비(劉肥) 그리고 조왕(趙王) 유여의(劉如意)를 살해하려고 기도(企圖)했다. 그러나 유비(劉肥)의 암살은 혜제(惠帝)에 의해서 실패로 돌아갔고, 유여의(劉如意)와 그의 생모(生母) 척 씨(戚氏)는 결국 살해했다. 그런데 그때, 여치(呂雉)는 척 씨(戚氏)를 노예로 만들어서, 유여의(劉如意)를 살해한 후, 그 척 씨(戚氏)의 양손과 양다리를 잘랐고, 그것도 모자라서 눈을 도려냈으며, 그리고 또 약(藥)을 써서 귀를 멀게 했음과 동시에 말도 하지 못하게 만들었고, 그런 다음에는 또 변소(便所=化粧室)에다 넣어서 인체(人彘=人豚=옛날, 제주도에서 길렀던 黑豚을 想起 바람)라고 부르게 했다고 사서(史書)에는 기록되어 있다. 그리고 또 덧붙여서, 고대 중국의 변소에서도 제주도보다 훨씬 크고 넓은 구덩이를 파서 그 안에다 돼지를 넣어서 길렀다고 하는데, 그러자 그것을 알게 되었던 혜제(惠帝)는 큰 충격을 받아서 그때부터 정무(政務)를 방기(放棄)하더니 결국에는 그 충격으로 죽어버렸다. 그러자 여치(呂雉)는 또 그 혜제(惠帝)의 장례식에서 격렬하게 통곡했다지만, 그러나 눈물은 한 방울도 흘리지 않았던 것을 그때 장량(張良)의 아들 장벽강(張辟彊)이 보고 진평(陳平)에게 알려주었다. 그러자 또 진평(陳平)은 여치(呂雉)에게 여 씨(呂氏) 일족(一族)들을 중역(重役)에 앉힐 것을 진언했다. 그 후, 여치(呂雉)는 혜제(惠帝)의 유아(遺兒)였던 소제 공(少帝恭)을 세웠고, 여 씨(呂氏) 일족과 진평(陳平) 그리고 주발(周勃) 등 국가의 원훈(元勳)들로 하여금 소제 공(少帝恭)을 보필케 했다. 그리하여 일단 정치는 안정되는 듯 했지만, 하지만 또 그때부터 여치(呂雉)는 각지의 제후왕(諸侯王)에 봉해져있던 유방(劉邦)의 서자(庶子)들을 차례로 암살했다. 그리고 또 그 후임으로 자신의 조카 등 여 씨(呂氏) 일족들을 배치해서 외척(外戚)정치를 펴나갔고, 그리고는 또 이어서 자신에게 반항적이던 소제 공(少帝恭)을 살해하고, 홍(少帝弘)을 세웠는데, 그러자 여치(呂雉)는 원훈(元勳)들로부터 많은 반발을 샀다. 그 결과, 원훈(元勳)들은 자신들도 암살당할 수 있다는 불안감에 휩싸여서 그때부터는 정무(政務)를 등한시하게 되었다. 그러자 여치(呂雉)는 그것을 알아차리고 일식(日食)이 일어났을 때, 그들에게 시켜서 <제 탓입니다>라고 말을 하게 했다고 한다. 그리고 또 죽기 수개월(數個月) 전에는 푸른 개(靑狗)에게 겨드랑이를 물려서 끌려가는 환상을 보고는 점쟁이에게 점을 치게 했는데, 그러자 그 점쟁이가 소제공수(少帝恭祟=少帝恭의 厄)라고 말을 했다. 그런데 실제로 여치(呂雉)는 그 후에 겨드랑이에 병이 생겼고, 그러자 또 자신의 임종을 미리 예감했던 듯, 자신의 조카였던 여산(呂産) 등에게 원훈(元勳)들의 동향(動向)을 면밀히 관찰하라는 말을 몇 번이나 했다. 그리고는 그 일족들이 중앙의 병권(兵權)을 완전히 장악하고, 또 그로써 모두 중직에 앉은 것을 보고는 세상을 떠났다. 하지만 그런 노력에도 불구하고 여치(呂雉)가 죽자 곧 진평(陳平)과 주발(周勃) 등이 제왕(齊王)의 유아(遺兒) 등 황족과 그리고 또 그때까지 제국(諸國)에 남아있었던 유 씨(劉氏)들과 협력을 해서 쿠데타를 일으켰다. 그리하여 여 씨(呂氏) 일족은 모두 몰살되었고, 이어서 혜제(惠帝)의 이모제(異母弟)였던 대왕(代王) 유항(劉恒)을 옹립했는데, 그가 바로 문제(文帝)였다. 그리고 그 문제(文帝) 옹립 전후(前後)에 소제 홍(少帝弘)도 혜제(惠帝)의 친자식이 아니고 여치(呂雉)가 어디에선가 데려왔던, 그래서 태생이 알려지지 않은 사람이라는 이유로 당시 혜제(惠帝)의 자식으로 되어있던 상산왕(常山王) 유조(劉朝=軹侯), 회양왕(淮陽王) 유무(劉武=壺關侯) 등과 함께 암살되었다. 그리고 또 여치(呂雉)의 여동생이었던 여수(呂須)도 편형(鞭刑-채찍으로 때려서 죽이는 벌)으로 살해되었고, 그녀의 아들 번항(樊伉)도 역시 살해되었다. 그래서 당시, 그 여 씨(呂氏)의 혈통을 가졌던 사람들 중에서 숙청되지 않았던 사람은 노원공주(魯元公主)와 장오(張敖)의 아들(張皇后의 형제)이었던 장언(張偃) 뿐이었다. 어쨌든, 그 여치(呂雉)의 시대에는 황족이나 원훈들이 계속해서 살해되는 등, 그 궁정에서는 무엇인가 혈성(血腥-피비린내)이 끊일 날이 없었던 그런 시대였다. 하지만 또 어떻게 생각해보면 당연한 결과일지는 몰라도, 아무튼 그 치세(治世)에는 거의 태평성대(太平聖代)였다고 해서, 사마천(司馬遷)은 사기(史記)에서 다음과 같이 기록하고는 절찬(絶讚)했다. <천하는 평안무사하고, 형벌을 이용하는 일도 드물며, 더불어서 죄인도 적은데다, 백성들은 농사에만 힘쓰니, 의식(衣食)은 더욱 더 풍부해졌다> 그래서 또 사마천(司馬遷)은 사기(史記)에서 과거 한 때를 풍미했던 지배자들을 열거하면서, 시황제(始皇帝)와 항우(項羽) 그리고 유방(劉邦) 등과 함께, 여태후본기(呂太后本紀)도 같이 취급했으며, 그것은 한서(漢書)에서도 마찬가지였다. 덧붙여서, 신말(新나라의 末) 후한(後漢) 초의 동란(動亂) 때, 적미(赤眉)의 군사(赤眉의 亂)들이 전한(前漢) 제제(諸帝)들의 능묘(陵墓)를 도굴했는데, 그런데 그때 여치(呂雉)의 유체가 그들의 손에 모욕당했다고 한다. 그리고 또 후에 광무제(光武帝)는 여치(呂雉)의 지위와 고황후(高皇后)의 휘호(諱號)를 박탈하고는, 대신 문제(文帝)의 생모였던 박 씨(薄氏)를 유방(劉邦)의 정실로 하고, 또 시호도 고황후(高皇后)라고 칭했다. 그리고 또한 곽말약(郭沫若) 등은 여치(呂雉)가 여불위(呂不韋)의 일족일 가능성이 있다는 견해를 보이기도 했지만, 그러나 역시, 사기(史記)나 한서(漢書)에서는 그에 관한 기술(記述)이 전혀 없기 때문에, 그래서 그것은 현재 불명(不明)인 상태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紫禁城을 지키는 수호신 獅子>

中 國

<第 二 部 歷史>

3. 中国의 歷史的인 事件 年表


 BC187년 / 呂后의 臨朝(~180)


 그 후, 유방(劉邦)이 논공행상(論功行賞)을 했을 때, 전장(戰場)의 공(功)이 많았던 조참(曹參)이 제일(第一)이란 목소리가 많았지만, 그러나 유방(劉邦)은 소하(蕭何)를 제일(第一)로 꼽았는데, 그것은 또 유방(劉邦)이 항우(項羽)에게 계속해서 고전(苦戰)하고 있었을 때, 그 뒤에서 모든 병참(兵站)을 책임졌던 소하(蕭何)가 없었다면 현재(現在)의 자신도 없었을 것이란 생각 때문이었다. 그리고 또 이어서 한신(韓信)을 초왕(楚王)에 봉하고, 팽월(彭越)을 양왕(梁王)에 봉했으며, 장량(張良)에게는 3만호의 영지를 주려고 했지만, 그러나 장량(張良)은 그것을 고사(固辭)했다.

 그 후, 또 유방(劉邦)은 소위 <옹치(雍齒)의 건(件)>을 해결하고는, 가신(家臣)들과 주연(酒宴)을 벌이고 있었을 때, 그곳에 앉았던 가신들에게 이렇게 물었다. <내가 천하를 취하고, 項羽는 천하를 잃은 이유가 무엇인지 말해보시오!> 그러자 고기(高起)와 왕릉(王陵)이 이렇게 대답했다. <項羽는 오만하고 사람을 경시합니다. 하지만 폐하께서는 仁慈로써 사람을 대했습니다. 하지만 또 폐하는 功績이 있는 자에게는 아낌없이 영지를 내려주는 것으로 천하의 사람들과 이익을 나눕니다. 그러나 項羽는 賢者를 시기했고, 공적이 있어도 恩賞에는 인색했습니다. 그것이 바로 項羽가 천하를 잃게 된 이유입니다!> 그러자 또 유방(劉邦)이 이렇게 말을 했다. <하지만 公들은 하나만 알고 둘은 모르오! 나로 말할 것 같으면 策略에서는 張良을 따를 수가 없고, 兵站에 관해서는 蕭何를 따르지 못하며, 전쟁에서는 韓信을 따를 수가 없소! 하지만 나는 그 세 사람을 잘 활용했소! 하지만 項羽는 范增 한사람도 제대로 다루지를 못했소. 그것이 바로 내가 천하를 취할 수 있었던 이유요!> 그러자 그곳에 앉았던 사람들은 모두 유방(劉邦)의 말에 감복했다고 한다.

 아무튼, 그 해 7월에 연왕(燕王) 장도(臧筡)가 반란을 일으켜서 유방(劉邦)은 친정(親征)해서 그것을 제압했다. 그리고는 그 자리에 어렸을 때부터 소꿉친구로 자랐던 노관(蘆管)을 앉혔다. 그런데 그 일이 계기가 되어서 그때부터 유방(劉邦)은 자신의 부하들과 제후들을 의심하기 시작했다. 그리고 또 특히, 당시 한신(韓信)과 팽월(彭越) 그리고 영포(英布) 그 세 사람은 영지(領地)도 아주 넓었고, 또 백전연마(百戰鍊磨)의 무장들이었으므로, 그래서 자신에게는 가장 위협적인 존재로 느껴졌다.

 그런데 마침 또 그때 <한신(韓信)이 반란을 기도하고 있다!>라는 정보가 자신의 귀에 들어왔다. 그러자 군신(群臣)들은 한신(韓信)에 대한 질투도 있었고 해서였던지 그를 토벌할 것을 진언했다. 그러자 또 유방(劉邦)은 잠시 고민에 빠지기도 했는데, 그런데 또 그때 진평(陳平)이 나서서 이렇게 말을 했다. <군사(軍事)적 천재인 한신(韓信)과 맞붙는다는 것은 아주 위험한 일입니다. 그러므로 꼭 그를 잡으려고 하신다면, 그를 유인해서 포획하는 것이 옳을 것입니다!> 그러자 유방(劉邦)은 그 안을 받아들였고, 이어서 자신이 순행(巡行)을 나갈 것이므로, 한신(韓信)에게도 올 것을 명했다. 그러자 한신(韓信)은 걱정 반(半)하며 종리매(鐘離眛)의 머리를 가지고서 유방(劉邦)에게로 갔고, 그러자 유방(劉邦)은 그를 포획하고는 초왕(楚王)의 지위를 박탈하고, 회음후(淮陰侯)로 강등시켰다.

 ------------------------------------------------------------------------------------------------
 ※ 한신(韓信) 3

 중국 진말(秦末)부터 전한(前漢)초기의 무장이었고, 유방(劉邦)의 휘하에서 수많은 싸움에서 승리했으며, 결국에는 유방(劉邦)의 패권(覇權)을 결정짓게 했던 인물이었다. 그리고 장량(張良)·소하(蕭何)와 함께 유방(劉邦)의 삼걸(三傑) 중 1명이었으며, 세계의 군사사상(軍事史上)으로도 명장(名將)중의 명장으로 알려져 있다.

 아무튼, 그리하여 제왕(齊王)이 되었던 한신(韓信)에게 항우(項羽)도 우려를 느끼기 시작해서 무섭(武涉)이란 者를 사자(使者)로 보냈다. 그러자 무섭(武涉)은 한신(韓信)에게 초(楚)로 넘어올 것을 권유하면서 이렇게 말을 했다. <유방(劉邦)은 항우(項羽)가 홍문(鴻門)에서 일부러 살려서 보내주었는데도, 오히려 항우(項羽)를 공격한 의리 없는 사람입니다. 그러므로 유방(劉邦)은 장군 같은 분이 따를만한 사람이 되지 못합니다!> 그러자 한신(韓信)은 옛날 자신이 항우(項羽)에게 푸대접을 받고 있다가 유방(劉邦)의 도움으로 제왕(齊王)에까지 오른 것을 생각하고는 그것을 즉석에서 거절했다. 그 후, 한신(韓信)은 또 괴통(蒯通)에게 다음과 같은 진언을 받았다. <천하의 요충지인 제(齊)의 왕이 된 지금, 한(漢), 초(楚)와 천하를 3분(分)하시고, 나중에 양자(兩者=漢, 楚)가 서로 싸우다 지쳤을 때, 홀로 분연(奮然)히 일어서신다면, 이 천하는 곧 왕의 것이 될 것입니다!> 그러자 한신(韓信)은 많은 고민을 했지만, 그러나 결국에는 그것을 포기했다. 그러자 그에 따른 후환(後患)이 두려웠던 괴통(蒯通)은 스스로 광인(狂人) 행세를 하다가 그곳에서 도망쳤다. 그 후, 초한(楚漢)의 싸움은 광무산(廣武山)에서 지구전으로 이어졌고, 그리하여 완전히 지쳐버렸던 양군은, 일단 화의하고 각자의 고향에 돌아가기로 합의했다. 하지만 또 이미 전술(前述)한대로 유방(劉邦)은 곧 그 약속을 깼고, 이어서 한신(韓信)도 그 전쟁에 참가했으며, 항우(項羽)도 최후를 맞았다. 그리하여 기원전 202년, 항우(項羽)가 죽자 유방(劉邦)은 한신(韓信)을 제왕(齊王)에서 초왕(楚王)으로 봉했다. 그러자 그 초(楚)는 한신(韓信)의 고향이었으므로, 그래서 그에게서는 대단한 명예(名譽)였으며, 또한 영전(榮轉)이 되었지만, 그러나 전체 성(城)의 수(數)에서는 오히려 70여 성에서 50여 성으로 줄어들었다. 그 후, 한신(韓信)은 고향 회음(淮陰)으로 돌아가서 개선(凱旋)했다. 그리고는 이어서 과거 자신에게 먹을 것을 베풀어주었던 그 노녀(老女)를 찾아가서 후하게 은혜를 갚았다. 그리고는 또 과거 자신에게 '고부(股夫)'란 오명(汚名)을 안겨주었던 그 남자를 찾아내서 이렇게 말을 했다. <그때 내가 너를 죽일 수도 있었지만, 그러나 나는 그것이 쓸데없는 짓이란 것을 알고는 그만두었다. 그리고 또한 내가 그때 그 모욕을 참고 너의 가랑이 사이를 기었기 때문에, 나는 지금의 지위에까지 오를 수가 있었던 것이다!> 그리고는 그를 중위(中尉=치안유지의 직책)에 임명했다. 그리고 또 한때 자신이 식객(食客)으로 있었던 그 정장(亭長)에게는 <사람을 도와주기로 한번 마음을 먹었다면 제대로 끝까지 책임을 질 줄 알아야 한다!>라고 훈계를 하고는 백전(百錢)을 주었다고 한다. 그리고 또 그 후였던 기원전 201년, 과거 잘 알고 지냈던 초(楚)의 장군 종리매(鐘離眛)를 숨겨주었다는 이유로 한신(韓信)은 유방(劉邦)에게서 미움을 받게 되었다. 그런데다 또 마침 그때 한신(韓信)의 이례적인 대 출세에 질투를 느꼈던 어떤 者가 <한신(韓信)에게 모반의 혐의가 있다!>라고 중상모략을 했다. 그러자 한신(韓信)은 그것에 대한 변명을 할 목적으로 종리매(鐘離眛)에게 자살을 재촉했다. (이하, 인물소개 鐘離眛 참조) 그렇게 해서 종리매(鐘離眛)도 죽었고, 그러자 또 한신(韓信)은 그의 머리를 가지고 유방(劉邦)에게 변명할 목적으로 찾아갔지만, 그러나 오히려 그곳에서 유방(劉邦)에게 바로 포획되었다. 그러자 또 한신(韓信)은 그 자리에서 과거 범여(范蠡)가 했던 말을 인용하면서 이렇게 말을 했다. <교토(狡兎-교활하거나, 재빠른 토끼)가 죽으면 양구(良狗-좋은 사냥개)는 삶겨지고, 하늘 높이 날던 새(鳥)가 떨어지면 좋은 활(弓)은 창고(倉庫)신세요, 적국(敵國)이 망하면 모신(謀臣-책략을 쓰는 신하)도 망(亡)하는 법(法)! 이미 천하(天下)가 정해졌으니, 나 또한 삶기고(煮) 말 것인가?!>

  ☆ 범여(范蠡-生沒不明)는, 중국 춘추시대(春秋時代) 월(越)의 정치가였고, 군인이었으며, 재상이었던 사람이었다. 그리고 그의 씨(氏)는 범(范), 휘(諱)는 여(蠡), 자(字)는 소백(少伯)이었다. 그리고 또 그는 회계(會稽)에서 패했던 구천(句踐)을 도왔으며, 오왕(吳王) 부차(夫差)를 멸망시킨 후에 산둥(山東)의 도(陶)로 가서 도주공(陶朱公)이라고 자칭하면서 큰 부(富)를 쌓았다. 그리고 越王 구천(勾踐)을 春秋五覇에 올려놓았던 최고의 공헌자로 알려져 있다.(더욱 상세한 것은 참고 6-31 참조)

 아무튼,
그러자 유방(劉邦)은 모반(謀反)의 혐의에 대해서는 일단 보류했고, 대신 그를 병권을 가지지 않는 회음후(淮陰侯)로 격하시켰다. 그 후, 한신(韓信)은 病을 칭하며 장안(長安)의 저택에서 우울한 나날을 보냈다. 그런데 그러던 중 어느 때, 그는 무양후(舞陽侯) 번쾌(樊噲)의 집에 들렀던 적이 있었는데, 그러자 번쾌(樊噲)는 평소 존경하고 있었던 한신(韓信)을 예(禮)를 다해서 맞이하고는 그에게 <大王>이라고 칭했고, 또 스스로는 <臣>이라고 말을 했다. 그러자 한신(韓信)은 <살아가다 보니 이제는 같은 처지(同格)가 되었소!>라고 말을 하고는 자조(自嘲-스스로를 비웃음)했다고 한다. 그런데 그 후에도 유방(劉邦)은 자주 한신(韓信)과 제장(諸將)들을 품평(品評=比較)했다. 그리고 또 어떤 때에 유방(劉邦)이 한신(韓信)에게 이렇게 물었다. <그대가 생각하기에 나는 어느 정도 수준의 將이라고 생각하는가?> 그러자 한신(韓信)이 이렇게 답을 했다. <폐하께서는 겨우 10만 兵을 이끌 수 있을 將帥십니다!> 그러자 또 유방(劉邦)이 <그렇다면 그대는 어떠한가?>하고 물었다. 그러자 또 한신(韓信)이 대답했다. <저는 많을수록 좋습니다=多多益善> 그러자 또 유방(劉邦)이 웃으면서 이렇게 말을 했다. <그렇다면 그대는 어째서 지금 나의 포로가 되어 있는가?> 그러자 또 한신(韓信)이 답을 했다. <폐하께서는 군사를 인솔하는 데는 부족하지만, 그러나 將에 대해서는 將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將의 將이란 의미). 그리고 그것은 하늘로부터 附與받은 것이며, 결코 사람의 人力으로 되는 일은 아닌 것입니다> 그 후에 또 세월은 흘러서 진희(陳豨)가 거록태수(鉅鹿太守)에 임명되었다. 그러자 평소 한신(韓信)을 존경하고 있었던 거록(鉅鹿)은 그 임지(任地)로 떠나기 전에 장안(長安)에 있던 한신(韓信)에게 인사를 갔다. 그러자 한신(韓信)은 그 진희(陳豨)에게 <자신에게 천하의 야심이 있음>을 시사(示唆)했다. 그러자 또 진희(陳豨)가 깜짝 놀라면서 물으니 한신(韓信)이 다음과 같은 계책을 알려주었다.

 
1. 현재 유방(劉邦)은 진희(陳豨)를 독실(篤實)하게 신뢰하고 있으므로, 만약 그런 진희(陳豨)가 모반(謀反)을 하게 된다면, 분명히 유방(劉邦)은 격노해서 친정(親征)을 하게 될 것이고, 만약에 또 그렇게 된다면, 그때 장안(長安)은 비게 된다.

 2. 하지만 또 거록(鉅鹿)은 정병(精兵-우수하고 강한 군사)이 있는 요충(要衝)이기 때문에, 그래서 유방(劉邦)은 쉽게 공략할 수가 없을 것이다.

 3. 그러면 또 그 틈을 타서 한신(韓信) 자신이 장안(長安)을 장악한다.

 4. 그리고 또 현재, 전국에서는 반란이 빈발하고 있고, 유방(劉邦)에 대한 불만이 소용돌이치고 있기 때문에, 그래서 또 바로
이러한 때에 한신(韓信) 자신이 거병하게 된다면, 제국(諸國)도 흔쾌히 자신을 따르게 될 것이다...

 라는 것 등이 그것이었는데, 그런데 실제로 기원전 196년의 봄, 진희(陳豨)가 거록(鉅鹿)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자 또 신뢰하던 진희(陳豨)의 반역에 격노했던 유방(劉邦)은 한신(韓信)의 계책대로 그 진압을 위해서 무모한 친정(親征)에 나섰고, 그러자 또 한신(韓信)의 예상대로 장안(長安)은 곧 무주공산(無主空山)이나 진배 없게 되었다. 그러자 한신(韓信)은 그 기회를 잡아서 장안(長安)에서 반란을 일으키고, 그리고는 죄수들을 해방시켜서 그들을 부하로 삼고는 당시, 거의 무방비상태나 다름없이 있었던 여후(呂后)와 황태자(皇太子) 영(盈)을 감금하고는 정권을 빼앗으려고 꾀했다. 하지만 일이 잘 되지 않으려면 엉뚱한 곳에서 문제가 생기는 법! 바로 그때, 평소 한신(韓信)에게 원한을 품고 있었던 하인(下人) 한명이 그런 사실을 여후(呂后)에게 밀고했고, 그래서 그 때문에 그 계획은 사전에 발각되었다. 그러자 여후(呂后)는 상국(相國) 소하(蕭何)를 불러서 그 일에 관해서 의견을 물었다. 그러자 소하(蕭何)는 여후(呂后)에게 한신(韓信)과 정면 대결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을 하고는 한 가지 책(策)을 강구했다. 그 후, 소하(蕭何)는 우선 <진희(陳豨)가 토벌되었다!>라고 세상에 헛소문을 흘렸다. 그런 다음에는 한신(韓信)에게 사람을 보내서 다음과 같이 전하라고 했다. <지금 병중(病中)인 것은 알고 있지만, 그러나 현재 자신(韓信)에게 걸려있는 혐의(謀反)도 풀고, 또 친정(親征) 성공도 축하하는 의미에서라도 잠시 궁(宮)에 다녀가시길 바랍니다...> 그러자 한신(韓信)은 별 의심도 없이 그 말에 따랐고, 그러자 또 그때만 기다리고 있던 소하(蕭何) 등에게 한신(韓信)은 체포되었다. 그리고 또 그것은, 매사에 그렇게도 용의주도했던 한신(韓信)이었지만, 그러나 상대가 자신을 대장군에까지 추대해주었던 소하(蕭何)였기 때문에, 그래서 별 의심 없이 나섰다가 그렇게 허무하게 잡히고 말았던 것이었다. 그 후, 한신(韓信)은 유방(劉邦)의 귀환을 기다릴 여가도 없이 장안(長安)의 성중(城中) 미앙궁(未央宮) 내에서 처형되었고, 이어서 그의 삼족(三族)도 멸해졌다. 그리고 한신(韓信)은 그 처형 직전에 <내가 괴통(蒯通)의 말을 듣지 않았던 것이 참으로 유감이다>라는 말을 남겼다고 한다. 그리고 또 한신(韓信) 사후(死後), 진희(陳豨)를 토벌하고 돌아왔던 유방(劉邦)은, 처음에는 한신(韓信)의 죽음을 슬퍼했지만, 그러나 곧 한신(韓信)이 최후에 했다는 말을 듣고는 격노해서 그 괴통(蒯通)을 잡아서 죽이려고 했다. 하지만 또 그 괴통(蒯通)은 유방(劉邦)에게 붙잡힌 후, 유방(劉邦)에게 무슨 말을 어떻게 했는지는 알 수 없으나, 어쨌든 당당하게 항변했기 때문에 생명은 건질 수가 있었다고 한다.

 


 


<한신>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紫禁城을 지키는 수호신 獅子>

中 國

<第 二 部 歷史>

3. 中国의 歷史的인 事件 年表


  BC202년 / 유방(劉邦=高祖)이 즉위하여 漢王朝 成立



<유방>

-----------------------------------------------------------------------------------------------

 <유방(劉邦)>

 전한(前漢)의 초대황제(初代皇帝). 패현(沛縣)의 정장(亭長)이었으나 반진(反秦)연합에 참가한 후 진(秦)'의 수도 함양(咸陽)을 함락시켰고, 그로서 한때는 관중(關中)을 지배하에 넣었다. 그러나 그 후 항우(項羽)에 의해서 서방(西方)의 한중(漢中)에 좌천(左遷)되어 한왕(漢王)이 되었다. 하지만 또 그 후에 동진(東進)했고 해하(垓下)에서 항우(項羽)를 토벌하고 전한(前漢)을 일으켰다. 정확한 <묘호(廟號)·시호(諡號)>는「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이지만, 그러나 통상은 고조(高祖)라고 불린다.

 <생애(生涯)>

 6. 한초전쟁(漢楚戰爭)

 6-4 천하통일(天下統一)

 -----------------------------------------------------------------------------------------------

  ※ 항우(項羽) 4

 <垓下의 싸움>

 2. 사면초가(四面楚歌)

 
아무튼, 그 눈물의 연회(宴會)가 끝나자 항우(項羽)는 밤을 이용해서 약 8백 명 정도의 군사들을 데리고 탈출을 감행했다. 그리고는 곧 한군(漢軍)의 포위망을 뚫고 바람처럼 남쪽으로
내달았다. 그러자 다음날 새벽, 한군(漢軍)은 그때서야 항우(項羽)가 탈출했다는 것을 알아차리고는 급히 관영(灌嬰)에게 5천기(騎)의 군사를 주어서 항우(項羽)의 뒤를 쫓게 했다. 그런 한편, 항우(項羽)의 8백여 군사들은 도주하던 중 여러 가지의 이유로 점점 더 줄어들고 있었고, 그래서 나중에 항우(項羽)가 겨우 동성(東城=現 安微省 定遠縣의 東南)에 다다랐을 때는 불과 28명밖에 남아있지 않았다. 그러자 항우(項羽)는 뒤따라 오던 한군(漢軍)을 의식하면서 남아 있던 부하들에게 이렇게 말을 했다. <우리가 지금 이런 처지에 놓인 것은 다만 하늘의 뜻일 뿐, 결코 우리가 약(弱)해서가 아니다! 그러므로 우리는 지금부터 사력을 다해서 한군(漢軍)을 쳐부수고, 그것으로 우리들이 용맹했다는 사실을 세상 사람들에게 알리자!> 그리고는 남아 있던 병사들을 7기(騎)씩 나누어서 각각 한군(漢軍)을 상대하게 했다. 그러자 항우(項羽)의 부하들은 사력을 다해서 한군(漢軍)과 싸웠다. 그리고 또 그때 항우(項羽)도 한(漢)의 도위(都尉)를 베었던 것과 함께, 한군(漢軍) 약 8, 90명을 죽였지만, 그러나 다시 대오(隊伍)를 정비했을 때 남아 있던 항우(項羽)의 부하들은 단 두 사람 뿐이었다. 그러자 항우(項羽)는 다시 동쪽으로 달아나서 오강(烏江=中國의 貴州省을 흐르는 강으로, 現 安徽省 和縣에 있음)이라는 장강(長江)의 나루터(烏江鎭)에 이르렀다. 그리고 그곳만 건너게 되면 바로 자신들이 처음 궐기했던 그 강동(江東) 땅이었다. 그런데 그때, 오강(烏江)의 정장<亭長==宿場=驛站=館으로, 과거 관원들이 공무로 다닐 때 숙식을 제공하고 빈객(賓客)을 접대하기 위하여 각 주(州)와 현(縣)에 마련해두었던 객사(客舍)를 의미함>이 항우(項羽)에게 이렇게 말을 했다. <大王에게 江東은 작은 곳입니다만, 그러나 그곳의 토지는 數 千里요, 인구도 數 十萬에 이릅니다. 그러니 그곳으로 가셔서 왕이 되소서. 그리고 이 근처에서 배를 가진 사람은 저밖에 없으므로, 漢軍이 들이닥친다고 해도 이 강을 건널 수는 없을 것입니다!> 하지만 항우(項羽)는 그것을 거절하고 또 이렇게 말을 했다. <옛날, 내가 저 江東의 젊은이들 8천명을 인솔하고 이 강을 건넜지만, 그러나 지금은 단 한 명도 돌아갈 수가 없다. 그러므로 만약 그곳의 사람들이 나를 왕으로 맞아준다고 하더라도 내가 무슨 면목이 있어 그들을 만날 것인가?!> 그리고는 그 정장(亭長)에게 자신의 애마(愛馬) 추(騅)를 넘겨주고 그대로 한군(漢軍)으로 돌격해서 들어갔다. 그 후, 항우(項羽)는 혼자서 한군(漢軍) 수백(數百)을 죽였지만, 그러나 끝내 자신도 여러 군데에 큰 상처를 입었다. 그러자 항우(項羽)는 그 한군(漢軍)에 과거 자신과 잘 알고 지냈던 여마동(呂馬童)이란 자가 있다는 것을 알고는 그에게 이렇게 말을 했다. <漢은 나의 목에 千金과 一萬 邑의 領地를 내건 것으로 알고 있다. 그러므로 이왕 죽을 것이라면 과거 나와 잘 알고 지냈던 너에게 그 德을 베풀어주고 싶구나!> 그리고는 스스로 목을 쳐서 죽었다. 그러자 그의 목에 걸렸던 은상(恩賞) 때문에 그 주위에 있던 한군(漢軍)의 병사들은 한꺼번에 몰려들어서 서로 죽일 지경까지 되었다. 그래서 결국 항우(項羽)의 유체(遺體)는 다섯으로 나누어졌고, 그 결과로 여마동(呂馬童)을 포함했던 5명<양희(楊喜)・왕예(王翳)・여마동(呂馬童)・여승(呂勝)・양무(楊武)>에게 각각 영지를 5등분해서 내린 후에, 유방(劉邦)은 그의 유체를 모아서 극진하게 매장했다.<노공(魯公)의 예(禮)로써 곡성(穀城)에 매장함> 그리고 항우(項羽) 사후(死後), 항백(項伯=射陽侯)을 시작으로 했던 항 씨(項氏) 일족들은 유방(劉邦)에 의해서 전부 열후(列侯)에 봉해졌다. 그리고 또 그로써 약 5년 동안이나 계속되었던 초한전쟁(楚漢戰爭)도 모두 종결되었고, 드디어 유방(劉邦)은 천하를 통일했음과 동시에, 전후(前後) 약 400년이나 계속되는 한 왕조(漢王朝)의 문을 열게 되었던 것이다.

 -----------------------------------------------------------------------------------------------

 ※
우미인(虞美人-?부터 기원전 202년)은, 진말(秦末)부터 초한전쟁(楚漢戰爭)기의 여성(女性)으로, 항우(項羽)의 애인이라고 알려졌던 여성이었다. 하지만 그녀의 정확한 이름은 알 수 없으며, 우(虞)는 그녀의 성(姓)이라고 한다.(漢書) 그리고 사기(史記)에서도 그녀의 이름을 우(虞)라고 했으며, 미인(美人)이란 것도 후궁(後宮)의 의미이거나, 그 자태의 아름다움을 표현한 것이라고도 한다. 하지만 또 소설(小說) 등에서는 그녀가 곧잘 항우(項羽)의 처(妻)로 표현되고 있으며, 또한 이름도 우희(虞姬)로 소개하는 것도 많다. 그러나 그녀가 항우(項羽)와 어떻게 해서 만나게 되었는지, 또는 그 이야기의 처음에 대해서는 일절 알려진 바가 없으며, 그래서 또 그녀는 해하(垓下)의 싸움에서 갑자기 나타나서 <유방(劉邦)에게 져서 낙담해 있던 항우(項羽)의 옆에는 언제나 우미인(虞美人)이 있었고,
항우(項羽)는 한 시(時)라도 그녀를 손에서 놓는 법이 없었다...>라고 소개되고 있을 뿐이다. 그리고는 또 이어서 항우(項羽)의 <역발산(力拔山) 기개세(氣蓋世)>의 시(詩)가 소개되고 항우(項羽)는 해하(垓下)를 탈출하게 되는 것이다. 그래서 그 후의 일에 대해서는 사기(史記)나 한서(漢書) 등에서 일절 기술한 것이 없지만, 하지만 또 창작으로, 소설 등에서는 그녀가 항우(項羽)의 탈출에 방해가 되지 않으려고 스스로 자살한다는 것으로 묘사되기도 한다. 그리고 또, 그 자살설(自殺說)에 대해서도, 그것은 여성(女性)의 정절(貞節)이 강조되었던 북송(北宋)시대부터 회자되었던 것이라고 한다. 그리고 또 덧붙여서, 그 우미인(虞美人)의 전설(傳說)은 개양귀비 꽃<추앵속(雛罌粟)>의 이명(異名)으로 붙여져서, 후세의 사람들은 그 꽃을 <虞美人草>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雛罌粟> 


 ----------------------------------------------------------------------------------------------

 그 후 '유방(劉邦)'은 그때까지도 저항을 계속하고 있던 '노(魯)'을 제압했고, 이어서 '항우(項羽)'의 잔당(殘黨)들을 달래고자 '항우(項羽)'의 장례를 후(厚)하게 치러주었다. 그리고는 드디어 기원전 202년 '유방(劉邦)'은 군신(群臣)들의 추대를 받아서 마침내 황제(皇帝)에 등극(登極)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紫禁城을 지키는 수호신 獅子>

中 國

<第 二 部 歷史>

3. 中国의 歷史的인 事件 年表


  BC202년 / 유방(劉邦=高祖)이 즉위하여 漢王朝 成立



<유방>

-----------------------------------------------------------------------------------------------

 <유방(劉邦)>

 전한(前漢)의 초대황제(初代皇帝). 패현(沛縣)의 정장(亭長)이었으나 반진(反秦)연합에 참가한 후 진(秦)'의 수도 함양(咸陽)을 함락시켰고, 그로서 한때는 관중(關中)을 지배하에 넣었다. 그러나 그 후 항우(項羽)에 의해서 서방(西方)의 한중(漢中)에 좌천(左遷)되어 한왕(漢王)이 되었다. 하지만 또 그 후에 동진(東進)했고 해하(垓下)에서 항우(項羽)를 토벌하고 전한(前漢)을 일으켰다. 정확한 <묘호(廟號)·시호(諡號)>는「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이지만, 그러나 통상은 고조(高祖)라고 불린다.

 <생애(生涯)>

 6. 한초전쟁(漢楚戰爭)

 6-3 다시 지다(再敗)

 그런데 그 무렵, 한신(韓信)이 제(齊)를 완전히 제압하고는 그 진무(鎭撫-민심을 수습함)를 위해서 자신이 그곳의 가왕(假王=臨時王)이 되겠다고 유방(劉邦)에게 사자(使者)를 보내왔다. 그러자 유방(劉邦)은 격노하고는 한신(韓信)을 쳐 없애려고 했다. 그러자 또 그때, 장량(張良)과 진평(陳平)이 나서서 유방(劉邦)을 달래며 이렇게 말을 했다. <만약에 그랬다가 정말로 한신(韓信)이 배신해 버린다면, 그때는 돌이킬 수가 없게 됩니다> 그러자 유방(劉邦)은 어쩔 수 없이 한신(韓信)을 제왕(齊王)에 봉했다.

 ----------------------------------------------------------------------------------------------

 한신(韓信) 2

 중국 진말(秦末)부터 전한(前漢)초기의 무장. 유방(劉邦)의 휘하에서 수많은 싸움에서 승리했으며, 결국 유방(劉邦)의 패권(覇權)을 결정짓게 했던 인물이었다. 장량(張良)·소하(蕭何)와 함께 유방(劉邦)의 삼걸(三傑) 중 1명이며, 세계의 군사사상(軍事史上)으로도 명장(名將)으로 알려져 있다.




 그 후, 한신(韓信)은 유방(劉邦)으로부터 좌승상(左丞相)의 지위를 얻어서 당시, 원래는 한 측(漢側)이었으나 그러나 그때는 이미 한(漢)을 배신하고 초(楚)에 붙었던 위(魏)의 위표(魏豹)를 토벌하라는 명을 받아서 별동군(別働軍)을 이끌고 그 토벌에 나섰다. 그러자 위군(魏軍)은 도하(渡河)지점을 중점적으로 방어하고 있었는데, 그러자 또 한신(韓信)은 그 대안(對岸)에다 배들을 늘어놓고 적군을 유인하는 전술(戰術)을 펼침과 동시에 자신은 또 군사들을 이끌고서 강의 상류로 향했다. 그리고는 나무로 만든 통을 이용해서 병사들을 도하(渡河)시켰고, 이어서 위(魏)의 수도였던 안읍(安邑=現 山西省 夏縣 近郊)으로 공격해 들어갔다. 그러자 갑작스런 공격을 받은 위군(魏軍)들은 당황해서 우왕좌왕했고, 그 사이에 한신(韓信)은 위표(魏豹)를 포로로 잡았다. 그리하여 위(魏)는 멸했고, 위표(魏豹)는 목숨은 구걸 받았지만, 그러나 신분은 서민(庶民)으로 강등되었다. 그 후, 한신(韓信)은 다시 북쪽으로 진군을 해서 대(代=山西省 北部)를 점령했고, 거기서 다시 조(趙=河北省 南部)로 진군했다. 그리고는 그곳에서 곧바로 배수진(背水陣)을 쳤는데, 그러나 그것은 당시의 병법에서는 전혀 쓰이지 않았던 전술로, 자신에게 불리한 그런 전술을 일부러 쓰는 일은 결코 없었다고 했으므로, 그래서 또 그것은 가히, 그만의 아주 독창적인 전술이었다고 할 수 있었던 것이었다.


<하북 성>

 아무튼 그런 다음, 한신(韓信)은 20만이란 조(趙)의 대군(大軍)을 맞아서 협애(狹隘)한 지형과 목숨을 건 병사들의 사투(死鬪)에 힘입어서 방어했다. 그리고 또 그 틈을 타서 별동대(別動隊)로 하여금 성채(城砦)를 점령하게 했고, 그러자 또 낙성(落城)에 조군(趙軍)들이 동요하던 사이 본대(本隊)와 협공해서 진여(陳余)와 조왕(趙王) 조헐(趙歇)을 잡아서 죽였다.<정형(井陘=河北省 井陘縣)의 싸움> 그런 다음, 한신(韓信)은 조(趙)의 장군이었던 이좌차(李左車)의 진언을 받아들여서 연(燕=河北省部)의 장도(臧筡)에게 사자(使者)를 보내서 항복시켰다. 그리고 기원전 204년, 진무(鎭撫)를 위해서 장이(張耳)를 조왕(趙王)에 봉하도록 유방(劉邦)에게 상신(上申)해서 인정받았다. 그런데 또 그 사이, 유방(劉邦)이 항우(項羽)와의 싸움에서 불리해져서, 그에 한신(韓信)은 몇 번이나 군사를 지원했다. 그러자 마침내 유방(劉邦)은 초(楚)의 포위망을 뚫고 한신(韓信)이 주둔하고 있던 수무현(修武縣=現 河南省 西北)으로 도망쳐 왔다. 그리고는 한신(韓信)의 군 지휘권을 빼앗았으며, 이어서 한신(韓信)에게 제(齊)를 평정할 것을 명했다. 그런데 또 그때, 유방(劉邦)은 한신(韓信)을 제(齊)에 파견한 뒤 갑자기 마음이 변해서 유생(儒生)이었던 력식기(酈食其)에게 시켜서 제(齊)와 화의(和議)할 것을 명했다. 그러자 또 기원전 203년, 한신(韓信)은 제(齊)에 쳐들어가기 바로 직전에 이미 제(齊)가 항복했다는 말을 듣고 진군을 멈추려고 했다. 그런데 또 그때, 한신(韓信)의 부하였던 변사(辯士) 괴통(蒯通)이란 자가 한신(韓信)에게 이렇게 말을 했다. <아직 유방(劉邦)에게서 진군의 정지명령도 내려오지 않았으니, 우리는 이대로 제(齊)를 치면 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력식기(酈食其)는 세치 혀만으로 제(齊)를 항복시키려 하는데, 만약에 그렇게 된다면 장군의 공적은 없어지게 되고(그때, 韓信은 齊의 城 70여 곳 중 이미 50 곳 이상을 떨어뜨렸던 상태였다), 또한 장군은 일개 유생(儒生)보다도 못하다는 소리를 듣게 될 것입니다!> 그러자 한신(韓信)은 그의 진언을 받아들여서 제(齊)를 공격했고, 그러자 그 후, 무방비나 다름없었던 제(齊)의 성(城)들은 차례로 한신(韓信)의 손에 떨어졌다. 그러자 그에 화가 났던 제왕(齊王) 전광(田廣)은 력식기(酈食其)를 삶아서 죽이고는 도주했다. 그 후, 제(齊)는 초(楚)에 구원을 요청했고, 그러자 항우(項羽)는 용차(龍且)에게 20만의 군사를 주어서 파견했다. 그러자 또 용차(龍且)는 지구전(持久戰)을 펼치는 것이 좋겠다는 진언도 받았지만, 그러나 묵살하고는 과거 한신(韓信)이 고부(股夫故事)였다는 것만 생각하고 곧바로 한신(韓信)에게 도전했다.

 참고: 고부고사(股夫故事)는 필자(筆者)가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임의로 만든 말이며, 그 뜻은 韓信이 과거 다른 남자의 가랑이 아래를 기었던 것을 말하는 것으로, 그래서 龍且는 그때 韓信이 股夫, 즉 <가랑이 아래를 기었던 남자>라는 것만 생각하고는 한신(韓信)을 얕잡아봤다는 뜻임

 아무튼, 그러자 한신(韓信)도 용차(龍且)가 용맹하기 때문에 바로 결전에 돌입할 것이라고 생각하고는 일부러 제법 넓으면서도 그러나 수심은 얕은 곳을 선택해서 결전에 임했다. 그리고 또 이미 전술(前述)한대로, 그 결전 전야에 미리 유수(濰水) 상류에다 흙 부대를 쌓아서 둑을 만들었다. 그리고는 수심을 더욱 얕게 한 다음 결전에 나섰다. 그리고 당일, 한신(韓信)은 용차(龍且)와 싸우다가 힘이 달려서 도주하는 척하면서 용차(龍且) 군을 유인했다. 그러자 용차(龍且) 군은 그 기세를 몰아서 한신(韓信) 군을 추격했다. 그러자 또 한신(韓信)은 적당한 때에 둑을 무너뜨려서 용차(龍且)가 이끌던 20만의 대군을 대부분 수몰시켰다. 그리고 그 후, 용차(龍且)는 포로가 되어서 참형에 처해졌다. 그렇게 해서 제(齊)를 평정했던 한신(韓信)은 유방(劉邦)에게 진무(鎭撫)를 위해서 제(齊)의 가왕(假王)이 되겠다는 뜻을 전했다. 그러자 또 이미 기술한대로, 그 때문에 유방(劉邦)은 큰 충격을 받았지만, 그러나 장량(張良)과 진평(陳平)의 진언을 받아들였고, 이어서 다음과 같이 말을 하면서 그것을 허락했다. <가왕(假王)이 아니라, 진왕(眞王)이 되라고 하라!>
以下 省略 또는 後述함 

 ----------------------------------------------------------------------------------------------

 아무튼, 그렇게 해서 '한초(漢楚)' 양군(兩軍)은 오랫동안 대치상태를 계속했고, 그러자 또 인내심에 한계를 느꼈던 항우(項羽)는 당시 '팽성(彭城) 싸움'에서 포로로 잡아두었던 유태공(劉太公)을 이용해서 유방(劉邦)에게 항복할 것을 강요했지만, 그러나 전술(前述)한대로 오히려 유방(劉邦)은 너스레를 떨면서 항우(項羽)의 협박을 무시했다. 그러자 또 항우(項羽)는 유방(劉邦)에게 일대일(一對一) 대결을 원했지만, 그러나 그때도 유방(劉邦)은 웃기만 하고 응하지를 않았다. 그러자 또 항우(項羽)는 자신의 군사 중에서 노(弩=쇠뇌=쇠로 만든 발사장치가 달린 활. 여러 개의 화살을 연달아 쏘게 되어 있는 것으로, 주로 낙랑의 무덤에서 나오고 있다고 한다. 같은 말은 石弓 등)를 잘 쓰는 군사를 골라서 유방(劉邦)을 저격하게 했다. 그래서 그때 유방(劉邦)은 그 중 한 개를 가슴에 맞고 큰 부상을 당했는데, 그러자 또 유방(劉邦)은 그 사실을 자군(自軍)이 알게 되면 큰 동요가 일어날 것이라고 생각하고는 얼른 순간적으로 자신의 다리를 손으로 문지르면서 이렇게 말을 했다. <바보 같은 놈! 그래봤자 나의 손가락만 맞췄을 뿐이다!> 하지만 그 때문에 유방(劉邦)은 병상(病床)에 누워야만 했는데, 하지만 또 그때, 장량(張良)의 진언을 받고 유방(劉邦)은 무리(無理)하게 사열(査閱)을 해서 병사들의 동요를 막았다.(以上, 廣武山의 싸움) 그런 한편, 초군(楚軍)은 팽월(彭越)의 후방교란으로 인해서 식량이 거의 바닥나 있었다. 그리고 또 그때는 양군(兩軍)도 지칠 대로 지쳐있었던 상태였기 때문에, 그래서 항우(項羽)와 유방(劉邦)은 나라를 반으로 나누자는 강화(講和)에 합의했고, 그 결과로 유태공(劉太公)과 여치(呂雉)도 '유방(劉邦)'에게로 돌아갔다.

 6-4 천하통일(天下統一)

 그렇게 해서 항우(項羽)는 동쪽으로 물러났고, 그러자 또 유방(劉邦)도 서쪽으로 물러나려고 했지만, 그런데 또 그때 장량(張良)과 진평(陳平)이 나서서 유방(劉邦)에게 다음과 같은 말을 하면서 퇴각하고 있던 항우(項羽)를 공격하라고 진언했다. <만약, 여기서 양군(兩軍)이 물러나버린다면, 분명 초(楚)는 다시 힘을 키워서 조만간에 한(漢)을 치러올 것입니다. 그러면 그때는 한(漢)으로서는 초군(楚軍)을 도저히 상대해낼 수 없을 것입니다!> 그러자 유방(劉邦)은 그것을 받아들였고, 이어서 항우(項羽) 군의 배후를 공격했다. 그리고는 또 그와 동시에 이미 전술(前述)한대로 유방(劉邦)은 한신(韓信)과 팽월(彭越)에게 지원을 요청했지만, 그러나 그 두 사람 모두 그 요청에 불응했다. 그러자 어쩔 수 없이 유방(劉邦)은 장량(張良)의 진언을 받아들였고(前述), 그러자 또 한신(韓信)과 팽월(彭越)이 급히 달려와서 항우(項羽)를 궁지로 몰아넣었다. 그러자 또 해하(垓下)까지 몰리게 되었던 항우(項羽)는 필사적으로 저항했고, 그 때문에 한군(漢軍)은 막대한 희생을 치러야만 했다. 하지만 그 희생은 너무도 컸던 것이어서, 그에 장량(張良)과 한신(韓信)은 더 이상의 무리한 공격은 삼가고 그때부터는 그들을 포위하면서 병량(兵糧)을 집중적으로 공략했다. 그러자 더 이상 견뎌내지 못했던 초군(楚軍)은 드디어 붕괴되었다. 그러자 또 항우(項羽)는 그때까지 남아 있던 소수(小數)의 병사들만 데리고서 포위망을 돌파해보려 했지만, 하지만 한(漢)의 대군(大軍)을 이겨낼 수는 없었다. 그러자 그는 어쩔 수 없이 그곳에서 자결했다.(以上, 垓下의 싸움)

 -----------------------------------------------------------------------------------------------


 ※ 항우(項羽) 3

 그 후, 한신(韓信)의 공격을 받았던 제(齊)를 구원하기 위해서 용차(龍且)에게 20만이란 대군을 주어서 보냈지만, 그러나 그 용차(龍且)도 한신(韓信)의 수계(水計)에 넘어가서 무참하게 괴멸되었다. 그러자 또 그때부터는 한(漢)에서 제(齊)에 이르는 초(楚)의 포위망이 점점 더 완성되어갔고, 나중에는 유방(劉邦)과 한신(韓信)의 힘이 초(楚)를 웃돌게 되었다. 그러자 또 기원전 203년, 급기야 항우(項羽)는 유태공(劉太公)과 여치(呂雉)를 반환하는 것으로 유방(劉邦)과 일단 화의를 하고는 다시 고향으로 돌아가려고 했다. 하지만 그 화의는 금방 깨어졌고, 항우(項羽)는 유방(劉邦) 군에게 배후를 급습 당했다. 그러자 긴 전투로 지쳐있던 초군(楚軍)은 패주했다. 그러자 또 한군(漢軍)은 한신(韓信)의 병력 30만을 시작으로 해서, 제후 연합군들의 병력까지 합세해서 초군(楚軍)의 뒤를 쫓았고, 그러자 당시 10만 남짓했던 초군(楚軍)은 해하(垓下)까지 도주했다.(以下, 垓下의 싸움 참조)

 <垓下의 싸움>

 1.
경과(經過)

 기원전 203년, 광무산(廣武山)에서 장기간 대치 중이었던 초한 양군(楚漢兩軍)은 당시, 초군(楚軍)은 식량부족으로 그리고 한군(漢軍)은 유방(劉邦)의 부상과 유방(劉邦)의 부친 유태공(劉太公)과 아내 여치(呂雉)가 포로로 잡혀 있었다는 것 등으로 해서 서로가 휴전을 바라게 되었다. 그러자 유방(劉邦)은 변사(辯士) 후공(侯公)을 초군(楚軍)에 사자(使者)로 보내서 천하(天下)를 양분(兩分)하자는 맹약을 맺게 했다. 그러자 초군(楚軍)은 곧 본거지였던 팽성(彭城)에로의 귀환을 시작했지만, 그러나 그때 유방(劉邦)은 장량(張良)과 진평(陳平)의 진언을 받아들여서 맹약을 먼저 깨고 항우(項羽)의 뒤를 추격했다. 그리고는 고능(固陵=現 河南省 淮陽縣의 西北)이란 곳까지 가서 한신(韓信)과 팽월(彭越)에게 군사를 인솔해서 초군(楚軍) 토벌에 합류하라고 지시했고, 이어서 자신은 양무(陽武=現 河南省 太康縣)로 향했는데, 그러나 그 두 사람은 유방(劉邦)이 은상(恩賞)에 대한 이야기는 전혀 하지를 않았으므로 아예 나타나지를 않았다. 그런 한편, 유방(劉邦)의 배신을 알아차렸던 항우(項羽)는 한군(漢軍)에 반격을 가했고, 그 때문에 큰 피해를 입었던 한군(漢軍)은 성(城) 안으로 들어가서 참호(塹壕)를 깊게 파고는 방비에 들어갔다. 그러자 그때서야 유방(劉邦)은 장량(張良)의 진언을 받아들여서 한신(韓信)에게는 진(陣)에서부터 동쪽 바다에 이르는 전 영토를 하사하고, 그리고 팽월(彭越)에게는 수양(睢陽)에서 북(北)의 곡성(穀城)에 이르는 토지를 주며, 그에 더해서 양왕(梁王=魏王)에 봉하겠다는 약속을 했다. 그러자 그 두 사람은 지체 없이 달려와서 유방(劉邦) 군에 합류했고, 그리고는 또 그 뒤를 이어서 유가(劉賈)의 군대도 팽월(彭越) 군에 합류했으며, 그리고 또 초군(楚軍)을 배신했던 주은(周殷)까지도 합류를 해서 드디어 한군(漢軍)은 대군이 되었다. 그 후, 한신(韓信)은 유방(劉邦)을 호위하기 위한 병사 30만을 후방에 남겨두고 자신은 다시 30만의 병사들을 인솔해서 당시, 약 10만 정도였던 초군(楚軍)과 대치했다.(하지만 이 부분의 병사의 數에 대해서는 과장된 것이란 견해가 있다) 그리고 또 이어서 한신(韓信)은 전위(前衛)부대에게 공격을 명령했다.

 
전위(前衛)는 순수한 의미로 전방의 호위(護衛)를 뜻하는 말이며, 그러나 계급투쟁에서는 노동자 계급의 선두에 서서 지도하는 집단이나 부대를 의미함. 그리고 이 말은 <레닌>에 의해서 마르크스주의 정당의 조직 원천이 되었다고 함. 같은 말은 전위대.

 하지만 얼마가지 않아서 전위(前衛)부대는 후퇴했고, 그러자 초군(楚軍)은 그 전위(前衛)부대를 추격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것은 한신(韓信)의 계략이었고, 그렇게 해서 추격해왔던 초군(楚軍)은 곧 한군(漢軍)의 엄청났던 병력에 완전히 포위당하고 말았다.

 2. 사면초가(四面楚歌)

 그렇게 해서 패배했던 초군(楚軍)은 스스로 방루(防壘=要塞=小城)로 들어가서 문을 걸어 잠가버렸다. 그러자 또 한군(漢軍)은 그것을 겹겹이 포위했고, 이어서 빗장을 걸어두고 도무지 나오려고 하지 않던 초군(楚軍)을 와해(瓦解), 유인해내기 위해서 초(楚)의 음악을 밤마다 울렸다. 그러자 지칠 대로 지쳐있던 초군(楚軍)은 서서히 무너지기 시작했고, 그리고 또 그 노래를 들었던 항우(項羽)도 깜짝 놀라면서 이렇게 탄식했다고 한다. <아! 한군(漢軍)은 이미 초(楚)를 점령한 것인가? 밖의 적들에게 붙들린 초인(楚人)들이 어찌 저리도 많다는 말인가?> 그리고 위 고사(故事)로부터 주위를 적에게 둘러싸이는 것을 <사면초가(四面楚歌)>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아무튼, 그때서야 사태의 심각성을 깨달았던 항우(項羽)는 그날 밤 이별의 연석을 마련했다. 그리고 또 그때, 항우(項羽)에게는 우미인(虞美人)이란 애첩이 있었다고 하고, 또한 그가 아끼던 추(騅=烏騅馬)라는 애마(愛馬)가 있었다고 했는데, 그래서 또 항우(項羽)는 그 둘과의 이별을 애통해하면서 다음과 같은 비분(悲憤)의 시(詩)를 읊었다고 한다.(또는 垓下의 노래라고도 함)

 ☆ 오추마(烏騅馬)는 검은 털에 흰 털이 섞인 말이며, 항우(項羽)가 탔다는 준마.

 力拔山兮 氣蓋世
 時不利兮 騅不逝
 騅不逝兮 可奈何
 虞兮虞兮 奈若何

 역발산혜 기개세
 <힘은 산을 뽑을만하고, 기(氣)는 세상을 다 덮겠는데>

 시불리혜 추불서
 <때가 도와주지 않으니, 오추마도 더 이상 앞으로 나가려 하지 않는구나!>

 추불서혜 가내하
 <오추마도 움직이지 않으니, 이 일을 어찌한단 말인가!>

 우혜우혜 나약하
 <우미인(虞美人)아, 우미인아, 내 너를 어찌할꼬!>

 <筆者 譯>

 <그리고 3, 4연의 同字 '奈(내)'와 '奈(나)'는 本 筆者가 발음하기 쉽도록 임의로 구성한 것임 >

 아무튼, 그러자 또 우미인(虞美人)도 그 답으로 창화(唱和=한사람이 선창을 하면 여러 사람이 따라서 부르는 것)를 했는데, 그러자 항우(項羽)뿐만 아니라 그 옆에 있던 모든 신하들도 다 같이 울어서 그 연석은 눈물바다가 되었다고 한다.

 그리고 또 아래는 그때 우미인(虞美人)이 창화(唱和)를 했던 노래라고 생각되는 것인데, 원래 본문에는 없는 것이나, 그러나 다른 곳에서 찾아서 독자들에게 소개할 생각으로 올려드리는 것이니, 오해 없으시길 바랍니다. 그리고 또한, 정확한 원문은 찾지를 못했으므로, 대충 그 내용만 소개함도 아울러 밝힙니다.

 
그에, 한군(漢軍)이 이미 세상을 다 차지하였는가?
 사방에서 들려오는 것은 초(楚)의 노래뿐이로구나!
 아, 장군(項羽)의 기개(氣槪) 이제 다하였으니
 이 몸 또한 살아서 무엇하리요!




 <인물소개 項羽 4, 다음 편에 계속...>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紫禁城을 지키는 수호신 獅子>


中 國

<第 二 部 歷史>

3. 中国의 歷史的인 事件 年表


  BC202년 / 유방(劉邦=高祖)이 즉위하여 漢王朝 成立


<유방>

-----------------------------------------------------------------------------------------------

 <유방(劉邦)>

 전한(前漢)의 초대황제(初代皇帝). 패현(沛縣)의 정장(亭長)이었으나 반진(反秦)연합에 참가한 후 진(秦)'의 수도 함양(咸陽)을 함락시켰고, 그로서 한때는 관중(關中)을 지배하에 넣었다. 그러나 그 후 항우(項羽)에 의해서 서방(西方)의 한중(漢中)에 좌천(左遷)되어 한왕(漢王)이 되었다. 하지만 또 그 후에 동진(東進)했고 해하(垓下)에서 항우(項羽)를 토벌하고 전한(前漢)을 일으켰다. 정확한 <묘호(廟號)·시호(諡號)>는「태조고황제(太祖高皇帝)」이지만, 그러나 통상은 고조(高祖)라고 불린다.

 <생애(生涯)>

 6. 한초전쟁(漢楚戰爭)

 
6-2 대패(大敗)

 
※ 인물소개

 종리매(鐘離昧-?부터 기원전 201년)는, 진말(秦末)에서 전한(前漢)초기의 무장이었다. 그리고 매를 매(昧)나 말(昩) 등으로 쓴 곳도 있으나, 그러나 여기서는 중화서국본(中華書局本) 한서(漢書)에 따라서 매(眛)로 기술함. 그리고 또 사기(史記)에서는 항우(項羽)의 부장(部將)으로, 포 장군(蒲將軍)이란 인물의 사적(事蹟)이 산견(散見)되는데, 그래서 타케야스히코(佐竹靖彦)란 자는 <그 포 장군(蒲將軍)이 종리매(鐘離眛)와 동일인물이 아니었을까?...>라고 지적했던 바 있었으며, 그리고 또 그 이유로는 종리매(鐘離眛)는 종리(鐘離)라는 도시<수춘(壽春)에서 회수(淮水) 아래로 150킬로에 위치하며, 당시 회왕(懷王)의 초도(楚都)였던 우태(盱台)와 수춘(壽春)의 중간지점에 있었다> 출신이었을 것이라는 것. 그리고 또 그 리(鐘離)에서 북쪽으로 70킬로 정도에 포고피(蒲姑陂)라는 지명이 있는데, 그래서 그 지명을 따서 포 장군(蒲將軍)이 되었을 것이라는 것을 그 이유로 들었다. 하지만 덧붙여서, 그렇게 해석할 경우 <항왕(項王=項羽)의 망장(亡將) 종리매(鐘離眛)의 집은 이로(伊盧)에 있다>라고 했던 사기(史記)와 한서(漢書)와의 정합성(整合性)에 문제가 생기게 된다. <사기(史記) 권(卷)92 회음후(淮陰侯)열전과 한서(漢書)의 한신전(韓信傳)> 그리고 또, 그 이로(伊盧)의 위치가 어디였던가에 대해서는 견해가 분분하지만, 그러나 남조송(南朝宋) 배인(裵駰)의 사기집해(史記集解) 그리고 당(唐) 장수절(張守節)의 사기정의(史記正義) 등에 의하면, 한(漢)의 중로현<中盧縣=현재의 호북성(湖北省) 양번시(襄樊市) 부근>이라는 설(說)과 동진(東晋)의 서광(徐廣)에 의한 <동해(東海-)의 구현(朐縣)에 이로향(伊盧鄕)이란 지명이 있다>라고 하는 설(說), 그리고 또 안사고(顔師古)의 <중노(中盧)는 양양(襄陽)의 남쪽에 있다>라고 하는 설(說) 등이 있다. 하지만 그에 대해서도 사타케야스히코(佐竹靖彦)는 <종리매(鐘離眛)는 전혀 이로(伊盧) 출신이 아니었다>라고 했던 바 있었다.
아무튼, 그는 진말(秦末) 초(楚)의 항량(項梁)·항우(項羽)가 군사를 일으키자 그에 참가했다. 그리고 진(秦) 멸망 후 초한전쟁(楚漢戰爭)에서도 항우(項羽)의 부장(部將)으로 활약했다. 그러나 나중에 유방(劉邦)의 부하였던 진평(陳平)의 계략에 넘어가서 항우(項羽)에게 미움을 받았다. 항우(項羽) 사후(死後), 그는 옛 친구였던 한신(韓信)에게로 가서 신변을 의탁했다. 하지만 제위에 즉위했던 유방(劉邦)이 그것을 알고는 당시 초왕(楚王)이 되어 있었던 한신(韓信)에게 그를 넘겨줄 것을 명령했다. 왜냐하면, 유방(劉邦)은 그때, 과거 항우(項羽)와 함께 자신을 무던히도 괴롭혔던 그를 용서하지 못하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런데 또 그때 마침 한신(韓信)이 모반을 꾀한다고 중상모략했던 사람이 있었다. 그러자 유방(劉邦)은 진평(陳平)의 진언(進言)을 받아들여서 한신(韓信)을 치려고 했다. 그러자 한신(韓信)은 몹시 두려워했는데, 그러자 또 그때 누군가가 한신(韓信)에게 <종리매(鐘離眛)를 죽여서 용서를 받으라>고 충고했다. 그러자 한신(韓信)은 그를 죽이려고 했다. 그러자 그것을 알았던 종리매(鐘離眛)가 이렇게 말을 했다. <유방(劉邦)이 이곳을 공격하지 않고 있는 것은 내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나를 죽여서 유방(劉邦)에게 아첨 떨 생각이라면, 너도 조만간 나의 뒤를 따르게 될 것이다. 그러므로 너는 결코 덕(德)이 있는 사람이 아니다!> 그리고는 스스로 자문(自刎-자신의 목을 스스로 잘라서 죽음)했다.

 아무튼, 그렇게 해서 <이간계(離間計)>는 성공했지만, 그러나 한(漢)의 식량부족은 여전했다. 그러자 그때, 그 위기를 타개하고자 기신(紀信)이 나서서 유방(劉邦)에게 <금선탈각의 계(金蝉脱殻計)>를 진언(進言)했고, 그러자 또 유방(劉邦)은 그 계책을 받아들여서 간신히 서쪽으로 탈출했다. 그 후 형양(滎陽)은 어사대부(御史大夫)였던 주가(周苛)가 지키게 되었지만, 하지만 얼마 가지 않아서 항우(項羽)에 의해서 그곳은 떨어졌다.

 ※ 기신(紀信-?부터 기원전 204년)은, 한(漢)의 장군으로, 기원전 207년 홍문(鴻門)의 회(會)에서 유방(劉邦)이 항우(項羽)로부터 피신했을 때, 번쾌(樊噲)·하후영(夏候嬰)·근강(靳彊) 등과 함께 유방(劉邦)을 호위했다.<사기(史記)의 항우본기(項羽本紀)에 따름. 그러나 한서(漢書)의 고제기(高帝記)에서는 기신(紀信)을 기성(紀成)이라고 기록하고 있음> 그리고 기원전 204년 여름, 항우(項羽)가 인솔하던 10만의 군세가 형양성(滎陽城=河南省)에 주둔하던 한군(漢軍)을 포위했다. 그러자 식량이 바닥이 나서 곧 낙성(落城)할 운명에 처했는데, 그러자 그때 기신(紀信)이 유방(劉邦)에게 <금선탈각의 계(金蝉脱殻計)>를 진언했다.

 
★ 금선탈각의 계(金蝉脱殻計)는 병법(兵法) 36계(計) 중 제(第) 21계(計)로, 여기서의 금(金)은 유방(劉邦)을 말하는 것이고, 선탈(蟬脫)은 매미가 허물을 벗는다는 의미임, 그리고 탈각(脫殼) 역시 껍질을 벗는다는 뜻이므로, 그래서 그때 기신(紀信)은 자신이 유방(劉邦)으로 변장하여 항우(項羽)에게 거짓 항복하는 사이에 유방(劉邦)을 피신시키려고 했던 계책이었다.

 그러자 유방(劉邦)은 그 계책을 받아들여서 진평(陳平) 등 수십 명의 부하들만 데리고서 성고성(成皐城)을 탈출했다. 그러자 그때 미끼로 남았던 기신(紀信)은 항우(項羽)에 의해서 화형(火刑)에 처해졌다.

 
주가(周苛-?부터 기원전 204년)는, 전한(前漢)초기의 부장(部將)으로 패(沛)의 사람이었다. 그리고 그때, 종제(從弟)였던 주창(周昌)과 함께 진(秦) 사수군(泗水郡)의 졸사(卒史-정확한 직책은 알 수 없으나, 최하급관리로 생각됨)로 있었지만, 그러나 유방(劉邦)이 군사를 일으키자 사수군수(泗水郡守) 감(監)을 격파하고 두 사람 다 유방(劉邦)을 따랐다. 그리고 주가(周苛)는 유방(劉邦)이 한왕(漢王)이 되자 최초로 어사대부(御史大夫)가 되었다. 그리고 고조(高祖) 3년(기원전 204년) 여름, 유방(劉邦)이 형양(滎陽)에서 항우(項羽)에게 포위당하고, 이어서 기신(紀信)의 계책으로 탈출하자 주가(周苛)는 위표(魏豹), 종공(樅公), 한왕 신(韓王信) 등과 함께 형양(滎陽)을 수비했다. 그 후, 항우(項羽)가 기신(紀信)을 태워죽이고, 점점 더 압박을 가해오자 주가(周苛)는 종공(樅公)에게 <위왕표(魏王豹)가 언제 반란을 일으킬지 모른다>고 말하고는 함께 모의해서 위왕표(魏王豹)를 살해했는데, 그때가 가을 8월의 일이었다. 하지만 그 1개월 정도 후에, 형양(滎陽)은 함락되었고, 주가(周苛) 등은 포로로 잡혔다. 그러자 항우(項羽)는 그에게 <나의 장군이 되어준다면 상장군에 임명하고 봉읍(封邑) 3만 호를 내리겠다!>라고 했지만, 그러나 그는 오히려 <너야말로 빨리 한(漢)에 항복하지 않으면 한(漢)의 포로가 될 것이다. 너 따위들은 한왕(漢王)의 적수가 되지 못한다!>라고 말을 했다. 그러자 항우(項羽)는 그를 삶아서 죽였다. 그리고 또 그때, 종공(樅公)도 함께 처형되었지만, 그러나 한왕 신(韓王信)은 항복을 해서 목숨을 건졌다.<그러나 후에 다시 배반하고 유방(劉邦)에게로 귀순함> 그러자 유방(劉邦)은 그의 종제(從弟) 주창(周昌)을 그 후임으로 해서 어사대부(御史大夫)에 명했다. 그리고 또 천하통일 후에는 그의 공을 기려서 그의 아들 주성(周成)을 고경후(高景侯)에 봉했다.<사기(史記) 진초지제월표(秦楚之際月表)에 의함>

 어쨌든, 그렇게 해서 서쪽으로 피신했던 유방(劉邦)은 관중(關中)에 남아있던 소하(蕭何)에게로 돌아갔다. 그리고는 그곳에서 소하(蕭何)가 미리 준비해두었던 군사를 이끌고서 형양(滎陽)을 구원하러 가려고 했다. 그러자 또 원생(袁生-자료 없음)이란 자가 그를 말리면서 이렇게 말을 했다. <지금의 정면 대결은 승산이 없습니다. 그러니 남쪽의 무관(武關)으로 돌아가서 항우(項羽)를 유인하는 책(策)을 쓰십시오!> 그러자 유방(劉邦)은 원생(袁生)의 말대로 움직였다. 그러자 또 항우(項羽)도 유방(劉邦)이 있던 곳으로 군을 움직이기 시작했다. 그러자 또 유방(劉邦)은 팽성(彭城)을 책동(策動)했고(聲東擊西), 그러자 또 그에 놀랐던 항우(項羽)가 참지 못하고 서둘러서 팽월(彭越)로 돌아갔다. 하지만 그때 항우(項羽)와 정면 승부를 할 생각은 없었던 유방(劉邦)은 서둘러서 북쪽으로 이동해서 성고(成皋=河南省 氾水)로 들어갔다. 그러자 또 항우(項羽)는 유방(劉邦)을 끝까지 추격했고, 그에 또 유방(劉邦)은 더 이상 견디지 못하고서 그곳에서도 퇴각했다.
그 후 유방(劉邦)은 하후영(夏候嬰)만 데리고 한신(韓信)이 주둔하고 있던 수무(修武=河南省 獲嘉)로 들어가서 그곳에서 숙식을 하면서 한신(韓信)의 군대를 접수했다. 그리고는 이어서 한신(韓信)에게 제(齊)를 공략할 것을 명(命)했으며, 그와 동시에 조참(曹參)과 관영(灌嬰)을 그의 휘하에 넣었다. 그리고는 또 노관(盧綰)과 종형제(從兄弟) 유가(劉賈)에게는 항우(項羽)의 본거지였던 초(楚)로 파견시켜서 후방교란을 명했다. 그러자 한신(韓信)은 탁월한 군사적 재능을 유감없이 발휘하며 단번에 제(齊)를 굴복시켰고, 이어서 초(楚)에서 달려왔던 20만의 용차(龍且) 군도 격파했다. 하지만 그때 <서로 간의 착오>로 인해서 당시 제(齊)와 협상을 하러갔던 력식기(酈食其)가 살해당하는 일이 일어났다.

 ※ 하지만 이 부분은 앞의 인물소개 '력식기(酈食其) 편'에서 소개한 것과 내용면에서 조금 차이를 보이는데, 그러나 위 본문(本文)에서 <착오(錯誤) 또는 서로 간에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는 뜻으로 기술했기 때문에, 그래서 전체의 내용은 본문(本文)에 따르기로 함.

 ----------------------------------------------------------------------------------------------

 ※ 인물소개

 관영(灌嬰-?부터 기원전 176년)은, 중국 진(秦)·전한(前漢)시대 유방의 무장이었으며, 수양(睢陽)의 비단상인이었다.

 ☆ 수양(睢陽)은 중국(中國)의 옛 지명(地名)이며, 춘추(春秋) 시대 송(宋)나라의 땅이었다. 옛날의 성(城)은 현재(現在)의 하남성(河南省) 상구시(商丘市)의 남쪽에 있으며, 당(唐)나라 현종(玄宗) 때의 안녹산의 난 때, 태수(太守)였던 허원(許遠)이 그곳에서 적장(賊將) 윤자기(尹子寄)를 막았으나, 성이 함락(陷落)되면서 잡혀서 죽었다고 한다.

 그는 항량(項梁)이 장한(章邯)에게 패한 후, 유방(劉邦)이 탕(碭)으로 돌아왔을 무렵부터 유방(劉邦)을 따랐다. 그리고는 진(秦)과의 싸움에서 공적을 올렸고, 무관(武關)에서 진(秦)을 토벌한 후 창문군(昌文君)이란 칭호가 주어졌다. 그 후, 유방(劉邦)이 한왕(漢王)이 되자 낭중(郎中=近衛兵)이 되었고, 그 다음에 중알자(中謁者)가 되어서, 3진(秦)을 평정했고, 은왕(殷王) 공격 등에도 종군했다.

 ☆ 3진(秦)은 항우(項羽)가 진(秦)을 멸한 후, 유방(劉邦)을 견제하기 위해서 구진(舊秦) 관중(關中)을 셋으로 나눈 뒤, 장한(章邯)과 사마흔(司馬欣) 그리고 동예(董翳)에게 내렸던 땅을 말함

 
중알자(中謁者)는 한관의(漢官儀)에 따르면 <알자(謁者)는 정원 35명, 낭중(郎中) 중에 1년간 녹봉을 받은 사람을 급사(給事)라고 칭하고, 그 중에 1년을 채운 자를 관알자(灌謁者)라고 칭한다>라고 했고 또 <관영(灌嬰)은 7년을 채웠으므로 유방(劉邦)이 대알자(大謁者)라고 칭했다>라고 했으므로, 그것으로 중알자(中謁者)를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유방(劉邦)이 팽성(彭城) 싸움에서 진 후, 형양(滎陽)에서 초(楚)의 기병(騎兵)과 맞싸울 기병대장을 뽑으려고 했을 때, 유방(劉邦)은 당시 진인(秦人)으로 기사(騎士)였던 이필(李必)과 낙갑(駱甲)을 대장으로 삼으려고 했지만, 그러나 그들은 오히려 유방(劉邦)에게 측근이면서도 승마전투에 뛰어난 사람을 선택할 것을 진언했다. 그러자 유방(劉邦)은 관영(灌嬰)을 선택했고, 그 두 사람은 교위(校尉)로 따르게 했다. 그 후, 관영(灌嬰)은 중대부(中大夫)가 되었고, 낭중(郎中) 기병을 인솔해서 초(楚)의 기병을 격퇴했다. 그리고 그 후에도 그는 기병을 인솔하며 별동대로 활약하는 등 많은 공을 세웠다. 그리고 또 한신(韓信)의 휘하에서는 제(齊)를 정복하고, 용차(龍且)를 제압하는 등 많은 활약을 펼쳤다.(하지만 그때, 실제로 龍且를 죽인 것은 그의 부하였다고 하며, 그는 亞將이었던 周蘭을 생포했었다고 한다) 그런 다음, 그는 초(楚)의 영토를 공격했고, 하비(下邳)와 팽성(彭城)을 공략했다. 그리고 그 후, 항우(項羽)가 해하(垓下)의 싸움에서 져서 도주했을 때, 그는 유방(劉邦)의 명을 받아서 항우(項羽)를 추격했다. 그래서 그때, 항우(項羽)의 시체를 거두었던 다섯 사람(5人)은 바로 그의 부하들이었다고 한다. 그리고 또, 그 후에도 그는 오군(吳郡) 등 강남(江南), 회북(淮北)을 평정했다. 그리고 또한 연왕(燕王) 장도(臧筡)의 토벌에도 종군했으며, 초왕(楚王) 한신(韓信)을 잡을 때도 동행했다. 그리하여 고조(高祖) 6년(기원전 201년)에 그는 영음후(潁陰侯=食邑 2500戶)에 봉해졌다. 그리고 그 후, 그는 한왕 신(韓王信)의 반란진압에도 종군했지만, 그러나 흉노(匈奴) 기병들을 물리친 후 유방(劉邦)과 함께 평성(平城)에서 포위당했던 일도 있었다. 그리고 또 그 후에도 진희(陳豨)의 반란, 영포(英布)의 반란진압에도 종군했으며, 그 공으로 2500호(戶)를 가증(加增=增俸 또는 增封)받았다. 그 후, 유방(劉邦)이 죽자 그는 혜제(惠帝)와 여치(呂雉)를 따랐으며, 여치(呂雉)가 죽은 후에는 제왕(齊王)이 여 씨(呂氏) 타도를 외치며 거병하자 그것을 진압하기 위해서 출병했다. 그리고 그때, 그는 주발(周勃) 등과 모의해서 당시 형양(滎陽)에서 주둔하고 있던 제왕(齊王)에게 자신들이 여 씨(呂氏)를 타도할 것이란 암시를 주자 그에 제왕(齊王)은 싸우지 않고 군(軍)을 물렸다. 여 씨(呂氏)를 멸 후, 그는 문제(文帝) 옹립에 참여해서 다시 3000호(戶)를 가증(加增)받았고, 태위(太尉)가 되었다. 그리고 문제(文帝) 전(前) 3년(기원전 177년)에 승상 주발(周勃)이 파면되자 그는 그 후임이 되었다. 그리고 또 동년(同年), 흉노(匈奴)가 북방으로부터 침입해오자 그는 기병 8만 5천을 인솔해서 요격에 나섰지만, 그러나 그때는 이미 흉노(匈奴)가 떠난 뒤였고, 또 마침 그때 제북왕(齊北王) 유흥거(劉興居)가 반란을 일으켰으므로 그에 진군(進軍)을 멈추었다. 그리고 그 다음 해였던 기원전 176년 그는 사망했고, 시호(諡號)는 의후(懿侯)가 내려졌다. 그 후, 그의 아들 관하(灌何=平侯)가 그의 뒤를 이었고, 그리고 그 관하(灌何)는 오초칠국의 난(吳楚七國의 亂)을 진압하기 위해서 종군했다.(漢書 灌夫傳) 그 후, 관하(灌何)의 아들 관강(灌彊)이 죄를 지어서 관직이 끊어졌지만, 그러나 무제(武帝)에 의해서 관영(灌嬰)의 손(孫) 관현(灌賢)이 임여후(臨汝侯)에 봉해졌다. 하지만 그 관현(灌賢)도 뇌물(賂物)을 주고받았다는 죄가 인정되어서 나라가 몰수되었다.

 ----------------------------------------------------------------------------------------------

 6-3 다시 지다(再敗)

 기원전 203년, 유방(劉邦)은 항우(項羽)와 대진(對陣)하면서 견고한 수비 작전을 펼치고 있었다. 그런 한편 항우(項羽)의 배후로 팽월(彭越)을 투입시켜서 초군(楚軍)의 병참(兵站)을 공격케 하고 있었다. 그러자 참지 못했던 항우(項羽)는 부하 조구(曹咎)에게 <보름정도까지는 돌아올 것이니까, 먼저 움직이지 말고 그때까지 잘 지키고 있어라!>라는 말을 하고는 팽월(彭越)을 잡기 위해 출진(出陣)했다. 하지만 항우(項羽)가 없던 틈을 노려서 한군(漢軍)이 자꾸 도발(挑發)을 해오자, 조구(曹咎)는 더 이상 참지 못하고 출진해서 대패했다. 하지만 항우(項羽)가 다시 돌아오자 한군(漢軍)은 다시 방어태세로 들어가서는 도무지 항우(項羽)와 싸우려들지 않았다.

 ------------------------------------------------------------------------------------------------
 ※ 인물소개

 항우(項羽) 2

 1. 서초패왕(西楚覇王)

 홍문(鴻門)의 회(會) 후, 항우(項羽)는 유방(劉邦)을 용서한 후, 진(秦)의 마지막 왕이었던 자영(子嬰) 일족을 참살하고 함양(咸陽)을 불태우며 재보(財寶)를 약탈했다. 그러자 그 후, 지리적인 이점(利點)이 좋았던 함양(咸陽)을 수도로 하자는 진언도 있었지만, 그러나 그는 금의환향(錦衣還鄕)을 행할 목적으로 초(楚)의 팽성(彭城=현재의 江蘇省 徐州)으로 돌아가서 그곳을 수도로 정했다. 그리고는 스스로 서초(西楚)의 패왕(覇王)이라고 칭하며 제후들에 대한 대규모적인 봉건을 실시했지만, 그러나 이미 전술(前述)한대로 그것이 공평치가 못했던 것이어서 많은 제후들로부터 불만을 샀다. 그리고 또 그는 이미 전에 항량(項梁)이 옹립했던 초(楚)의 회왕(懷王)을 <義帝>라고 부르며 격상시키는 듯했지만, 하지만 또 천도(遷都)라는 명목으로 원격지로 연행해가다가 도중에서 죽였다.

 2. 초한전쟁(楚漢戰爭)

 기원전 206년, 제(齊)의 왕족이었던 전영(田榮)이 항우(項羽)를 상대로 군사를 일으키자 그것을 계기로 그때까지 항우(項羽)에게 불만을 품고 있던 제후들이 잇달아 반란을
일으켰다. 그러자 또 의제(義帝)의 처참한 죽음을 알게 된 유방(劉邦)도 그 명분으로 봉기하며 제후들에게 함께 봉기할 것을 호소했다. 그리고 여기까지가 그 초한전쟁(楚漢戰爭)의 시발점이었으며, 그 발발의 원인이었다. 그리고 아래는 그때 유방(劉邦)이 제후들에게 돌렸던 격문의 내용이라고 하므로, 관심이 계신 분은 참고바랍니다. 단, 해석은 본인이 했으므로, 그에 부족함을 느끼시는 분은 따로 연구해주시길 바랍니다.

 <천하 사람들이 모두 인정하여 옹립한 우리들의 지주(支柱)이셨던 의제(義帝)를 대역무도한 항우(項羽)가 참살했다. 그러므로 나는 그에 스스로 상주(喪主)가 되려고 하니, 모든 제후들께서도 흰 상복(喪服)을 입고 애도함이 마땅할 것입니다. 그리고 또한 모든 관내(關內)의 병사들과 이 땅의 백성들이여, 원컨대 의제(義帝)를 죽인 저 초(楚)의 살인자를 응징함에 동참하라!>

 天下共立義帝,北面事之.今項羽放殺義帝於江南,大逆無道.寡人親為發喪,
 諸侯皆縞素.悉發關内兵,收三河士,南浮江漢以下,願從諸侯王擊楚之殺義帝者.

 
그러자 항우(項羽)는 스스로 토벌군을 인솔하며 각지를 전전했다. 하지만 항우(項羽)가 나타나면 반란은 곧 사그라졌지만, 그러나 항우(項羽)가 다시 다른 곳으로 이동하면 반란은 격화되어서 상황은 마치 다람쥐 쳇바퀴 돌듯이 전개되어갔다. 그러자 또 항우(項羽)는 그 복수(復讐)로 반란군이 항복을 해도 받아주지 않았으며, 반란을 일으킨 나라의 병사들은 전원 생매장시켜 버렸다. 그리고 또한 그곳의 주민들에게도 인정사정 봐주는 것 없이 처참하게 도륙해버려서 항우(項羽)는 가는 곳마다 원성(怨聲)을 사게 되었다. 그러자 그때까지 죽지 않고 살아있던 사람들은 병민(兵民)이 하나로 똘똘 뭉쳐서는 필사적으로 항우(項羽)에게 저항하기 시작했고, 그러자 전쟁은 점점 더 진흙탕싸움처럼 변해갔다. 그리고 또 그때, 특히 제(齊)에는 70여 곳의 성(城)이 있었는데, 그래서 항우(項羽)는 그 때문에 더욱 부지런히 움직여야만 했고, 거기다 또 구강왕(九江王)에 봉했던 영포(英布)마저 몇 번이나 구원을 요청했지만 병을 핑계로 달려 와주지 않았다. 그래서 그때, 항우(項羽)는 전술에서는 매우 우수했지만, 하지만 전략과 정략(政略) 그리고 인망(人望=德望)이 부족했으며, 또한 직정경행형(直情径行型=直行=생각한 것을 꾸밈없이 그대로 행동으로 나타낸다거나, 예법 같은 것에 개의치 않고 자신의 생각대로 행동함는 것을 말함)이었기 때문에 사람들의 미움을 사기 쉬웠다. 그리고 또 당시 3진(秦=關中=앞에서 설명되었음)을 평정했던 유방(劉邦)은 위(魏)·조(趙) 등과 연합해서 50만이 넘는 대군으로 초(楚)의 팽성(彭城)을 점령했다. 하지만 이미 전술(前述)한대로 팽성(彭城)의 싸움으로 그곳은 다시 항우(項羽)에게 넘어갔다. 그리고 또 이미 전술(前述)한대로 그 결과 유방(劉邦)은 패주했고, 그의 아버지와 아내는 포로가 되었다. 그 후, 항우(項羽)는 형양(滎陽) 일대(一帶)까지 유방(劉邦)을 몰아붙여서(滎陽의 싸움), 기선(機先)을 잡는 듯 했지만, 하지만 또 이어서 행해졌던 한신(韓信)의 위(魏)·조(趙)·연(燕)·제(齊)의 원정(遠征) 그리고 항우에게 불만을 가졌던 팽월(彭越), 그리고 또한 이미 배신했던 영포(英布) 등과 또 타(他) 제후들에 의한 후방교란작전 등으로 항우는 많은 골치를 앓게 되었다. 그리고 또, 그런 이유들로 해서 몇 번이나 유방(劉邦)을 잡을 수는 있었지만, 하지만 또 꼭 마지막 순간에 놓치고 말았고, 그리고는 소하(蕭何)에게로 도망갔던 유방(劉邦)과 다시 대치하게 되었던 것이다. 그러자 또 그 틈을 노려서 행해졌던 진평(陳平)에 의한 내부분열 때문에 항우(項羽)는 결국 범증(范增)까지 잃게 되었고, 그로써 그는 점점 더 힘든 형국으로 치닫게 되었던 것이다.(以下, 後述 또는 생략)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