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체 - 시공 로고스 총서 1 시공 로고스 총서 1
J.P.스턴 지음, 이종인 옮김 / 시공사 / 1998년 8월
평점 :
절판


우선, 개인적으로 시공로고스 총서의 간행이 참 좋은 일이라고 생각한다. 처음에는 이러한 것이 있다는 것을 몰랐지만, 리포트와 논문을 쓰기 위해 여러 명의 학자들에 대한 좋은 개론서가 필요가 경우가 많았는데, 이 때마다 로고스 총서가 많이 도움이 되었기 때문이다.

이 책 <니체> 또한 그러한 믿음에서 구입하게 되었다. 책의 저자인 J. P. 스턴은 니체의 연대기를 책의 전반부에 배치함으로서 입문서다운 공정한 모습을 보여준다. 니체의 저작과 그의 생애 연표는 잘 정리되어 있다. 또한 마르크스, 프로이트와 더불어 현대를 여는 세 명의 거장으로서 니체를 언급하는 것 또한 좋았다. 그 세 명의 관계는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겠지만, 현재 프랑스와 미국 등지에서 활발한 연구가 되었던 니체를 폭넓게 규정하는 것 또한 필요하기 때문이다.

3장에서는 <비극의 탄생>을 집중적으로 논의하고 있다. 그러나, 이 부분은 저자의 개인적 관심이 많이 반영되었다고 볼 수 있다. <비극의 탄생>은 니체의 주저라고 보기엔 어려운 점이 있으며, 그의 평생에 걸친 일관된 연구 분야라고 보기에도 주변적인 면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미학과 파토스의 관계도 후기의 연구를 알아야만 감이 잡힌다.

그러나 5장 '도덕적 실험 세 가지'에서는 역동적인 니체의 저술에 대한 요약이 잘 되어있다. 계보학적 연구로서 도덕과 그 에토스(ethos)의 파악을 '권력에의 의지'에까지 거시적으로 다루고 있기 때문이다. 단, 해석학적 논의와 더불어 철학적이고 존재론적인 논의가 상대적으로 미약한 점이 있다. 재미있는 것은 6장 '불연속성'에서 니체의 주장 역시 자신이 비판하는 논점 '안'에 있음을 지적한다는 점이다. 마치 러셀 역설적인 문제처럼. 이 부분은 아마 해석학적 순환으로 이해될 수도 있을 것 같다. 관점주의(perspectivism)의 한계와 해석학적 순환의 문제에 대해서는 더 깊이있는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다만 지적하고 싶은 점은 그것이 존재론적인 문제에 있어서도 똑같이 야기되느냐는 것이다. 나의 견해로는 그의 개념들을 잘 정리하고 '이중긍정'과 '영원회귀'가 힘(macht)과 관련된 논리적 양상을 제대로 규정한다면 이러한 역설은 오히려 21C적인 논리가 아닐지 싶다. 내가 듣기로는 현대의 신경망 이론이라든지 미학, 그리고 논리학과 수학에서 이러한 연구가 깊이있게 진행되고 있다고 들었다.

내가 비록 이 책에서 아쉬운 점을 많이 들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 책은 전통적인 입장에서 니체를 잘 정리하고 있다. 다만, 현대에서 니체를 다시 부활시켰던 현대 프랑스 후기 구조주의자들의 니체 관련 저술을 반영했더라면 좋았을 것이라는 아쉬움이 남는다. 그러나, 그들의 저술을 완전히 배제하여 책을 저술한 이상 이런 아쉬움은 이 책의 단점으로 논할 수는 없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