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대주체와 식민지 규율권력 문화과학 이론신서 4
김진균 외 엮음 / 문화과학사 / 2003년 7월
평점 :
절판


이 책은 어떤 이유에서건 별 다섯 개를 줘야 한다. 책의 본문에서 이론적인 오류가 있다 할지라도 (물론 이 책엔 오류가 없다고 생각한다. 그만큼 나의 견해로 탁월한 논문들이다) 바로 우리의 이야기이기 때문이다. 서구의 담론을 수입해 들어와 팔았던 그런 지식인의 모습이 아니라, 일제 하에서 우리가 어떤 '주체'로서 양성되었는가에 대한 '자기반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런 점에 있어서 나는 이 책을 읽는 내내 섬찟했다. 과연 나는 그렇게 열심히 공부를 하면서 왜 이것을 몰랐던 것인가에 대한 개탄 때문에 더욱 그러했다. 개인적으로 이 책을 읽게된 동기는 푸코의 계보학이 우리나라에 어떻게 연구되어 있을까에 대한 의문으로 읽었다. 정말 우연적인 것이었다. 그러나, 이 책의 마지막 장을 덮는 순간 이 책에 반하고 말았다. 그리고 다시 한 번 되물었다. '나는 누구인가?'

어떤 이유에서든 나는 한국인이고 이곳에서 자랐다. 그런데 이 책은 내가 자란 이곳의 환경에 묻어있는 식민지성과 규율성에 대해서 치밀하게 고증하고 있다. 바로, 현재의 한국사회를 극복해야 할 것이 아직도 많은 사회라고 비판적으로 보고, 그 부정적 현상의 기원이 상당정도 식민지체제에서 유래한 것이라고 파악하는 소위 '부정적 연속설'을 바탕으로!

이 책에서는 이진경 선생의 글을 필두로 일본이 생산해낸 臣民으로서 한국인의 주체를 생산해낸 방법이, 그 처절한 역사가 고증되어 있다. 보통학교체제와 학교규율이 그러했고, 공장체제와 노동규율이 그러했다. 또한 식민지 시대의 의료적 규율화, 일상의 군사화, 마지막으로 가족의 의미가 그러했다. 비록 이 책은 푸코의 '근대적 주체'가 우리에겐 臣民이라는 (부끄러운) 이름이라는 점에 있어서의 차이, 일제시대의 교회의 역할, 그리고 일제시대의 규율권력에 대한 우리의 저항의 실태를 논의하진 못하고 있다.

그러나 이것은 우리에게 남겨진 몫이리라. 다만, 지금 중요한 것은 이 책을 읽어보는 것이다. 우리의 선조들이 치욕스럽게 겪었고, 지금 우리에게 고스란히 묻어있는 臣民으로서의 규율을 파악하고, 씻어내는 것이다. 청산하지 못한 과거를 이제는 정말 청산해야 하지 않겠는가? 꼭 이 책을 읽어보시기 바란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뿌꼬 2005-03-08 23:43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계보학이 뭔지나 알고 썼니 짜증나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