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초역 아리스토텔레스의 말 - 현대인들의 삶에 시금석이 될 진실을 탐하다
이채윤 엮음 / 읽고싶은책 / 2021년 2월
평점 :


아리스토텔리스 의 방대한 저서를 다 읽고, 이해할 수 있다면 얼마나 좋을까. 그런 고민을 하던 찰나 < 초역아리스토텔레스의말 >을 만났다. <니코마코스 윤리학>, <정치학>, <수사학>, <형이상학>, <영혼에 관하여>, <시학> 등을 기반으로 만들어진 책으로, 21세기를 살아가는 현대인들에게 도움이 될 말들이 모여있어서 어렵지 않게 독파할 수 있었다.
.

행복한 사람이란 능력이 있는 삶을 영위하는 사람이다. 잠재력에 지나지 않는 것이 아니라 무언가를 이루어내는 활동이어야 한다. (p24)
행복, 영혼과 중용, 친구, 사랑과 쾌락 그리고 아름다움, 철학이란?, 정치란?, 인간 행동에 대하여, 일과 삶에 대하여, 젊은이와 교육, 시와 예술 등 10가지 주제로 나뉘어 있으며, 깔끔한 구성으로 만들어져 편한 마음으로 볼 수 있었다.
'행복' 파트를 보며, 행복은 소유물처럼 속하는 것이 나닌 일종의 활동이라는 말이 참 좋았다. 행복을 소유물로 생각하는 순간 사람은 불행해지는 것 같다. 아리스토텔레스가 살았던 시대부터 21세기까지. 어떤 시대를 살고 있던지 인간은 진정한 행복이 무엇인지가를 늘 갈구하고, 자신만의 행복을 만들어가는 존재인 것 같다.
.
비사교적이고 고립되어 사는 사람일지라도 사회 안에 존재한다. 사회는 개인 앞에 있는 것이다. (p127)
'인간은 본래 사회적 동물이다.' <정치학>에 나오는 정말 유명한 말이자, 살면서 더 깊이 깨닫게 되는 말이다. SNS만 봐도 그렇다. 우리는 항상 연결되어 있고, 혼자서는 살 수 없는 평범한 존재라는 것을 매순간 깨닫는다. 사회에 참여하지 않는 사람은 짐승이거나 신이라고 했지만, 짐승도 완전히 혼자 살지 않고, 신 또한 믿어주는 신자 없이 존재할 수가 없다. 어쩌면 이 만물을 넘어선 모든 것들이 혼자일 수 없는 것 같다.
.
고대 그리스판 탈무드의 느낌이랄까. 다양한 주제와 아리스토텔레스만이 전해줄 수 있는 명언이 합쳐서 #자기계발서 처럼 볼 수 있는 책이었다. <윤리학>에 지혜로운 사람은 자신을 위험에 빠뜨리지 않는다는 말이있다. 종종 나 자신을 위험에 퐁당 빠트리는 나를 돌아보며, 요즘 내게 필요한 '지혜'가 무엇인가 생각해 볼 수 있엇다. 말을 넘어선 행동으로 지혜를 만들어야할 시기, 좀 더 현명하게 살아야 겠다.
책만을 제공 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글입니다
영혼과 몸이 하나인지는 질문할 가치도 없다. 그것은 밀랍과 문양이 하나인지 질문할 필요가 없는 것과 같다. - P52
친구들은 젊었을 때는 잘못을 저지르지 않도록 도와주고, 나이가 들어서는 여러 가지 신변의 일을 보살펴준다. - P82
만일 일이 뜻대로 되지 않는다면, 일이 잘 풀리는 대로 소원을 빌어야 한다. - P114
부는 우리가 추구하는 최선의 것이 아니다. 왜냐하면 그것은 단지 유용할 뿐이고 다른 것을 위한 것이기 때문이다. - P210
사람은 팔다리로 자신을 방어할 수 없는 무능함은 부끄러워한다. 하지만 말과 이성으로 자신을 방어할 능력이 없다는 것은 부끄러워하지 않는다. 합리적인 말과 이를 사용하는 것이 팔다리를 사용하는 인간을 더 뚜렷하게 만든다. - P2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