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완득이
김려령 지음 / 창비 / 2008년 3월
평점 :
어쩜 이렇게 다들 여리기만 한지. 하나같이 이렇게 힘들게 살아가는지. 그럼에도 얼굴에는 웃음기가 가득하기만 한지. 무엇을 보길래 이렇게 희망적이고 경쾌한지. 나는 궁금하다. 이렇게 건강한 마음으로 살아갈 수 있는 이들의 비결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서울, 어떤 동네에 완득이가 산다. 완득이가 절대 안하는 몇가지가 있다. 공부 안해, 아프다고 말 안해. 싫다고 말 안해, 아버지 원망 안해. 엄마가 그리웠다고 말...안...(아니 못해.)
오늘도 완득이는 소박한 소원을 안고 교회에 가서 기도 드린다. "담임 똥주 좀 죽여주세요. 아멘." 그럼에도 다음날 어김없이 완득이의 사생활을 반아이들에게 나불대는 담임 똥주는 여전히 기고만장이다. 하필 그렇게 싫은 담임 똥주는 완득이네 옆집 옥탑방에 산다. 저녁 먹을 참이면 큰소리로 완득이를 불러내 햇반을 던지라고 협박한다. 고학생 완득이에게 나온 수급품을 담임 똥주는 야금야금 잘도 강탈해 간다. 맹부삼천지교, 왜 완득이 아버지는 학교선생님 옆집으로 이사 온 걸까. 그것도 조폭담임 똥주네 옆집으로. 완득이는 오늘도 피곤하다.
얼마 전에 완득이를 알았다. 그리고 나의 완소청소년 넘버원이 한동구 어린이에서 완득이로 바뀌었다. 이런 걸 세대교체라고 하는 거다. 완득이는 앞으로의 '희망'을 말하지 않는다. 현재의 삶에서 소중한 것들에 대한 의미를 알아가고 있는 중이다. 난장이 아버지와 베트남인 엄마, 말더듬이 '밍구'삼촌이 완득이의 소중한 가족이다. 그리고 담임 똥주는 귀찮긴한데 왠지 싫지 않다. 알면 알수록 깨지만 비밀도 많은 담탱이다. 깜찍한 제자 완득이에 대한 관심을 조금 끔찍하게 표현할 뿐이다. (육두문자 욕을 맛깔스럽게 섞어서. 어디 '새끼'가 욕인가. 똥주네 나라에서는 반갑다는 인사를 "이런 X새끼야~라고 말하나보지.^^)
이 책에 나오는 등장인물들이 이렇게 하나같이 표현이 서툴다. "사랑한다."라는 말을 다들 자기만의 방법으로 조금 소극적이고 서툴게 표현할 뿐이다. 표현이 그렇다고 해서 그 사람들의 사랑의 깊이가 얕은 건 절대 아니다. 오히려 헤아릴 수 없을 만큼 깊고 넓다. 다만 꼭꼭 닫아놓고 조금씩,조금씩 꺼내보일 뿐이다. 너무 귀하고 소중해서.
완득이가 사랑스러운 이유가, 짜식~ 다 알면서 괜히 모른 척이다. 어린 놈이 쿨한 척 하기는. 아버지와 엄마, 삼촌, 똥주와 윤하, 킥복싱 관장님까지 완득이 주변에는 완득이를 세상 누구보다 사랑해주고 응원하는 사람들이 이렇게 가득한데 녀석이 괜히 튕김질이다. 너,임마, 똥주 사랑해줘야 돼.
아마 많은 사람들이 완득이를 알게 되면 녀석을 좋아하지 않고는 못베길 거다. 귀여운 녀석.
어이~ 도완득! 오늘도 운동하러 가는구나~! "눈에 힘주지마, 새꺄~ 그러다 한대 치겄다 ㅋ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