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코끼리와 귀울음 ㅣ 블랙 앤 화이트 시리즈 10
온다 리쿠 지음, 권영주 옮김 / 비채 / 2008년 11월
평점 :
절판
본격추리소설은 정황이나 사소한 힌트들로 사건을 풀어내는 해결사(안락의자탐정)들이 등장한다. 예를 들자면 김전일이나 명탐정 코난같은. 등장인물의 사소한 행동이나 우연히 쏟아내는 말들에도 중요한 단서를 감지해낸다. 뛰어난 추리력이라는 것은 일반인들의 단순한 사고보다 훨씬 설득력 있고 견고한 논리를 필요로 하지만 이야기에서 완성되는 그럴듯한 이들의 논리는 현실에서는 별로 소용이 없다. 간단한 이유다. 일상에서 일어나는 변수를 통제하기가 불가능하기 때문이다. 예측 가능한대로 일이 진행되지 않는다.
하지만 이야기는 다르다. 정답과 그에 따른 근거의 추리를 설명하는 마무리 없이 이야기를 끝낼 수 없다. 바꿔말하면 소설이 됐든 만화가 됐든 사건은 반드시 해결된다는 얘기다. 여기에서 필요한 게 그럴듯해 보이는 해결사의 설명이다. (수많은 희생자를 내고도 언제나 결말에서 수수께끼는 해결됐다며 혼자만의 자아도취에 빠진다는 점은 잊자.) 해결사가 말하는 논리는 앞뒤가 척척 들어맞고 누구라도 수긍할 수 있는 감탄스런 설명도 있는 반면에 작위적이고 억지로 논리에 끼워맞춰진 황당한 설명도 있다. 만들어진 정황처럼 어색한 것도 또 없다.
스스로도 미스터리의 팬이라고 밝힌 독서광이자 작가인 온다 리쿠는 『코끼리와 귀울음』에서 본격추리소설을 표방하며 11편의 단편을 소개한다. 전직판사인 세키네 다카오라는 노신사가 등장하는 연작 미스터리 단편이다. 세키네 다카오는 미스터리 팬의 바람직한 노년의 모습일지 모른다. 개인적으로 미스터리와 스릴러를 꽤 좋아하지만 내가 나중에 노년이 되거나, 가까이는 중년이 되었을 때 미스터리를 읽는다는 건 조금 상상이 되지 않았는데 은퇴를 하고도 여전히 일상에서의 추리를 즐기고 옆에 미스터리 문고본을 두고 있다는 게 사실 멋있어 보이기도 했다. 물론 그런 생활은 전제되어야 할 여건이 한두개가 아니지만. (현실에 어느정도 여유가 따라줘야 오락성이 있는 것들을 '즐길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조금 불편했던 건 사건에 대한 관심이 추리에 대한 집요한 집착으로도 보였다. 물론 이건 미스터리팬이 연작단편의 주인공으로 연이어 등장한 이유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하지만 다카오가 말하는 상황에 대한 논리가 조금은 작위적인 부분이 더러 있었다. 인간사를 그렇게 그럴듯한 논리로만 설명할 수가 있으면 참 좋으련만, 이 책은 현실이 아닌 절대'소설'이라고 말하고 있는 것 같았다.
미스터리를 쓴다는 게 결코 쉬운 일이 아니라는 걸 느꼈다. 온다 리쿠를 대단한 이야기꾼이라고 여겨왔는데 『코끼리와 귀울음』에서 온다 리쿠의 부족한 점을 조금 엿본 것 같아서 팬으로서는 조금 속상하다. 장르의 경계를 넘어서 다양한 이야기를 전해주는 온다 리쿠에게 있어서 본격은 조금 내공이 부족한 장르로 보인다. 하지만 내가 어떻게 온다 리쿠의 한계를 멋대로 규정하겠는가. 온다 리쿠는 나에게 『밤의 피크닉』과 『삼월은 붉은 구렁을』처럼 기막힌 이야기를 선물해 준 고마운 이야기꾼이 아닌가. 나는 여전히 온다 리쿠의 팬이다.
얼마전 친구가 나에게 해준 얘기가 생각난다. 불륜커플과 실제 부부사이를 구분하는 방법. 음식점에서 계산을 할 때 여자(여기서는 아주머니)가 지갑에서 돈을 꺼내면 그 커플은 부부인 것이고 아저씨가 주섬주섬 계산을 하면 그 커플은 불륜인 것이라고. 깊게 파고 들어가면 헛점도 많은 얘기다. 웃자고 한 얘기였으니까. 그런데 우리는 이렇게 일상에서 정황을 보고 전혀 모르는 사람들에 대한 관계를 짐작하려 한다. 직접 물어보면 확실한 사이를 규정할 수 있겠지만 계산을 끝내는 아저씨를 붙잡고 "직접 돈을 내시는 거 보니 부인이 아니신가봐요"라고 눈치없게 묻는다면... 아마 그 음식점은 내가 마지막으로 목격된 장소가 될 것이다. 사실 제일 좋은 건 신경쓰지 않는 거지만. 아! 이야기에서만 자유로운 추리의 세계. 하긴 현실이 너무 뻔하면 그것도 재미없지. 그래도 작년 여름에 세간의 관심을 끌었던 살인사건의 범인을 거의 정확하게 추리한 네티즌이 화제가 됐던 것처럼 현실에서 그 미스터리 내공을 보여주는 사람도 적지 않으니 아주 상관없는 것도 아닐 수도. 내공을 더 쌓아야겠다. 매사를 진지하게 분석해보는 연습을 해볼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