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숲에게 길을 묻다>를 리뷰해주세요.
숲에게 길을 묻다 - 희망 더 아름다운 삶을 찾는 당신을 위한 생태적 자기경영법
김용규 지음 / 비아북 / 2009년 4월
평점 :
구판절판


숲이 나에게 왔다.
숲에서 숲에게 길을 물었다.
숲을 나왔다.
숲을 떠나면서 숲의 가슴을 알았다.
숲의 가슴으로 살게 하였다.
여전히 나는 숲에 있다.

책을 든 순간에 향기를 맡았다.
숲에서 날아오는 평안의 향기를 맡았다.
쉼을 날아다 주었다.
하늘, 빛을 향해 서 있는 나무들,
그 아래서 작은 빛들을 받고 사는 나무들,
거기에 깃든 새들,
그 빽빽함처럼 잘 조직된 글 솜씨에 탄복하게 한다.

숲의 주인은 누구일까?
창조주.
그분의 지기로서 숲을 가꾸는 에코 CEO
숲에서 나와 숲과 같은 친밀함으로 두 팔 벌려
희망을 노래한다.

삶의 희망을 심는 책이다.
스트레스와 억압에서 벗어나고,
시시포스의 형벌이라고 노동을 보며 한숨짓는 이들에게
누군가에게는 징검다리라고 노래한다.

성공과 주류, 돈의 멍에서 신음하는 이들에게
숲에 놀러오라고, 숲을 배우라고
숲지기가 손짓한다.

죽음을 만날 때마다 나는 하나님이
삶의 끝자락에 죽음을 배치한 이유가 무엇일까를 생각합니다.
죽음은 순환이 아닌 삶의 종식을 위해 마련된 절차일까?
내가 보기에 그것은 오히려 잘 살라고 마련된 장치입니다.
하나님이 한 생명에게 두 번의 삶을 주지 않은 까닭은
살아있는 시간에 충실하여 후회가 없게 하라는 뜻이지요.

한 순간도 살지 않은 것처럼
썩어짐으로써 온전한 흙으로
돌아가고 싶습니다.
그것으로 이 별과 다른 생명들에게
빚내어 산 사람을 되돌려놓고 싶습니다.

‘숲에게 길을 묻다’
시집이 아닌 시집, 사진집이 아닌 사진집,
인쇄는 컬러가 아니어도
보는 이의 마음은 천연색의 컬러의
숲을 가슴 깊숙이 담습니다.

숲의 냄새,
희망의 냄새,
사람의 냄새가 솔솔
나에게 왔습니다. 꼭 읽어보세요.
‘숲에게 길을 묻다’

‘숲에게 길을 묻다’는, 탄생, 성장, 삶, 죽음에 대한 4막으로 형성되었다. 인생의 드라마다.
‘천이’는, 나지에서 황지를 거쳐, 초원과 관목, 양수림, 음수림이 되는 것이라고 한다. 내게 황무지처럼 척박한 땅에서도 견딜 수 있는 그러나 천한 풀을 틔우고, 키 작은 떨기나무, 소나무, 큰 키의 나무들, 그 속에서 숲을 이루어 가는 숲의 현상처럼 희망의 사람으로 성장하며 성숙해 가는 희망의 씨앗을 주었습니다.

희망의 숲을 이루어 가던 나무들도 파도를 이기지 못하고 쓰러지거나 스러지는 나무들이 있다. 억울함과 분노와 절망에 머물며 자기 영혼을 썩게 하는 대신 차라리 통절한 전환을 모색하도록 격려한다. 그리고 시작은 키 큰 나무아래의 산갈 나무와 담장 앞 담쟁이덩굴처럼 모험을 시작하란다. 바로 쉽고 편안하고 품위 있는 자리가 아닌 저마다의 자리에서 저다운 모습으로 삶을 영위하는 것이다.

‘벽 앞에 주어진 담쟁이의 삶도/ 우거진 숲 아래 발아한 산갈 나무도/ 태어나는 자리를 선택할 수 없다/오로지 받아들이고 시작하는 것,/ 담장을 오르고 그늘을 넘으며/그의 하늘을 갖는 것만이 그들의 몫이다.’

버림과 상실에서 ‘두려워하지 마라, 들풀도 떡잎을 버려야 꽃이 핀다.’는 이 책의 더 깊은 향기를 맡게 해 주었다. ‘살아서 천년, 죽어서 천년을 산다는 주목도, 용의 승천을 연상하게 하는 장엄한 소나무도 모두 수많은 버림과 상실을 쌓으며 자기의 하늘을 열었을 것이다.’ 그 버림과 상실을 통해서 상처를 입었다. 정호승시인은, ‘상처 많은 꽃잎들이 가장 향기롭다.’고 하였다. 누군가 담담하게 지니고 있는 상처야말로 그다운 모습이며 그다운 향기다.

세상의 불합리에 맞설 힘이 없을 때 가시가 드러난다. 가시를 떨어뜨린 나무들은 스스로를 지킬 힘이 생겼을 때이다. 그렇더라도 도전이나 경쟁이라는 장치를 포기하라는 말이 아니다. 계속 도전하고 경쟁하는 것이다. 왜냐하면 숲은 치열하기 때문이다. 그 치열한 싸움 중에 자신과의 다툼은 최고요, 새로운 영역의 창조다.

경쟁이 치열하다고 해서 자신만을 위한 것이 아닌 공동체를 위한 이익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사랑에 대해 말합니다. 혼인목, 연리목, 큰오색딱따구리, 단풍나무, 소나무....품을 떠나보내지 못한 새끼는 무서운 맹수나 맹금류를 피하는 법을 터득하지 못해 위태로울 것이고, 부모의 발아래에서 발아한 씨앗은 결국 부모의 그늘에 살면서 부모와 햇빛을 나누고 양분을 다퉈야 하기 때문입니다. 그러니 자식이 스스로 서고 스스로 선택하도록 가르치지 못하는 부모의 사랑이 어찌 참다운 사랑이겠습니까?

 - * 이 책의 좋은 점: 메마른 정서 속에 있는 이들에게 숲의 향내를 맡아 새로운 다짐을 하게 합니다

- * 이 책을 읽을 대상: 누구나 다 읽어보세요.

- * 기억에 남는 한 구절:(너무 많지만) 현대를 물질의 풍요가 넘쳐나는 시대라고 하지만, 여전히 황무지와도 같은 결핍을 ‘주어진 명’으로 받고 태어나는 사람들은 수없이 많습니다. 그들 중 누구는 배경을 탓하며 시드는 반면, 누구는 ‘그 주어진 명’ 위에서 자기다운 삶을 우뚝 세우는 것으로 자신의 존재를 실현합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