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image.aladin.co.kr/Community/mypaper/Img725472183281628.jpg)
나는 어릴 때, 크고 힘센 것들에 대한 동경보다 작고 여린 것들에 대한 동정이 항상 더 컸었다. 세상에는 내가 이겨 극복해야 할 상대보다 내가 보살펴 키워야 할 대상이 더욱 많았고, 그래서 언제나 내 속에 내 보살핌을 받을 작은 것들을 꿈꿨었다. 그렇다고 뭐 어린 동생들을 잘 돌봤냐면 그런 건 아니고, 동네의 작은 개들을 잘 보살폈냐면 그런 것도 아니고, 그냥 엄지손가락만한 사람 닮은 생물체 같은 게 있어서 그런 걸 좀 보살피며 키워봤음 좋겠다는 생각을 했었다.
근데 지금 일곱 살이 된 우리 조카 우석이를 보면 언제나 크고 힘센 것들을 좋아하고 그것들을 동경한다. 세상엔 자기보다 힘이 센 것들 투성이고, 모두 자기가 이겨내야 할 존재처럼 느껴져선가. 아무튼 사내아이들은 모두 마음 속에 거인 하나씩을 키우고 있는 것 같다. 선하고 정의로워 폭력을 행사하지 않으면서도 절대적 힘을 가진 존재. 그러나 고립무원의 아이같아서 자신을 거의 어버이처럼 좋아하고 따르는 존재.
이 만화영화는 어린 시절 누구나 꿈꾸었을 그런 존재에 대한 이야기다. 주인공 소년은 우연히 집 뒤의 야산에서 철을 먹는 20미터가 넘는 로봇 하나를 발견하고 그 로봇에게 말을 가르치면서 그와 친구가 된다. 그리고 이런 이야기들이 흔히 그렇듯 그 로봇은 인류의 안위를 위협할 수 있다하여 국가에 의해 제거대상이 된다. 죽여야 한다느니 살려야 한다느니, 모든 재난 영화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면이 사샤샥 지나고..결국 우리의 '아이언 자이언트'는, 지구를 지키고 목숨을 잃는다.
이런 유치하고 뻔한 내용을 담고 있지만 이 타이틀을 빌려 준 사람의 말마따나 어린 시절 '애니메이션을 보면서 느꼈던 감동의 물결'을 다시 느낄 수 있어 좋았다. 지금은 그냥 심상하게 좋았다는 한 마디로 끝내고 말지만 사실 영화를 보면서는 죽은 줄 알았던 자이언트가 마지막에 부활의 조짐을 보이며 눈을 끔벅일 때는 세상에 박수까지 쳐대며 눈물을 터뜨렸었다. 큰언니가 얼마 전 "왕의 귀환"을 극장에서 보면서 (거의 10년 만의 극장나들이였댄다) 혼자 마구 울면서 박수를 쳐대 경악을 금치 못했었는데, 그 짓을 내가 한 것이다. 잠시 그 때 얘기를 하자면 영화를 다 보고 나와서 박수를 왜 그렇게 쳐댔냐, 부끄럽게..그랬더니, 요즘 사람들이 정서가 메마른 거다, 저런 영화, 저런 장면은 80년대 정서라면 관객전원의 기립박수감이다. 그러는 거다..나원참..
아무튼 이 만화영화, 참 괜찮았다. "아이언 자이언트"의 모습도 요즘의 럭셔리한 로봇 같지 않게 얼마나 순박하게 생겼던지, 잠시 자다 깨 영화의 끝부분만 본 우리 우석이도 대번에 따라 그릴 정도였다. 개인적으로 사람들이 자이언트가 죽기 전에 (보통은 죽고 나서 그러는데), 그에 대한 오해를 풀어 참 고맙고 좋았다. 그래서 아이언 자이언트 그 친구는 사람들의 따뜻한 마음 한 자락 안고 갔다. 그러니 부활해도 사람한테 나쁜 짓은 안 할 테지..휴우..다행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