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로 권커니 잣커니 할 일도 없이 혼자 호젓하게 맥주를 마신 오늘 같은 날엔, 왠지 쓸쓸해져 내 몸을 갖고 좀 놀아도 본다. 그리고, 아시다시피 그런 놀이의 끝은 더욱 쓸쓸하다. 세상에, 내 몸 하나만 남겨진 것 같다. 하지만 괜찮다. 이 노래만 들려온다면. 내가 정말 무서운 건, 세상에 혼자 남겨진 것보다, 더 이상 어떤 소리도 들을 수 없게 되는 것이다.

늙어 아무 것도 안 들리게 되었는데, 기억력까지 현저히 감퇴되어 이 노래의 가사를 눈 앞에 두고도 이 노래를 더이상 떠올리지 못할 때, 그때는 안락사 시켜 달라고 해야지.

조그만 공중전화 박스 안에서 사람들을 보면 / 난 유리로 만든 배를 타고 낯선 바달 떠도네 / 새까만 동전 두 개만큼의 자유를 가지고 / 이분 삼십초동안의 구원을 바라고 있네 / 전화를 걸어봐도 받는 이 없고 / 난 유리로 만든 배를 탄 채 떠도네 / 벅찬 계획도 시련도 없이 살아온 나는 / 가끔 떠오르는 크고 작은 상념을 가지고 / 더러는 우울한 날에 너를 만나 술에 취해 말을 할땐 / 나와는 관계없는 이야기로 시간은 흐르고 / 뜻없는 웃음으로 남겨진 앙금을 씻어버리는 / 그런 생활에 익숙해져 / 우울한 날엔 거리에서 또 다시 공중전화에 들어가 / 사람을 보니 난 유리로 만든 배를 타고 / 낯선 바다를 떠도네 / 거리에 흐르는 유리로 만든 배를 타고 / 낯선 바다를 떠도네

처음 이 앨범을 테잎으로 가지고 있었을 때에 즐겨 듣던 곡들은 "시청앞 지하철 역에서", "가을은", "사랑해요", "길을 걸으며" 같은 전형적인 동물원의 곡들이었는데, 테잎이 늘어질대로 늘어져 더이상 듣지 못하게 되었을 때, CD는 이미 절판되어 구하기도 힘들었을 때에 듣고 싶어 미치겠던 곡은 오직 저 "유리로 만든 배"였다.

유준열(이 부르는 게 맞다면)의 목소리는, 이거 가수 맞나 싶다. 듣다 보면 좀 답답한 것이, 듣는 내가 자꾸 흠흠,,하며 목청을 가다듬게 되는 그런 목소리다. 게다가, 이 노래를 따라 부를라치면 이건 그냥 염불하는 것 같다. 내가 노래를 못하는 까닭도 있지만 이 노래가 워낙에 높낮이가 없이 그냥 심심허니 그렇다. 목소리도 그저 그런 그가 자기 입맛에 맞게 만들어 놓은 노래가 나는 뭐가 그리 좋은 것일까. 2003년 4월 7일, 나는 드디어 이 앨범을 CD로 구했다.

댓글(3)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soulkitchen 2004-01-27 0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앗싸~비발님, 제가 해냈어요.(^^)v 근데, 최백호 아저씨의 마이 퍼니 발렌타인도 같이 나와버려요. 그래서 저는 여기 들어오면 Esc 키를 누르는데, 저번에 비발님이 하신 것처럼 플레이를 눌러야 노래가 나오게 하려면 어떡하면 되나요? 크..암튼 좋다..

비발~* 2004-01-27 09:29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그거는 embed 태그를 써야 가능하더라고요. object 태그일 때는 바로 자동시작이 되니... 이궁... 그게 내 한계야요.ㅠㅠ 다만 태그 펴올 때 repeat=all 이렇게 된 것을 repeat=false로 고치면 딱 한번만 연주된답니다.

비로그인 2004-01-27 22:26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동물원은 그러니까...지금의 386세대의 정서랑 잘 맞아떨어지고 그 세대들이 좋아했던 노래임엔 틀림없어요. 그런데 [유리로 만든 배]는 낯선 곡이네요. 진짜 흔들리는 듯한 느낌이 드네. 아무튼, 빈 소주병에 숟가락 꽂고 돌림노래할 때 불렀던 노래가 '잊혀지는 것'이었어요...캬...그때 강경식당 안주 - 특히 아삭아삭 씹히는 생고구마와 생당근 - 도 좋았고 대들보 위에서 서커스하는 쥐들도 기억나지만 그 분위기도 만만치 않았죠...음치처럼 보이는 가수들의 노래가 좋은 이유는 대중적인 편안함, 친밀감, 인간미가 느껴져서 끌리더만...그러니까 왠지 나처럼 실수할 것 같고 나처럼 평범하게 생기고 나처럼 노래를 못하고... 뭐 또 없나? 하여사 [어떤날]의 조동익 아찌도 그닥 노래는 잘 부르진 못하더구만요. 잘 쓰면 취침용으로...실제로 존 사람 겁나게 많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