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읽는 뇌 - 독서와 뇌, 난독증과 창조성의 은밀한 동거에 관한 이야기
매리언 울프 지음, 이희수 옮김 / 살림 / 2009년 6월
평점 :
절판


  난독증 증상을 보이는 사람들은 흥미로운 재능을 가진 사람일지도 모른다. 난독증 증상이 있어서 책을 자연스레 읽지 못하는 사람들은 유창하게 독서를 하는 사람들과는 다르게 독서 과정 중에 우뇌를 좀 더 많이 사용한다. 우뇌 발달은 패턴 인식이나 수학적 사고, 예술적 천재성 등과 깊은 관련이 있다. 레오나르도 다빈치나 알버트 아인슈타인 등이 이에 해당한다. 다만, 글자 인식에 문제를 겪는 난독증과 글자 해독은 잘하지만 어린 시절 훈련이 부족하여 독서 유창성이 떨어지는 사람들은 구분해야 할 것 같다. 다빈치나 아인슈타인은 전자에 속한다. (독서 유창성이 떨어지는 사람들은 모두 우뇌가 좀 더 발달하는 걸까?) 

  난독증 증상은 독서가 인간에게 '자연스러운' 행위가 아니라, 노력의 의해 가능한 인간적인 행위임을 알려준다. "인류는 책을 읽도록 태어나지 않았다."(책 읽기가 없었다면 인류는 '발명'되지 못했을지도 모르지만) 독서가 인간의 문화로 정착한 지는 몇천 년밖에 안 됐다. 저자는 인류 역사에서 가장 독창적으로 독서 문화가 꽃피운 시기로 뛰어난 알파벳이 발전한 고대 그리스를 드는데, 이 시기에도 호메로스의 서사시들은 암송으로 전승되었으며 소크라테스는 문헌에 비해 구어의 우월성을 강조했다. 아니, 그는 문헌 교육을 아예 없앨 것을 주장했다. 소크라테스는 '정당화'가 된 '참인 명제'를 '진리'로 간주했는데, 홀로 읽는 문헌에서는 명제를 충분히 '정당화'할 수 없다고 보았고, 질문하고 정당화할 수 있는 구어를 통한 철학/철학교육이 문헌 교육에 비해 우월하다고 생각했다(너무나 짜릿한 대화를 선사하여 제자들에게 '연인'으로 기억된 소크라테스를 상기하자). 
  하지만, 플라톤은 스승 소크라테스가 대화를 통해 설명한 아름다운 철학적 주장들을 '대화편'에서 충실히 '기록'했다. 그리고 플라톤의 제자 아리스토텔레스는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서양 학문에 토대를 놓았다. 물론 문헌을 통해서. 저자에 따르면, 숙련된 독서가는 사색을 통해서 소크라테스가 강조한 '정당화'를 이룰 수 있다. 숙련된 독서가는 빠르게 문자를 읽고 남는 시간을 이용하여 글의 내용을 끊임없이 사색하고 정당화한다. 또한, 글쓰기는 내면적 대화이기 때문에 글을 쓰는 과정에서 작가는 변화하며 글은 기술되는 동안 끊임없이 정당화된다.

  다분히 인간적인 행위인 독서가 삐걱대지 않고 이어지려면 유년 시절 부모의 책 읽어주기부터 아직은 완전히 무르익지 않은 독자인 아이/청소년의 독서 몰입 경험(보통은 생후 2천 일부터 독서 능력을 갖춘다고 한다)에 이르기까지 꽤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무르익지 않았다고 표현했지만, 저 유년 시절은 가장 아름답고 살아 있는 독서를 할 수 있는 시기이다(비유적 표현이 아니라 아이들은 책 속의 등장인물들이 정말로 살아있다고 생각한다). 장애라는 말이 장애인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장애인을 둘러싼 환경의 문제라는 걸 기억한다면, 난독증이나 독서 유창성에 어려움을 겪는 사람들 또한 그것이 자기 내부의 문제가 아니라 여러 가지 조건들이 결합 되어 생긴 어쩔 수 없는 문제라는 걸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책을 멀리한(?) 소크라테스처럼 책 읽기가 어려운 흥미로운 독자들 또한 어느 분야에서 뜨거운 '연인'이 될지 모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