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도 - 제3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김대현 지음 / 다산책방 / 2013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랜 만에 정말 흥미진진한 이야기를 읽었다. 소설 <홍도>를 읽는 내내, ‘이것은 소설이다. 허구야,’라며 끊임없이 되뇌었다. 정말 말도 안 되는 설정이 왜 그리도 진실처럼 다가오는지, 정말 그 어딘가에 그녀가 살아있을 것 같고, 정말 살아 있을 거란 생각에 빠져들었다. 도저히 이성적 논리로 이해할 수 없는 400여년의 시간 속, 그 절절함이 가슴에 와 닿았다. 또한 여러 작가들의 찬사에 조금은 과장이 있을 거란 의구심이 부끄러웠다. 정유정 작가는 <홍도>를 밤에 품지 말라고 했다. 솔직히, ‘뭐~ 그 정도일까?’ 조금은 가볍게 생각했는데, 정말 나 역시 밤에 품었다면, 밤을 꼴딱 새웠을 것 같다. 그런데 그 누군가, 책을 펼친다면 그 시점은 밤이길~ 환상의 세계 그 어딘가에서 허우적거리며 깊이 빠져드는 황홀경, 희열을 느껴보는 것도 나쁘지 않을 듯하다. 그저 나는 <홍도>를 가슴 속 깊이 꼭 품고만 있고 싶다. 그렇게 그 절실함의 변두리 어딘가에 나 역시 함께 할 수 있지 않을까?

 

첫 번째, <홍도>에 주목한 이유는 단연 ‘제3회 혼불문학상 수상작’이기 때문이었다. 다른 이유는 없었다. 띠지의 ‘나는 400년 동안 당신을 기다렸습니다.’는 문구에서 400년이란 시간을 거슬러 어떤 역사적 인물, 아니 ‘어떤 여성일까?’하는 궁금증이 일었지만, 아무것도 짐작할 수 없었다. 읽고 싶다는 생각, 읽어야겠다는 생각뿐, 이야기에 대한 정보는 하나도 없었다. 그래서 나 역시 <홍도>에 대한 감상 말고는 어떤 실마리도 풀어내고 싶지 않다. 입이 근질근질하지만, 그 누군가 역시 나처럼 그저 직접 책을 펼쳐 홍도 속 이야기를 만나보시라 당부하고 싶다.

 

<홍도>를 통해 시간을 견디는 힘에 대해 생각해본다. 어느 책인지 흐릿한 기억이지만 ‘사랑은 시간을 견디는 힘’이라고 했다. 아니 ‘그리움을 견디는 힘’이라 했던가? 그리곤 요즈음의 나를 바라보았다. 너무도 얕고 좁은 마음이라 쉽게 상처받고, 화를 내고, 화를 내는 스스로를 보면서 자기비하에 빠졌다. 그러면서 절망과 좌절에 끙끙거리고, 어느 샌가 그 고통이 근원, 본질이 무엇인지조차 모르겠다면 신음하고 있었다. 고통은 끔찍하고, 그 고통과 맞설 용기는 없고, 그렇기에 그저 시간이 빨리 지나가기만을 기도했다. 그 시간을 견뎌내는 지혜를 모색하기보다는 도망치고 회피하기 바빴다. 그리고 시간은 흘렀지만, 또다시 뒤돌아보니, 나는 제자리걸음, 아니 앉은뱅이마냥 그 자리였다. 내 안의 고통이 그녀처럼 진실함으로, 절실함으로 깊이를 더하며 나를 바로 세우는 좋은 파장으로 흘렀으면 좋겠다. 오롯이 홀로 견디는 의연함과 당당함이 내가 풀어낼 숙제인 듯하다. 그런데 그 숙제 참 어렵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