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 - 돌하르방 어디 감수광, 제주도편 ㅣ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
유홍준 지음 / 창비 / 2012년 9월
평점 :
이제는 너무도 친숙한 유홍준 샘의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는 자꾸만 욕심이 나, 탐하게 되는 책이다. 그런데 제주를 담고 있다는 절로 설렘으로 들떠 있었다. 올레의 추억을 가슴에 새기고, 만덕을 만나면서 제주에 대한 관심이 더욱 깊어졌지만, 여전히 나의 일상의 언저리를 결코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책을 읽다보면, 행동이 따르지 않는 수많은 생각들에 종종거리게 된다. 공상, 망상에 그치지 않기를 바라고, 책의 내용을 직접 두 눈으로 확인하고, 풍경을 가슴 깊이 새기고 싶은 마음들이 들어찬다. <나의 문화유산답사기 7, 돌하르방 어디 감수광> 역시 그러했다. 지금은 떠나기 좋은 계절, 훌쩍 제주를 향하고 있는 나의 모습을 자꾸만 상상하게 되고, 왠지 모를 그리움에 휩싸이게 되었다.
책으로 확인하고자 했던 제주의 역사를 즐거운 이야기를 통해 가벼운 마음으로 만날 수 있어 무척이나 유익한 시간이었다. 인류의 수많은 비극의 사건들 중에서 최근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이 바로 제주의 4․ 3사건이었다. 그리고 예상 밖으로 많은 역사의 아픔을 간직한 곳, 그럼에도 제주의 이색적 풍경이 담아낸 신비 등이 어우러져 호기심을 자극한다. 그런데 이번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통해 역사의 상흔의 현장을 고스란히 담아내고 그 역사의 여러 갈래들의 얽히고설킨 이야기를 쉽게 풀어 놓아 많은 궁금증을 해소할 수 있었다.
제주를 담은 많은 여행기, 틀에 박힌 유명 관광 명소보다 나의 고된 발품 팔이 없이 결코 속속들이 알 수 없는 제주의 삶이, 그 풍경이 눈에 들어왔다. 작은 돌담에 스며있는 제주의 정신, 그 속에서 꽃피는 제주의 문화는 흥미로운 만큼 더욱 제주가 내게 손짓하는 듯한 기분에 젖었다.
여행 아니, 관광을 다니면서 늘 품게 되는 많은 아쉬움에 대한 날선 비판과 그만의 해결책을 읽는 내내 가려운 곳을 긁어주는 듯, 시원함마저 들었다. 특히 기념비 ‘뿔대’에 대한 이야기는 흥미로웠다. 인식하지 못하고 있던 점이기도 하지만, 아니다. 내심 마음 깊숙이 불편했던 바로 그것이었다. 어디 어느 곳을 가나 특색 없이, 아니 하늘 높이 치솟는 특색을 자랑하는 그 수많은 뿔대들, 감흥 이전의 숙연함보다 고압적으로 주변을 무색하게 하는 그 뿔대들의 거북함, 그 비슷비슷한 뿔대들에 어떤 변화의 바람이 불어왔으면 좋겠다는 바람도 가져본다. 모든 것이 더욱 제 모습을 찾아가며, 많은 유적지, 명소에서 느끼는 그 불편함이 사라졌으면 좋겠다.
아직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모두 만나지 않은 것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앞으로 기대되는 다음8, 9편을 기다리면서 <나의 문화유산답사기>를 펼치겠다는 마음이 저만치 앞서고 있다. 그리고 최근에 소설을 즐겨 읽고 있었는데 이 책을 계기로 다른 책, 특히 제주에 관한 책들에 절로 눈이 돌아간다. 눈도장만 찍어두었던 제주 관련 책 <새로쓰는 제주사>, <제주 유배길에서 추사를 만나다>들을 시작으로 제주를 들락거려야겠다. 제주를 다녀와서 냉큼 샀던, 그러나 책장이 고이 묵혀두었던 <한라산 편지>가 드디어 책상 위에 펼쳐져 손끝을 간질인다. 그리고 <신정일의 새로 쓰는 택리지 : 제주도>가 출간된 것을 방금 확인하기도 하였다. 두 눈을 의심하면서도 눈이 반짝인다. 왜 이토록 반가울까? 아차차, 그리고 <순이 삼촌>도 도서관에서 확인했었다. 냉큼 읽을 테다!
실제로 쉽게 발걸음을 내딛지는 못할 것이다. 일단 책으로나마 제주의 이곳저곳을 방랑하며 제주를 더 많이 공부하고 싶다. 그리고 다시 제주를 찾게 될 때, 그 풍경 속에서 더 많은 것은 가슴으로 느끼고 되새기면 추억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