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산 - 김훈 장편소설
김훈 지음 / 학고재 / 2011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흑산? 이 두 글자가 머릿속을 스미는 순간, 뇌세포들은 몇 개의 단어들을 다시금 토해낸다. ‘흑산’에 대한 기억은 전무하다. 그곳이 이 땅의 어디쯤인지, 그리고 나와의 심미적 거리를 차치하고, 얼마나 먼 곳 인지 알 길이 없다. 그럼에도 ‘흑산’은 흑산도, 정약전, 자산어보, 그리고 정약용 등이 꼬리말처럼 뒤따랐다. 하지만 그건 순전히 활자 그 이상도 그 이하도 아닌 것이었다. 그렇게 ‘김훈’의 ‘흑산’에 대한 일차원적 기대는 그저 흔한 역사소설처럼 정약전의 자산어보의 이야기를 담았을 거란 추측이었다. 그런데 아니었다. 그 당혹함은 궁금증으로 변해, 더 커다란 호기심으로 이야기에 빠져들게 하였다.

 

흑산으로의 유배되는 이야기의 첫 부분, 정약종과 정약용에 대한 이야기 부분을 몇 번이고 되짚었다. 그리고 흑산, 정약전 이외의 예상 밖의 이야기에 눈을 돌렸고 황사영과 수많은 민초들의 이야기는 생생하게 살아나 내 주변을 맴돌았다. 정약전과 황사영의 역사적 사실, 그 단편적 지식에 감춰져 있었던 역사적 진실이 생생하게 되살아났다. 신유박해, 황사영의 백서사건 등은 부정적 이미지로 기억되고 있었는데, 그 속에서 분명하고 확실하게 들어나는 이야기에 귀를 기울이게 되었다.

 

흔하고 흔한, 그 정형화된 역사소설이었다면 그것은 김훈의 이야기가 아닐 테고, 너무도 심심해 그저 한 번 읽고 더 이상 들출 일을 없었을 것이다. 아직도 소화되지 않은 채, 아니 아직 제대로 씹지 않았고, 그저 목구녕으로 삼킬 수도 없는 그 무엇인가가 입안에 맴돌고, 자꾸만 씹고 또 곱씹게 된다. 소설 속의 이야기는 숱한 생각들을 흩뿌려놓았다. 그 중에 변하지 않는 것은 200여 년의 시간을 거슬러 올라가도, 오늘과 하등 변하지 않은 여러 모순, 갈등의 근원이 머릿속을 헤집어놓았다. 민초들의 척박함과 기득권 세력의 수탈과 아집, 그리고 새로운 세상에 대한 열망과 또다시 희망의 끝자락이라도 부둥켜 끌어안을 수밖에 없는 삶의 애달픔, 절박함이 오롯이 가슴 속에 박혀들었다.

 

각자 나름의 절박함, 절절함이 뒤엉켜 부딪히고, 때론 서로 할퀴고 물어뜯었다. 그런데 그 뒤엉킴이 삶 그 자체로 다가왔고, <흑산>을 읽는 내내, 온몸을 사로잡은 것은 ‘분명하다’는 말이었다. 이야기 속에 반복되는 분명함, 확실함, 그리고 그 분명함에 놀라는 인물들의 이야기에서 우리 안에 내재된 본성, 인간됨 아니 세상의 근본인 ‘자유’를 떠올렸다. 그래서 황사영, 정약전의 이야기보다는 다른 인물들에 매료되었다. 이 땅에 이름 없이 살다간 수많은 민초들의 삶에서 ‘마노리’는 특히 더 두드러졌다. 미천하기에 인간임에도 인간이 아니 사람들의 이야기가 더 깊이 와 닿았다.

 

책을 읽으면, 특히 ‘김훈’이 풀어내는 이야기는 늘 심연 속으로 깊이 빠져드는 기분에 젖게 한다. 마음을 끝없이 차분하게 내려앉음에도 머릿속을 들끓고, 심장은 더욱 거세게 팔딱거린다. 뭐라 설명할 수 없는 묵직함이 자꾸만 곱씹고 되새기게 하였다. 그리고 안개 속처럼 까마득함에도 ‘분명하게’ 와 닿아, 확실해지는 것이 눈앞에 펼쳐졌다. 그렇게 <흑산>이 풀어내는 이야기들 속에서 나름의 삶의 이유들, 희망들이 분명하게 나를 일으켜주었다. 또다시 <흑산>이 이끌어주는 길을 따라 묵묵히 전진해야 할 듯하다. 또다시 그 분명함이 사그라질 때, <흑산>을 다시금 펼치면 될 듯!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