난설헌 - 제1회 혼불문학상 수상작
최문희 지음 / 다산책방 / 2011년 10월
평점 :
구판절판


허난설헌, 그녀의 삶은 여전히 안개 속이고, 단지 그녀의 동생 ‘허균’을 통해 얼핏 스칠 뿐이었다. 그래서 더욱 궁금증과 호기심이 더해갔다. 그녀의 삶, 민낯 그대로의 삶을 자꾸만 엿보고 싶어진다. 최근에 ‘류지용’의 <사라진 편지-규방에서 진 부용꽃, 허난설헌>를 통해 먼저 만나보았지만 여전히 설명할 길 없는 아쉬움이 맴돈다. 그렇게 채워지지 않은 무언가가 ‘최문희’의 <난설헌>을 만날 수 있게 디딤돌이 되어주었다.

 

<난설헌>은 ‘제1회 혼불문학상’의 영예를 안은 작품이다. <혼불>하면 ‘애잔함’이 떠오른다. 어쩔 수 없는 굴레 속의 여성의 삶은 오늘의 시각에선 때때로 답답함과 분함을 일으키지만, 그 숙명을 오롯이 견뎌내는 삶의 애잔함이 그네들의 삶을 이해하게끔 한다. 또한, 그것은 우리의 어머니, 할머니에 대한 이해로 결부된다. 그래서 외면할 수도 없을뿐더러, 잔잔함 슬픔을 껴안고, 그리워하게 되는지도 모른다. 그 애잔함의 그리움이 <난설헌> 속에서도 느껴졌다. 여성 특유의 감수성이 오롯이 살아 가슴 속 깊이 스며든다. 잔잔하고 고요한 여운이 온몸을 휘감는다.

 

작가는 ‘시인 난설헌’보다는 ‘여자 난설헌’의 주목했다. 누구의 딸, 누이, 아내, 며느리도 아니었다. 참고로 ‘허균’ 역시 이번에는 조연, 아니 단역에 지나지 않았다. 과연 조선 중기, 여자의 삶은 무엇이겠는가! ‘누구의 누구’라는 삶이 전부였으리라. 그 틀 속에서 자유로운 영혼을 지녔던 그녀의 부단했던 삶의 부대낌이 느껴져 마음이 아려왔다.

시집간 후 십여 년의 시간을 배경으로 그녀의 삶을 기구했다. 어릴 적의 ‘초희’도, ‘난설헌’도 사라지고, 종부, 아내, 어머니의 자리 역시 어느 곳에서도 허락되지 않았다. 고매한 시혼을 지녔다는 이유로 철저히 소외당하고, 내쳐졌다. 그럼에도 오롯이 제 몫으로 감당하고 견뎌내는 그녀의 삶에서 작은 위안을 얻는다. 맑고 순수한 그녀의 영혼에 물들며, 우리의 오염된 영혼은 (작가의 바람대로) 씻기는 기분이었다. 그렇기에 끝까지 그녀의 치맛자락을 붙들고 놓지 않을밖에.

 

청사초롱을 밝힌 밤, 추적추적 내리는 비는 어제의 비와 다르지 않았다. 봄비의 설렘보다는 우산을 뒤집어버리는 날선 바람이 옷깃을 여미게 하듯, 소설 속 함 들어오는 날의 거센 빗줄기는 그녀의 삶의 한 자락이었다. ‘시어머니 송씨’처럼 곡해 보면, 전체적으로 우울한 기운이 감돈다고 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차분한 어조로, 섬세한 내면을 포착하는 ‘난설헌’의 시어들처럼 소설은 고매하고도 아름답게 그녀를 그려냈다. 정갈하면서도 일관된 침착함이 자부심과 당당함으로 똘똘 뭉쳐 시샘을 살 수밖에 없었던 ‘난설헌’의 삶이 활자 속에서 생생하게 되살아났다. 소설 <난설헌>은 그자체로 ‘허난설헌’이라고 할 수 있겠다. 애틋함과 아련함으로 오늘도 ‘그미, 난설헌’을 그려본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