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고구려 1 - 미천왕, 도망자 을불
김진명 지음 / 새움 / 2011년 3월
평점 :
구판절판
일본은 일본대지진의 여파 속에서도 ‘독도’에 대한 탐욕을 거두지 않았다. 그 와중에도 말이다. 역사의 중요성과 가치를 다시금 생각해보게 된다. 우리는 왜 역사를 배워야 하는가? 아니 우리는 그런 와중에도 우리의 역사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고 공감대를 형성하면서 역사 교육을 바라보고 있는가? 우리를 둘러싼 일본, 중국의 역사 교육의 강화에 역행하며 우리의 역사를 등한시하고 있는 것은 아닌지 자문하게 된다. 바로 이 때, <고구려>를 만났다. 광활한 벌판을 호령하던 강국 고구려는 과연 어디에 있는 것일까? 흐릿한 기억을 더듬어 ‘고구려’를 떠올려본다. 과연 우리는 고구려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을까? 참으로 안타까운 마음이 앞서는 것은 왜일까? ‘하병무’의 <신비>를 통해 ‘고구려’를 만난 적이 있다. 그 만남은 고구려에 대한 관심에 더욱 불을 붙이게 하였다.
우리는 4대 문명에 배해 익히 배워왔다. 그러나 ‘요하문명’이 새롭게 부각되면서 세계의 역사학계는 새로운 문명의 등장에 뒤흔들렸다고 한다. 그런데 그 중심에 바로 우리가 있었다. 획기적일 정도로 놀라운 사실들이 속속 등장하지만 여전히 베일에 가려져있다. 더 심각한 문제는 바로 중국의 동북공정을 필두로 하여 우리의 역사가 왜곡되는 것을 속수무책으로 그저 바라보는 것 같다는 것이다. 역사에 대한 문제 제기와 함께 우리 역사에 대한 화두를 던지는 것이 바로 작가 ‘김진명’이다. 그가 풀어낸 이야기를 통해 우리 역사에 대한 획기적인 사실들을 만나고 그것이 어떤 자긍심과 힘이 되어 되살아난다. 그러니 그가 최근에 쓴 <고구려>를 설레는 마음으로 만나지 않을 수가 없었다. 기대 이상의 흥미진진함에 시간을 잊었다. 역사소설이 그간의 역사적 사실에 대한 맥을 짚게 하면서 훨씬 수월하게 역사를 바라볼 수 있다는 장점이 부각되면서, 끊임없이 호기심을 자극 하였다.
도망자 ‘을불’은 과연 어떤 인물인지, 도탄에 빠진 고구려의 운명은 과연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낙랑’과 ‘선비’ 그리고 ‘백제’와 고구려의 관계가 어떤 이야기로 전개될지 기대되었다. 아직 이야기는 시작에 불과하다. 그의 운명이 어떤 식으로 흘러갈지, 뻔한 이야기일지라고 그 속의 ‘밑밥’은 잘 짜임새가 잘 갖춰진, 치밀한 구성으로 흥미를 더하여 긴장감을 떨쳐 버릴 수가 없었다. 금세 홀딱 빠져들었고 설렘과 기대는 수시로 놀라움과 흥미로운 이야기로 만족감을 주었다.
도망자 을불, 그는 ‘미천왕’이 될 것이다. 미천왕하면 학창 시절 삼국의 여러 왕들을 암기할 때, ‘미친’듯이 영토를 확장했던 왕으로 외웠던 기억이 있다. 그런 미천왕의 일대기가 어떻게 전개될 것인지 기대감에 온몸이 들썩거린다. ‘소청’과의 인연과 ‘아영’과 두 영웅 ‘모용외’와의 이야기는 또 어떻게 전개될지 어서 빨리 만나고 싶다.
‘우리 젊은이들이 <삼국지>를 읽기 전에 <고구려>를 먼저 알기 바란다’고 저자는 말했다. 그런데 <삼국지>를 읽으면서 느꼈던 놀라움과 흥미로움은 <고구려>를 읽으면서 오히려 더욱 배가 되었다. 내겐 그랬다. 아무래도 저자의 소망처럼 우리의 역사, 고구려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게 될 것 같다. 또한 역사서를 비롯한 역사소설에 더욱더 푹 빠지게 될 것 같다. 작가의 상상력에 기대어 무척 생생하게 되살아난 역사는 두고두고 우리들 마음속에서 오래도록 빛을 내며 호기심을 자극할 것이다. 그리고 또 다른 역사의 연결고리를 찾으며 그 재미에 빠져들 것 같다. 생명력을 되찾은 용이 비로소 하늘로 승천하는 기운이 오롯이 느껴진다. 그 기운은 우리의 삶의 활력이 되고 힘이 되어 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