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식의 미술관 - 그림이 즐거워지는 이주헌의 미술 키워드 30 ㅣ 이주헌 미술관 시리즈
이주헌 지음 / 아트북스 / 2009년 9월
평점 :
<지식의 미술관> 처음 보자마자 '그림'이야기란 생각에 또다시 두근두근. 어떤 새로운 이야기가 또 있을까? 하는 호기심, 여지없이 새록새록 피어올랐다. 더욱 호기심은 끌었던 것은 '미술 이야기꾼'이란 명성있는 저자(물론 낯선 인물이지만 책을 통해, 그의 수식어가 얼마나 타당한 것인지 절실히 느낄 수 있었다)가 「한겨레」에 연재했던 내용을 엮어낸 책이라는 점이었다. 왠지 모르게 더욱 신뢰감이 생기면서, 기쁜 마음으로 손에 쥐었다.
그림을 이야기하는 책이다. 그런데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지식'에 초점이 맞춰진 면이 아주 흥미롭고 독특하였다. 기존에 읽었던 책들은 그림 속에 숨어있는 심리를 이용하여, 독자로 하여금, 동화되어 절로 마음이 치유되는 과정을 통해 흥미롭게 그림을 접할 수 있도록 이끌었던 것이 대부분이었다면, 이 책 <지식의 미술관>은 그림의 비밀 서른 가지를 풀어내면서, 지식창고의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었다. 물론 단순한 지식의 축적만을 이야기한다면, 이 책은 '미술이론서'로서 단지 전문가를 위한 책이었겠지만. 다행스럽게도 흥미진진한 미술 이야기, 그림 이야기가 책을 가득 메우고 있고, 낯선 용어의 설명들도, 그림, 그림 밖 이야기와 함께 쉽게 풀어주고 있었다.
30개의 미술 키워드 중에서, 트롱프뢰유, 게슈탈트 전환, 바니타스, 오리엔탈리즘과 이상파와 미디어, 위작, 기인 화가 등등이 기억에 남는다. 그 중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것은 '스탈당 신드롬'이었다. 고흐가 제목에 있어 가장 먼저 읽어본 이야기로, 하나의 걸작 미술품 앞에서 정신이 아찔할 정도로 감명을 받고 흥분 상태에 빠지거나, 호흡 곤란, 우울증, 전신마비 등의 이상 증세를 보인다는 자체는 처음 들어본 이야기로 아주 흥미로웠다. 거기에 부가적으로 일본과 프랑스의 문화적 차이까지 설명하면서 '파리 신드롬'을 설명하면서, 더욱 호기심을 이끌고, <지식의 미술관>의 매력을 발산하면서, 금새 빠져들게 된다.
기존에 익숙하던 그림 이외에도, 낯선 그림과 그림기법을 설명하고 있어, 미술사뿐만 아니라, 정치, 문화, 역사까지 이야기가 확대되어, 풍성한 미술 이야기를 들려주었다. '지식의 미술관'이란 제목이 여지 없이 빛을 발하면서, 그림을 보는 것에 그치지 않고 그림을 읽을 수 있도록 총체적인 미술 이야기을 들려주고 있었다. '아는 만큼 보인다'를 실천할 수 있도록 <지식의 미술관> 속 다양한 이야기는 흥미진진한 미술의 세계로 풍덩 빠질 수 있도록 문을 활짝 열고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