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 사냥꾼을 위한 안내서 - 제2회 중앙 장편문학상 수상작
오수완 지음 / 뿔(웅진) / 2010년 11월
평점 :
품절


책 사냥꾼? ‘과연 책 사냥꾼은 어떤 존재일까?’하는 궁금증이 마구마구 일어났다. 책을 사냥한다! 사냥의 세계 속 ‘책’이란 대상은 무엇을 상징할지 이것저것 호기심이 일지만 좀처럼 쉽게 판단을 내릴 수가 없었다. ‘가상’의 책들과 대결하는, 존재하지만 존재하지 않는 책, ‘세계의 책’을 찾아 떠난 독특한 모험을 다루고 있다니, 표지며, 수상작이라는 것에 이르기까지 책을 보자마자 모든 감각이 들썩이는 기분이었다. 표지부터 기묘하다. 어떤 시공을 유추할 수 없는 몽환적인 분위기가 감돌며 올빼미가 두 눈 부릅뜨고 우리를 응시하고 왠지 모르게 여유로운 모습으로 무슨 책인지 알 수 없는 표지의 책에 시선을 내리깔고 있는 사내의 진한 눈매가 무척 인상적이었다. 그런데 책의 내용은 더 환상적이고 몽환적이라고 할까? 과연 어떤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인지 끊임없이 되물어야만 했다.

 

‘책 사냥꾼’의 정체에 대해 모호함에서 시작된 호기심은 책을 읽는 원천이었다. 과연 어떤 이야기를 풀어낼지 도저히 상상할 수 없었다. 뻔한 이야기는 어느 곳에서도 찾을 수 없다고 할까? 그렇게 책을 탐하는 다양한 부류의 사람들, 그 중에서도 ‘책 사냥꾼’이란 존재와 그들의 모험은 기묘함 그 자체였다. 그리고 현실 세계에서의 ‘책 사냥꾼’은 과연 누구를 의미하는 것인지, 기존의 이미지들과 책의 연결고리를 찾아야했다. ‘분서갱유’와 같은 역사적 사건들과 비밀의 문서와 책을 둘러싼 각종 사건, 이야기들이 머릿속을 파고들었다. 그 중에서 가장 먼저 떠오른 책은 <장미의 이름>(움베르토 에코, 열린책들)이었다. 저자도 말미에 언급한 책이지만 어떤 기묘한 사건과 책이란 소재가 같은 맥락으로 연결되면서 어렴풋이 이야기를 읽는데 어떤 단서가 되었다. 그리고 완전한 책, ‘세계의 책’과 관련한 어떤 비밀을 풀어나가는 과정은 ‘세상의 모든 책들이 모아둔 도서관’이란 설정의 <마법의 도서관 : 소설로 읽는 책의 역사>(요슈타인 가아더, 클라우스 하케푸르, 현암사)이 떠올랐다.

 

‘존재하지 않지만 존재하는 책’을 찾아 나선다는 설정과 ‘책’과 관련한 음모, 암투 등의 전개가 갖는 긴장이 마치 추리소설을 읽는 기분에 취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가장 흥미로운 점이라면 책 사냥꾼의 모험을 따라 쉼 없이 달리다 보면 ‘책’과 관련한 많은 이야기를 만날 수 있다는 것이다. 손에 쥐어지는 물리적인 실체의 ‘책’과 그 속에 담긴 이야기에 매몰되었던 반쪽짜리 책사랑에서 벗어나 총체적으로 책을 아우르며 다각도에서 책과 마주하게 된다. ‘책에게도 삶이 있다’에서 시작하여 ‘책은 죽을 때 소리를 낸다’는 문구처럼 ‘책’ 속에 관통하는 삶과 본능, 욕망을 엿보게 된다. 그렇게 우리의 삶에서 ‘책’의 의미가 무엇인지 깊이 생각하는 시간이었다. 기존의 책에 대한 단상들에 반론을 제기하듯, ‘책의 상징적인 의미와 정면 대결‘이란 평에 고개를 끄덕이게 된다. 그리고 지금 이 순간, 과연 내 삶과 책의 관계를 모색하게 된다. 쉽게 결론에 이를 수 없었지만, 앞으로도 결코 쉽게 단정할 수 없겠지만 그럼에도 어느 책 노인의 말이 책과의 관계에서 팽팽한 긴장과 함께 책에 이르는 안내서가 될 것 같다.

“그냥 책을 좋아해서 이런 토굴에 사는 늙은이오. 책하고 사느라 좋은 세월 다 보냈지. 나름 재미는 있었지만 사는 재미는 다 놓쳤소. 선생은 행여나 나처럼 살지 마시오.” (305)

나름 ‘책 사냥꾼’인냥 호기를 부리며 책을 펼쳤다. 그러나 책이 좋아 책 속에 묻혀 살길 소망하는 많은 이에게 일침이 될 듯하다. 내겐 분명 날카롭게 깊이 파고들었다. 책과 삶이 나란히 사이좋게 지내며 인생을 더욱 풍부하고 내실하게 가꿀 수 있기를, 조금은 다른 방향으로 선회해 볼까 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