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가 있어준다면
게일 포먼 지음, 권상미 옮김 / 문학동네 / 201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다보면 때로는 내가 선택을 하기도 하고,

때로는 내 선택이 나를 만들기도 하지”

(208)

 

책을 펼쳐들자마자, 한 순간에 빨려들었다고 당당히 말할 수 있다. 뭔가 알 수 없는 힘에 이끌렸다고 할까? 예고된 비극에 앞선 밝고 자유로운 가족의 아침 풍경이 대비를 이루며, 뭔가 남다르게 느껴졌다. 뭔가 감미롭고 포근하게 느껴지는 예쁜 표지의 분위기가 이제야 가슴 속에 깊이 내리 박혔다. 어느새 ‘요요마’의 첼로 선율에 몸과 마음을 기대며, 잔잔한 호숫가를 거니는 것처럼, 어떤 말로도 형용할 수 없이 가슴 벅차고, 포근하고 차분해지는 기분이었다. 그리고 격정적으로 휘몰아치던 폭풍의 중심을 헤쳐 지나온 듯. 숨을 크게, 깊이 들이쉬었다.

 

‘죽는 건 쉽다. 사는 게 어렵지’라는 문구 하나가 인상적으로 다가와, 이 책을 명쾌하게 정의해 버렸다. 교통사고로 한 순간에 가족을 잃고 홀로 남겨진 열일곱 소녀, 그녀의 가혹한 운명과 그 삶을 오롯이 함께 나누고 싶다는 갈망을 느꼈다고 할까? 그렇게 홀로 남겨진 소녀의 기구한(?) 삶을 상상할 뿐이었다.

그런데 예상 밖에도 영혼이 혼수상태인 몸에서 빠져나와 모든 광경을 목격하고, 가족과 친구들과의 행복했던 추억을 회상하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그리고 이야기 속 주인공 열일곱 소녀 ‘미아’에겐 한 가지 선택권이 주어졌다. 삶을 살아갈 것인가? 가족을 뒤따라 갈 것인가? 갈림길에 선 그녀는 자신의 삶을 오롯이 결정해야하는 순간이었다. 그리고 미아가 살아주길 바라는 할머니 할아버지, 절친 킴, 그리고 남자친구 애덤의 간절함이 더해져, 다른 이들과 한 마음 한 뜻이 되어, 나도 모르게 거칠고 버거운 삶이지만, 삶을 선택하기를 응원하였다. 눈시울을 붉히며 격한 감정의 소용돌이가 휘몰아친다.

 

선택? 삶은 끊임없는 선택의 연속이라고 했던가? 하지만 그 선택에 있어 우리는 과연 얼마나 주체적일까? 스스로 되물어보면, 솔직히 부끄러웠다. 미아가 삶과 죽음 사이에서 괴로워하며 삶을 관장하는 그 누군가가 결정하기 바랐던 것처럼, 결정적 순간을 회피하고 싶어 하지 않았나? 그러게 우리가 맞서야 하는 ‘선택’이란 삶의 화두를 아주 섬세하고 부드럽게, 하지만 핵심을 찌르며 던지고 있다.

 

단짝친구 ‘킴’의 목소리가 귓가에 울린다. 부모의 죽음과 어린 동생 ‘테디’의 부재(죽음) 속에서 차츰 싸울 힘을 잃어가는 미아에게 ‘너에겐 아직 가족이 있다’고 속삭여준다. '가족‘의 의미가 확대되면서, 다시금 가족의 진정의 의미를 되새겨보게 된다.

할아버지의 말할 수 없는 슬픔, 두 손은 꼭잡아주는 연인 ‘애덤’의 절절한 마음, 그 강한 사랑의 힘이 온 세상을 가득 메운 듯하다. 미아를 응원하는 모든 이들의 하나된 목소리가 방 안 가득 울려 퍼진다. 그리고 그 울림은 좌절과 외로움, 분노 등 삶의 온갖 부정적이고 싫은 감정에 휘둘리는 많은 이에게 힘과 용기, 희망의 부메랑이 되어 돌아올 것 같다. 세상에 덩그러니 홀로 남겨진 것 같은 외로움과 아픔을 뒤로하고 살면서 괴롭고 더한 처참한 일을 겪게 되더라도, 당당히 앞으로 한 걸음 한 걸음 나아가야 한다고, ‘미아’는 우리에게 말하고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